항목 ID | GC05601996 |
---|---|
한자 | 巫歌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
집필자 | 이경엽 |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무당이 굿을 하는 과정에서 부르는 노래.
[개설]
무가(巫歌)는 굿의 처음부터 끝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불린다. 굿 전체의 분량만큼 무가의 양도 많아지며 장단이 바뀔 때마다 무가의 형식도 달라진다. 무가를 장르에 따라 구분한다면 서정 무가, 교술 무가, 서사 무가, 극무가로 나눈다. 화순의 무가는 풍부한 사설과 작품성을 갖추고 있다. 굿에서 보이는 음악적 흥취나 놀이적 분위기 역시 무가의 예술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보고서]
화순군의 무가를 수록하고 대표적인 보고서는 『한국 구비 문화 대계(6-9)』와 『화순군 무가 사설집-굿소리』[강동원 편], 『화순군의 민속과 축제』 등이 있다. 『굿소리』는 능주의 씻김굿 무가 한바탕을 채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비록 절차가 뒤섞이고 부정확하게 채록된 부분이 있지만 한 지역 무가를 온전하게 정리했다는 점은 높이 살만하다.
[지역별 무가]
화순 무가는 같은 지역의 자료이면서도 이본마다 상이점이 있다. 특히 세습무와 강신무의 자료 차이가 크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그만큼 서로 간의 활동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왔음을 말해준다. 화순의 대표적인 굿이라고 할 수 있는 씻김굿 무가의 절차에서부터 그것을 잘 볼 수 있다.
* 남면 황옥진의 씻김굿 무가 : ①산굿 ②조왕 ③안당 ④ 조상굿[초가망석] ⑤지석굿[제석굿] ⑥오구 ⑦손님 ⑧고풀이 ⑨액풀이 ⑩씻김 ⑪길닦음 ⑫거리
* 이양면 양회님의 씻김굿 무가 : ①조왕반 ②성주굿 ③지양굿[제석굿] ④해원 풀이[조상굿] ⑤오구물림 ⑥고풀이 ⑦씻김 ⑧길닦음 ⑨거리 중천 액살
* 능주면 박정녀의 씻김굿 무가 : ①혼맞이 ②조왕굿 ③안당굿 ④본향굿 ⑤선부리굿[조상굿] ⑥제석굿 ⑦오구굿 ⑧고풀이 ⑨씻김굿 ⑩길닦음 ⑪대신치기[종천막이] ⑫사신거리
* 한천면 안향모의 씻김굿 무가 : ①안당 ②선부리 ③제석굿 ④오구굿 ⑤넋올리기 ⑥고풀이 ⑦씻김 ⑧길닦음 ⑨거리중천
‘남면 황옥진의 씻김굿 무가’와 ‘이양면 양회님의 씻김굿 무가’는 강신무의 무가이고, ‘능주면 박정녀의 씻김굿 무가’와 ‘능주면 박정녀의 씻김굿 무가’는 세습무의 무가이다. 그런데 각각의 순서를 보면 통일되어 있지 않고 각각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능주면 박정녀의 씻김굿 무가’와 ‘한천면 안향모의 씻김굿 무가’의 경우 제석굿 이후의 순서가 비슷하게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은 세습무끼리는 어느 정도 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화순의 무가라도 상이점이 많은 것은 지역에 따라 활동을 별개로 해왔다는 것을 말해준다. 실제 남면의 황옥진은 친정인 완도 지방 무인들과 교류를 하고, 그들과 활동하는 기회가 많다고 하며, 이양면의 양회님은 보성군 웅치의 당골들과 함께 굿을 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현상은 화순의 무속 환경의 변화를 보여주며, 지역적인 특색이나 구심력이 약해져 가고 있음을 반영해 준다고 해석된다.
개별 무가 작품에서도 이러한 특징이 나타난다. 이양면의 양회님본 제석 풀이를 보면, 말미 부분에서 딸애기가 중을 찾아가서 애를 낳는 대목이 있는데, 이는 남도 지방 무가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것이어서 특이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들은 화순 무가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