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601981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
집필자 | 이옥희 |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전승되는 베틀 노래.
[개설]
베틀 노래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전승되는 민요이며 화순군 지역에서도 활발하게 전승되었다. 1970년대 이전까지는 대체로 집에서 손수 옷을 만들어 입었기 때문에 베를 짜는 일은 매우 중요했다. 베틀 노래는 베틀의 각 부분에 대한 언급과 더불어 베를 짜는 과정, 베를 짜는 목적 등을 소개하는 서사민요이다.
[채록/수집 상황]
베틀 노래는 『한국 구비 문학 대계』에 6곡이 수록되었고, 『화순의 민요』에 8곡이 수록되었다.
[내용]
베틀 노래는 월궁에서 놀던 선녀가 지상으로 내려와 베를 짜게 되었다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늘에다 베틀 놓고 구름잡아 잉애걸고”라는 가사에서 표현미를 느낄 수 있다. 베틀 노래 가사에는 베를 짜는 목적이 나온다. 주로 오빠가 장가갈 때 입을 도포를 만들어 주기 위해서라는 가사가 많지만 부모님이나 사랑하는 임을 위해 베를 짠다는 가사도 존재한다.
1. 베틀 노래①
월궁에 노든 선녀 지하에 나려와서/ 시상에 할 길 없어 금세를 자리허고/ 옥난간에 베틀 놓아 앙질개를 도둠허고/ 그 욱에 앉일 양은 웃 임금 하우씨에/ 용상자개 하얏는듯 나삼을 반만 들어/ 허리안개 두린 양은 북두칠성을 둘렀난 듯/ 애원급등 쳇등일랑 오뉴월남방 소내기 뒤에/ 세우나 뿌리난듯 무지개로 물을 주어/ 요리저리 씻는 양은 치도방에 내닷는 듯/ 비자나무 날람북에 대추나무 보두집 치난 소리/ 좁고도 좁은 골에 변덕을 울리난 듯/ 샘 형제라 잉앳대는 억만의 군졸을 위여주/ 고단허다 눌림대는 강태굉[강태공]이 낚숫대로/ 위수강에 띄웠난듯 밀쳤다 닥쳤다 빙허리는/ 억만의 군백을 헤쳐간듯 보니 사침대는/ 허다헌 틀린 올을 차례로만 갈라주네/ 쿵지덕쿵 도투마리 정지덕쿵 뒤넘는다/ 상해씨 제간할 때 백명이 뒤넘난 듯/ 얼그덕 덜그덕 원삼소리 청천에 뜬 저 기러기/ 벗 부리는(부르는) 소리로다/ 끗을 신에 목을 메어 요리저리 끗는 양은/ 지도바에 비초고리[『화순의 농요』, 1993, 도암면 도장리, 나순례]
2. 베틀 노래②
하늘에다 베틀 놓고 구름 잡아 잉에 걸고/ 청배나무 보두집에 비자나무 북에다가 얼렁철렁 짜니랑게/ 뒷집할매 불 싸러와서 그 베 짜서 무 할랑가/ 우리 오빠 장가갈 때 청포도포 해줄라네[『한국 구비 문학 대계』, 1984, 이서면 도석리, 김영동]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베틀 노래에서는 북, 보두, 잉애, 잉앳대, 눌림대, 빙허리, 사침대 등 베틀의 명칭을 의인화하여 설명하고 있다. 노래에 등장하는 도구들은 모두 실제 베틀에 중요하게 사용되었던 것들이다.
[의의와 평가]
베틀 노래는 베틀의 기원과 내력에 관한 여성들의 상상력이 형상화되어 있는 민요이다. 전통 사회 여성들의 삶과 정서를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가족 중심주의적인 사고도 읽어낼 수 있다. 베틀 노래는 화순 지역 전역에서 활발하게 불리었지만 지금은 80세 이상 넘은 노인들의 기억으로만 각인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