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600749 |
---|---|
한자 | 和順鄕校崇儒碑群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교동2길 14[교리 293]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희태 |
건립 시기/일시 | 1852년 1월 - 현감 김준흠 비 건립 |
---|---|
건립 시기/일시 | 1878년 8월 - 현감 김윤현 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881년 3월 - 현감 송면로 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889년 4월 - 현감 김요협 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890년 11월 - 현감 이중익 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894년 4월 - 현감 민영석 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898년 12월 - 군수 안익환 비 건립 |
현 소재지 | 화순 향교 숭유비군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교동2길 14[교리 293] |
성격 | 조선시대 수령 공적비[숭유 중도비] |
양식 | 석비 |
관련 인물 | 홍명하|김준흠|김윤현|송면로|김요협|이중익|민영석|안익환 |
재질 | 석재 |
크기(높이,너비,두께) | 현감 홍명하 비[총 높이 230㎝, 비 높이 110㎝, 너비 65㎝, 두께 21㎝]|현감 김준흠 비[총 높이 180㎝, 비 높이 160㎝, 너비 60㎝, 두께 22㎝]|현감 김윤현 비[총 높이 220㎝, 비 높이 190㎝, 너비 60㎝, 두께 22㎝]|현감 송면로 비[총 높이 180㎝, 비 높이 150㎝, 너비 68㎝, 두께 28㎝]|현감 김요협 비[총 높이 200㎝, 비 높이 120㎝, 너비 63㎝, 두께 25㎝]|현감 이중익 비[총 높이 180㎝, 비 높이 160㎝, 너비 63㎝, 두께 28㎝]|현감 민영석비[총 높이 170㎝, 비 높이 140㎝, 너비 60㎝, 두께 27㎝]|군수 안익환 비[총 높이 210㎝, 비 높이 140㎝, 너비 60㎝, 두께 25㎝] |
소유자 | 화순 향교 |
관리자 | 화순 향교 |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교리에 있는 조선 후기 화순 현감 공적비.
[개설]
조선 시대 지방 교육 기관인 화순 향교 경내에 있는 조선 시대 역대 화순 현감과 군수의 숭유 중도 공적비 8기이다. 정유재란 뒤 화순 향교 중건에 큰 힘을 보탠 현감 홍명하[1647년 1월~1648년 7월 재임] 숭유 중도비는 신축년에 개건한다. 현감 김준흠 비는 1852년(철종 2) 1월, 현감 김윤현 비는 1878년(고종 15) 8월, 현감 송면로 비는 1881년(고종 18) 3월, 현감 김요협 비는 1889년(고종 26) 4월, 현감 이중익 비는 1890년(고종 27) 11월, 현감 민영석 비는 1894년(고종 31) 4월, 군수 안익환 비는 1898년(광무 2) 12월에 각각 세운다. 비석은 대부분 비머리가 없는 호패형 석비이고 1기만 한옥 지붕형의 비머리[가첨석]을 갖추고 있다. 비문은 앞면에만 있는데 비제를 가운데 새기고 건립 연대를 향 좌측 아랫부분에 음각으로 새겼다. 비의 건립 시기는 재임 중반 1기, 재임 말기 4기, 개건 1기, 기타 2기 등이다.
[건립 경위]
화순 향교 숭유비군은 조선 후기 화순 현감에 부임하여 화순 지역에 선비를 높이고 유교를 존숭하는 숭유중도(崇儒重道)의 기풍을 진작시킨 공로를 기리고자 세운 공적비이다.
[위치]
화순 향교 숭유비군은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화순군청에서 동헌길을 따라 서북쪽으로 600m 거리이다. 너릿재 쪽에서는 교리 삼거리 교차로에서 좌회전 대교길을 따라 300m를 가다가 교동2길을 따라 북쪽으로 좌회전 200m 지점에 있다. 화순 향교는 대성전을 비롯하여 명륜당, 만화루, 동재, 서재, 외삼문 등이 있다.
[형태]
숭유 중도비는 좌대와 비몸을 갖춘 호패형 비석이 7기, 좌대·비몸·한옥 지붕형의 비머리[가첨석]를 갖추고 있는 비석이 1기[군수 안익환 비]이다.
크기는 현감 홍명하 비 총 높이 230㎝, 비 높이 110㎝, 현감 김준흠 비 총 높이 180㎝, 비 높이 160㎝, 현감 김윤현 비 총 높이 220㎝, 비 높이 190㎝, 현감 송면로 비 총 높이 180㎝, 비 높이 150㎝, 현감 김요협 비 총 높이 200㎝, 비 높이 120㎝, 현감 이중익 비 총 높이 180㎝, 비 높이 160㎝, 현감 민영석비 총 높이 170㎝, 비 높이 140㎝, 군수 안익환 비 총 높이 210㎝, 비 높이 140㎝이다.
[금석문]
화순 향교 외삼문을 들어서면 동쪽편[명륜당 쪽을 보고 향 우편]에 비석이 모아져 있다. 모두 13기가 있는데 이 가운데 ‘숭유중도비(崇儒重道碑)’라는 비제로 수령 공적비가 8기가 있다. 뒤쪽 2줄로 4기씩 있는데, 재임 연대나 건립 연대 순으로 정리한다.
1. 현감 홍명하 비
앞면 가운데에 ‘홍후명하 숭유 중도비(洪侯命夏崇儒重道碑)’, 향 좌측 아래 부분에 ‘신축 삼월 일 개건(辛丑三月 日 改建)’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오성지』 관안에 ‘홍명하(洪命夏)는 정해년(1647) 정월에 도임하여 무자년(1648) 7월에 홍문관 수찬으로 승진되었다. 청렴, 간결하여 민폐(民弊)를 없애고 학교를 부흥시키니 생사당(生祠堂)과 청덕비(淸德碑)와 숭유 중도비(崇儒重道碑)가 있다.’는 기록이 있다. 정유재란 뒤 향교를 중수하는 데 큰 업적을 남긴 인물이다. 이러한 공적을 기려 원래 세웠던 비가 낡아지자 다시 세운 것으로 보인다.
2. 현감 김준흠 비
앞면 가운데에 ‘현감 김후준흠 숭유중도비(縣監金侯駿欽崇儒重道碑)’, 향 좌측 아래부분에 ‘임자 정월 일(壬子 正月 日)’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임자년은 1852년(철종 2)으로 보인다.
『오성지』 관안에 ‘김준흠(金駿欽)은 무신년(1848) 정월에 도임하여 임자년(1852) 7월에 경파되었다.’는 기록이 있어 재임 말기에 비를 세웠음을 알 수 있다.
3. 현감 김윤현 비
앞면 가운데에 ‘현감 김후 윤현 숭유중도비 (縣監金侯胤鉉崇儒重道碑)’, 향 좌측 아랫부분에 ‘광서 4년 무인 팔월 일(光緖四年戊寅八月 日)’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1878년(고종 15) 8월에 세웠다. 『오성지』 관안에 ‘김윤현(金胤鉉)은 을해년(1875) 5월에 도임하여 무안년(1878) 11월에 삭녕 현감으로 승진되었다.’는 기록이 있어 재임 말기에 비를 세웠음을 알 수 있다.
4. 현감 송면로 비
앞면 가운데에 ‘현감 송후 면로 숭유중도비(縣監宋侯勉老崇儒重道碑)’, 향 좌측 아랫부분에 ‘광서 칠년 신사 삼월 일(光緖七年辛巳三月 日)’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1881년(고종 18) 3월에 세웠다.
『오성지』 관안에 ‘송면로(宋勉老)는 무인년(1878) 12월에 도임하여 신사년(1881) 12월에 대흥 현감으로 승진되었다.’는 기록이 있어 재임 말기에 비를 세웠음을 알 수 있다.
5. 현감 김요협 비
앞면 가운데에 ‘김후 요협 숭유중도비(金侯堯莢崇儒重道碑’, 향 좌측 아랫부분에 ‘광서 십오년 기축 사월 일(光緖十五年己丑四月 日)’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1889년(고종 26) 4월에 세웠다.
『오성지』 관안에 ‘김요협(金堯莢)은 무자년(1888) 4월에 도임하여 기축년(1889) 6월에 진안 현감과 서로 바꾸었다.’는 기록이 있어 재임 말기에 비를 세웠음을 알 수 있다.
6. 현감 이중익 비
앞면 가운데에 ‘현감 이후 중익 숭유중도비(縣監李侯重翼崇儒重道碑)’, 향 좌측 아랫부분에 ‘광서 십육년 경인 십일월 일(光緖十六年庚寅十一月 日)’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1890년(고종 27) 11월에 세웠다.
『오성지』 관안에 ‘이중익(李重翼)은 기축년(1889) 8월에 도임하여 임진년(1892) 정월에 진안 현감으로 전임되었다.’는 기록이 있어 재임 중에 비를 세웠음을 알 수 있다.
7. 현감 민영석 비
앞면 가운데에 ‘현감 민후 영석 숭유중도비(縣監閔侯泳奭崇儒重道碑)’ 향 좌측 아랫부분에 ‘광서 이십년 갑오 사월 일(光緖二十年甲午四月 日)’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1894년(고종 31) 4월에 세웠다.
8. 군수 안익환 비
앞면 가운데에 ‘군수 안후익환 숭유중도비(郡守安侯翊煥 崇儒 重道碑)’, 향 좌측 아랫부분에 ‘무술 십이월 일(戊戌十二月 日)’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무술년은 1898년(광무 2)으로 보인다. 군수 직명이 사용된 것은 1896년 8월 4일 13도제가 된 이후부터 전라남도 화순군이 되고 지방관이 군수가 되기 때문이다.
장방형의 좌대 위에 홈을 파고 비몸을 세웠고 비머리[가첨석]는 한옥 지붕형이다. 비몸 아랫부분이 금이 가 있다.
[현황]
화순 향교 외삼문 안에 비석이 모아졌는데, 모두 13기 가운데 숭유중도비는 8기이다. 역대 화순 현감의 공적비로 지정 문화재로 따로 지정되지는 않았다. 다만, 화순 향교 대성전과 화순 향교 만화루가 전라남도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어 문화재 구역 안에 있다. 기단을 마련하고 2열로 배열하여 보호하고 있으며 보호각 시설은 없다. 관리 주체는 화순 향교이다.
[의의와 평가]
조선 시대 지방관의 행적을 알 수 있고, 수령칠사(守令七事)의 한 조목인 ‘학교흥(學校興)’의 실천도 알 수 있는 등 제도사, 교육사 자료로서 의미가 있고 화순군의 향토학 현장 유적으로서도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