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600597 |
---|---|
한자 | 大田遺蹟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물 산포지 |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사수리 산 15 |
시대 | 선사/석기 |
집필자 | 이기길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7년 7월 - 대전 유적 충북 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조사[1987]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9년 여름 - 대전 유적 충북 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조사[1989]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9년 11월 - 대전 유적 충북 대학교 박물관에서 추가 발굴 조사 시작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9년 12월 - 대전 유적 충북 대학교 박물관에서 추가 발굴 조사 종료 |
소재지 | 대전 유적 -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사수리 산15 |
성격 | 유물 산포지 |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사수리에 있는 구석기 시대의 유물 산포지.
[위치]
대전 유적은 보성강의 지류인 동복천 하류 지역의 작고 완만한 언덕에 위치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주암댐과 이설 도로 건설로 인해 충북 대학교 박물관이 1987년 7월과 1989년 여름에 고인돌과 그 아래 구석기 문화층을 발굴하였으며, 그 해 11~12월에 추가 발굴하였다. 422.5㎡가 조사되었으며, 중기 석기 시대, 후기 및 중기 구석기 시대 등의 문화층이 보고되었다.
[출토 유물]
중석기 문화층에서는 격지·찌르개·새기개·꽂개, 후기 구석기 문화층에서는 집자리로 해석되는 유구와 좀돌날 몸돌·밀개·긁개·새기개·뚜르개·주먹도끼·주먹찌르개·사냥돌, 그리고 중기 구석기 문화층에서는 찍개·찌르개·긁개·밀개·몸돌·격지·망치 등이 발견되었다.
[현황]
도로 공사로 인해 유적의 천변 쪽은 파괴되었으나 언덕 쪽은 문화층이 남아 있다.
[의의와 평가]
1980년대 후반까지 청동기 시대가 역사의 상한이었던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그보다 만 년 이상 올라가는 구석기 시대의 유적이 처음 발굴되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다만 중석기 문화와 중기 구석기 문화로 해석된 지층과 유물에 대해서는 재검토의 여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