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200520 |
---|---|
한자 | 彊齋 遺稿 |
영어공식명칭 | Gangjaejip |
이칭/별칭 | 『강재집(彊齋集)』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상남도 함안군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전병철 |
[정의]
조선 중기 함안 출신의 학자 성호정의 시문집.
[저자]
강재(彊齋) 성호정(成好正)[1589~1639]은 남명(南冥)조식(曺植)의 제자인 황암(篁巖)박제인(朴齊仁), 내암(來庵)정인홍(鄭仁弘), 한강(寒岡)정구(鄭逑)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남명학을 계승하였다. 과거 시험에 뜻을 두지 않고 일평생 학문 탐구와 심신 수양에 힘썼다.
[편찬/간행 경위]
서계(西溪) 박태무(朴泰茂)[1677~1756]가 지은 『강재 유고(彊齋遺稿)』의 서문에 의하면, 성호정의 저술은 그가 죽은 후 거의 대부분 흩어져 없어졌는데 다행히도 일부분이 외손인 류씨(柳氏) 집안에 간직되어 남아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서문의 끝부분에 "적은 분량이지만 충분히 후세에 전할 만한데, 전하는 것도 어찌 반드시 기약할 수 있겠는가? 이 점이 또한 거듭 비탄스럽하다."라고 서술한 내용으로 보아 당시에는 간행될 기약이 없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결국 1917년 후손 성봉상이 주도하여 『하산 삼세고(夏山三世稿)』가 간행될 때 포함되어 전해지게 되었다. 하산은 창녕의 옛 이름이다.
『강재 유고』는 『하산 삼세고』 5권 2책 가운데 3~4권에 수록되어 있다. 『하산 삼세고』는 권1에 할아버지 성준의 『정산 일고(定山逸稿)』가 실려 있고, 권2에는 아버지 성경침의 『작계 일고(鵲溪逸稿)』가 수록되어 있다. 권3~4가 『강재 유고』이며, 권5는 동생 성호진의 생애 자료를 모은 『성와 유적(惺窩遺蹟)』이다. 『하산 삼세고』의 서문(序文)은 심재(深齋)조긍섭(曺兢燮)이 썼고 발문은 회봉(晦峰)하겸진(河謙鎭)이 지었다. 『강재집(彊齋集)』이라고도 불린다.
[형태/서지]
2권 1책의 목판본이다. 판식은 사주 쌍변(四周雙邊)으로, 계선(界線)이 있으며, 상하 이엽 화문 어미(上下二葉花紋魚尾)이다. 크기는 가로 19.0㎝, 세로 26.6㎝이며, 반곽의 크기는 가로 15.4㎝, 세로 19.0㎝이다. 1면 10행에 1행의 자수는 18자이다. 주(註)는 쌍행(雙行)이다. 권수제는 '강재 유고(彊齋遺稿)', 판심제는 '하산 삼세고(夏山三世稿)'로 되어 있다.
[구성/내용]
『강재 유고』는 『하산 삼세고』 제2책의 권3부터 시작된다. 권3의 첫부분은 「쌍계 수창(雙溪酬唱)」이라는 제목 하에 성호정이 지은 시 한 수와 다른 이들이 화운(和韻)한 시들이 부록되어 있다. 그 뒤로 장인 능허박민의 죽음을 애도하는 만시(輓詩)와 노파(蘆坡)이흘(李屹)을 추모하는 뇌사(誄辭)가 실려 있다. 다음으로는 겸재(謙齋)하홍도(河弘度)[1593~1666]에게 보내는 편지 17통, 무민당(无悶堂)박인(朴絪)[1583~1640]에게 부친 편지 1통이 있다. 그리고 스승 황암박제인의 죽음을 애도하는 제문(祭文) 3편을 비롯하여 창주(滄洲)하증(河憕), 단지(丹池)하협(河悏)의 제문이 있다.
권4는 부록으로, 가장(家狀), 행장(行狀), 묘갈명(墓碣銘), 만사(挽詞), 제문(祭文) 등 성호정의 생애에 관한 기록과 추모하는 글들이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성호정에게 준 시와 편지도 수습해 놓았다. 이외에도 이빈망(李贇望)이 성호정의 행적을 기록한 글, 『능허 사우록(凌虛師友錄)』에 서술되어 있는 성호정 관련 내용, 영남 북부 사람들이 성호정은 내심으로는 정인홍을 추종한다고 비난한 말과 관련해 안정(安侹)이 관찰사에게 글을 올려 변론한 내용 등을 첨부하였다.
[의의와 평가]
『강재 유고』는 17세기 전반 경상남도 함안에서 활동한 성호정의 시문과 그의 생애 및 행적에 관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는 문집이다. 이 책을 통해 남명학을 계승하고 실천하고자 노력한 성호정의 학자적 면모를 파악할 수 있으며, 당시 함안 지역의 시대상과 생활 모습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