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401203
한자 晉陽鄭氏
영어의미역 Jinyang Jeong Clan
이칭/별칭 진주 하씨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경상남도 하동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용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입향지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대치리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대치리 대치마을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북방리 북방마을 지도보기
성씨 시조 정예|정자우|정장|정헌
입향 시조 정대수

[정의]

정예·정자우·정장·정헌을 시조로 하고 정대수를 입향조로 하는 경상남도 하동군의 세거 성씨.

[개설]

진주의 토성인 진양 정씨는 정예(鄭藝)·정자우(鄭子友)·정장(鄭莊)·정헌(鄭櫶)을 중시조로 하는 네 계열이 존재한다. 네 계열은 신라 말을 전후하여 조상을 같이 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고려 초·중기 이전의 선계가 확인되고 있지 않으므로 서로 간의 세계를 밝힐 수 없다.

[연원]

진양 정씨의 시조는 진양[진주]을 본관으로 하는 진주의 토성인 하씨·강씨·소씨와 마찬가지로 나말여초의 중소 호족에 닿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들은 고려 초기 재경 관인(在京官人)과 재지 세력(在地勢力)으로 분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진양 정씨는 진양을 본관으로 하는 하씨·강씨·소씨와 더불어 진주 지역 읍사(邑司)의 구성원이 되고, 그들이 중심이 되어 진주 지역을 분할 지배하였던 것이다. 정예·정자우·정장·정헌의 계열 관계를 알 수 있는 자료는 없다.

흔히 ‘진양팔정’은 모두 네 계열에서 나왔다. 정예 계열로는 면재 정을보 가계가 유명한데, 그의 증손이 문정공(文定公) 정이오(鄭以吾)[1347~1434], 현손이 충장공(忠莊公) 정분(鄭苯)[?~1454]이다. 정자우 계열로는 은열공 정신열을 파시조로 하는 은열공파에 문익점(文益漸)[1329~1398]의 장인인 문충공 정천익(鄭天益)이 유명하다. 정장 계열은 고려 말기에 시작되며, 이 계열로는 공대공(恭戴公) 정척(鄭陟)[1390~1475]을 파시조로 한 공대공파가 유명하다. 정헌 계열은 고려 말기 진산부원군 정헌에서 비롯되며, 이 계열로는 우곡 정온이 유명한데, 정헌의 손자로서 우곡공파의 파시조이며, 그의 동생 정택을 파시조로 하는 어사공파로서 10세손 정경세(鄭經世)[1563~1633]가 이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냈다.

[입향 경위]

진양 정씨가 하동 지역에 입향한 경위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는 지역은 하동군 금남면 대치리진양 정씨 집안이다. 임진왜란 후 은열공파인 오봉(鰲峰) 정대수(鄭大壽)가 진주로부터 오늘날 하동군 금남면 대치리 한재마을에 처음으로 들어왔다. 대치마을의 대견재(大見齋)의 기문에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정대수가 의병을 모아 참전하였으며, 장자 정이함(鄭以諴)이 고성에서 전사하자 벼슬에 뜻을 접고 지금의 한재로 들어와 자제를 가르치면서 살았다고 나온다. 이외에 하동군 악양면 정동리 소재의 만수재(萬壽齋) 기문에는 1689년(숙종 15) 정암공(整庵公) 11세손 정만채(鄭萬彩)가 악양에 입향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하동군 횡천면 월평리 시평마을 소재의 숭양재(崇陽齋) 기문에는 공대공 정척을 현조로 하는 진양 정씨횡천면에 입향하였으나 시기가 정확하지 않다.

[현황]

통계청의 성씨와 본관 자료에 의하면 2000년 전국의 진양 정씨는 7만 4777가구 총 23만 8505명이며, 하동에 거주하는 진양 정씨는 1,038가구 2,718명이다. 하동 지역의 진양 정씨 세거지는 하동군 금남면 대치리 대치마을옥종면 북방리 북방마을이다. 2010년 대치마을 161가구 가운데 진양 정씨가 50여 호에 이른다.

[관련 유적]

하동군 금남면 대치리 대치마을진양 정씨는 은열공파 계열이며, 입향조 정대수를 비롯한 조상을 시향하는 재실인 감모재(感慕齋)·경모재(敬慕齋)·공수재(恭修齋)·대현재(大見齋)·원모재(遠慕齋) 등이 있다. 하동군 금남면 중평리 상촌마을에 있는 경충사(景忠祠)는 임진왜란 때 나라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에 군사적으로 크게 공을 세운 매헌(梅軒) 정기룡(鄭起龍)[1562~1622]을 기리는 사당이다. 경충사에는 정기룡의 교지(敎旨)·장도(長刀)·유서(諭書) 각 1점이 1991년 12월 23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86호로 지정되어 보관·전시되고 있다.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6.17 재실 추가 요청 대현재(大見齋), 원모재(遠慕齋) 추가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