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600544 |
---|---|
한자 | 金山里深源庵-陶窯址 |
영어의미역 | Kiln Site in Simwonamgol Geumsan-ri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터 |
지역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42-1 일대 |
시대 | 고려/고려,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유호석 |
성격 | 가마터 |
---|---|
원건물 건립시기/일시 | 고려시대 |
소재지 주소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42-1 일대 |
[정의]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 있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가마터.
[변천]
금산리 심원암골 도요지에서는 고려시대인 11~14세기에는 청자를 구웠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15~16세기에는 분청사기와 백자를 주로 구웠다고 한다.
[위치]
심원암(深源庵)과 청룡사(靑龍寺)로 갈라지는 갈림길에서 심원암 방향으로 약 50m 지점에 있는 밭이 가마가 있던 곳이다.
[발굴조사경위 및 결과]
1996년 국립전주박물관에서 전라북도 지역의 조선시대 분청사기·백자 유적 현황과 관련한 사료와 기록 자료 및 현지조사가 크게 부족한 현실을 고려하여 조사에 착수하였다. 당시 조사에서는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수록된 자기소와 도기소 가운데 전라북도 지역에 속하였던 12개 지역의 도기소와 자기소 각각 13개소 등 모두 26개소를 대상으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김제 지역의 도요지에 대한 조사는 같은 해 4월 8일부터 13일까지 6일간 진행되었는데, 금산리 심원암골 도요지에서 출토된 유물은 청자의 경우 주로 대접과 접시들로서, 11~13세기의 것은 내저(內底) 원심이 작게 패인 것이며 14세기 말기의 것은 내저 원각(圓刻)이 없다. 조선 전기의 분청으로는 대접과 접시·항아리 저부편이 발굴되었는데, 인화여의두문(印花如意頭文)·우점문(雨點文)·국화문(菊花文) 등의 문양을 하고 있다. 백자는 대접과 접시, 그리고 종지와 잔 등으로 제작수법이 조잡하기는 하지만 조선 후기의 백자처럼 둔탁한 수법을 보이지는 않고 있다. 조사 결과는 국립전주박물관에서 『전북의 조선시대 도요지』라는 제목의 책자로 간행되었다.
[현황]
현재 금산리 심원암골 도요지는 밭으로 이용되면서 가마터는 완전히 파괴되었지만, 백자편과 분청편이 사방에 널려 있다.
[의의와 평가]
1996년 국립전주박물관에서 김제 지역을 포함한 전라북도 지역 내 다수의 도요지를 조사함으로써 이 지역 도요문화의 실체를 어렴풋하게나마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를 시발점으로 하여 전라북도 문화유적에 대한 적극적인 보존과 다각적인 조사가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