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20581
한자 蔡星源
영어공식명칭 Chae Seongwon
이칭/별칭 사규(士奎),공산(公山),야당(野堂)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황동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70년 4월 10일연표보기 - 채성원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22년 - 채성원『사례작휘(四禮酌彙)』4편을 찬집함
몰년 시기/일시 1932년 5월 3일연표보기 - 채성원 사망
출생지 채성원 출생지 - 대구광역시 동구 미대동
수학|강학지 채성원 강학지 - 대구광역시 동구 미대동 지도보기
묘소|단소 채성원 묘소 - 대구광역시 동구 미대동 지도보기
성격 문인
성별 남성
본관 인천

[정의]

근대시기 대구광역시 동구 미대동 출신 문인 학자.

[가계]

채성원의 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사규(士奎), 호는 공산(公山)이다. 시조는 고려 중엽 동지추밀원사를 지낸 채선무(蔡先茂)이며, 중시조는 고려 말에 호조 전서를 지내다가 조선이 개국되자 절의를 지켜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한 채귀하(蔡貴河)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채영국(蔡榮國), 할아버지는 채범곤(蔡範坤), 부친은 채세동(蔡世東), 모친은 부림홍씨(缶林洪氏)로 홍우찬(洪禹燦)의 딸이다. 생부는 채석현(蔡錫玄), 생모는 한산이씨(韓山李氏)로 이수형(李秀瑩)의 딸이다. 부인은 달성서씨(達城徐氏)로 서석원(徐錫元)의 딸이다. 2남4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채충식(蔡忠植)·채은식(蔡恩植)이며, 딸은 각각 성진경(成振慶)·이병훈(李秉塤)·이성기(李成基)·여홍태(呂洪台)에게 시집갔다.

[활동 사항]

채성원은 1870년(고종 7) 4월 10일에 대구부 해북촌면(海北村面) 미대리(美岱里)[지금 대구광역시 동구 미대동]에서 태어났다. 8세 때 외조부 대은공(大隱公) 이수형(李秀瑩)에게 수학하였고, 1892년(고종 29)에 부친의 명으로 척암(拓菴) 김도화(金道和)에게 공부를 배웠다. 채성원은 평소 산수를 무척 사랑하여 산을 넘고 강을 건너는 것을 꺼리지 않았다. 그래서 남쪽으로는 가야산부터 진주에 이르기까지, 서쪽으로는 금강부터 계룡산에 이르기까지 동쪽으로는 관동에서부터 금강산 내외에 이르기까지, 서북쪽으로는 압록강부터 황해도에 이르기까지 유람하지 않은 곳이 없었다. 채성원은 원래 호를 ‘야당(野堂)’이라 했으나, 금강산에서 돌아온 뒤에 호를 ‘공산(公山)’으로 바꿨다. 채성원은 마을에 있는 성재당(盛才堂)에 자주 머물렀는데, 그곳에 소나무·대나무·매화·국화를 심고 또 바위를 배치한 다음 ‘오우사(五友社)’라 명명한 뒤에 한가할 때면 그곳에 걸터앉아 그윽한 풍경을 감상하곤 하였다. 때때로 달 밝은 고요한 밤에 손님이 모두 떠나고 흥이 일면 주자의 「무이정사잡영(武夷精舍雜詠)」과 퇴계의 「도산기(陶山記)」를 외웠는데, 평소 즐겨 읽는 작품들이다. 채성원은 1931년 병에 걸렸는데, 이듬해 봄에 병이 더욱 악화되어 결국 1932년 5월 3일에 세상을 떠나니 향년 63세였다.

[학문과 저술]

채성원은 1922년 구성서(具晟書)와 함께 관혼상제(冠婚喪祭)와 관련된 고금의 예설을 모아 그 중에 번다하여 행하기 어려운 것은 버리고 간편하면서도 오늘에 부합하는 것만을 취하여 『사례작휘(四禮酌彙)』4편을 찬집하였다. 채성원이 남긴 8권 4책의 시문집 『공산집(公山集)』이 전한다.

[묘소]

채성원의 묘소는 대구부 해북촌면(海北村面) 미대리(美岱里) 서쪽 신지(新枝) 고개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