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20527
한자 具然雨
영어공식명칭 Ku Yeonu
이칭/별칭 금우(琴愚),문극(文極)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근대
집필자 구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43년 1월 28일연표보기 - 구연우 출생
활동 시기/일시 1893년 12월 - 구연우 통정대부 홍문관 시학 겸 승정원 좌승지 제수
몰년 시기/일시 1914년 5월 6일연표보기 - 구연우 사망
출생지 구연우 출생지 -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
거주|이주지 구연우 거주지 -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
거주|이주지 구연우 이주지 - 대구광역시 동구 신평동 지도보기
묘소|단소 구연우 묘소 -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죽정동
성격 문인
성별
본관 능성
대표 관직 통정대부 홍문관 시학|승정원 좌승지

[정의]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대구광역시 동구 신평동에서 활동한 유학자.

[가계]

구연우의 자는 문극(文極), 호는 금우(琴愚), 본관은 능성(綾城)이며. 아버지는 처사 구욱조(具郁祖)이고 어머니는 성주도씨(星州都氏)이다. 아들은 돈와(遯窩) 구태서(具泰書)이다.

[활동 사항]

구연우는 어릴 때부터 문재(文才)로 이름이 났었다. 구경(九經)과 삼사(三史)에 통하였으며 삼례(三禮)와 삼전(三傳) 공부를 잘했다. 성균관에서 『중용』과 『대학』의 문목(問目)을 강론할 때 재상들이 교남(嶠南)[경상도]의 대유(大儒)[큰 선비]라고 하고 자제들의 교육을 부탁하였다. 1887년(고종 24)에 관찰사 이호준(李鎬俊)이 실시한 낙육재(樂育齋) 재생(齋生) 시험에 합격하였다. 1893년(고종 30)에 학행으로 천거되어 통정대부(通政大夫) 홍문관 시학(弘文館 侍學) 겸 승정원 좌승지(承政院 左承旨)에 제수되었으나 시사(時事)[세상 일]가 날로 그릇됨에 나아가지 아니하였다. 1896년(고종 33)에 판서 엄세영(嚴世永)이 관찰사로 부임하여 공을 관직에 천거하려고 하였으나 사양하였다.1896년 대구광역시 북구 무태 동변동에서 대구광역시 동구 신평동[속명: 신덕, 설무산] 돈지봉(遯趾峯) 아래로 이사하였다. 이렇듯 구연우대구광역시 동구 신평동에서 은거하면서 20여 년간 신덕서당(新德書堂)에서 후진을 양성하였다.

[학문과 저술]

구연우는 「성균관(成均館)」, 「중용문목(中庸問目)」, 「대학문목(大學問目)」, 「금우자서(琴愚自序)」를 지었고, 문집으로 『금우집(琴愚集)』, 『금우속집(琴愚續集)』이 있다.

[묘소]

구연우의 묘소는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에 있었으나, 도시가 확장하면서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죽정동으로 이장하였다.

[상훈과 추모]

구연우의 묘비는 가선대부(嘉善大夫) 규장각 부제학(奎章閣 副提學) 완산(完山) 이순하(李舜夏)가 지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