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20412
한자 桐華寺 浮屠群
영어공식명칭 Stupa Colony of Donghwasa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237길 147[도학동 산124-1]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근대
집필자 배성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6년 12월 5일연표보기 - 동화사부도군,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동화사부도군,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현 소재지 동화사부도군 -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산124-1 지도보기
성격 승탑
양식 팔각원당형|종형
관련 인물 고운당|계영당 극린대사|성임당 축존대사|상봉 정원대사|함우당|기성당 대사|성암당 해정대사|제월당 대사|고한당
재질 석재
크기(높이) 1.41m~3.32m
소유자 동화사
관리자 동화사
문화재 지정 번호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에 위치한 동화사 입구 북쪽 산기슭에 있는 1676년부터 1927년까지 건립된 승탑.

[개설]

동화사부도군은 둔중하고 경직된 지붕들의 처리 등 제작기법과 세부적인 양식 특징이 동화사 금당암(金堂庵) 앞의 대구 도학동 승탑[보물 제601호]에 비해 보다 단순하고 도식화되어 있어 조선시대 후반에 조성된 승탑임을 잘 보여준다.

[건립 경위]

동화사부도군동화사에서 입적한 승려들의 사리(舍利)[부처, 성자의 유골]를 일괄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약 10기를 함께 봉안한 승탑이다.

[위치]

동화사부도군동화사 입구에 있는 연못 북편 산기슭에 있다.

[형태]

동화사부도군은 1676년 건립한 고운당묘탑(孤雲堂墓塔)부터 1927년 건립한 제월당대사탑(霽月堂大師塔)까지 10기가 세워져 있다. 동화사부도군의 형식은 크게 통일신라 이래로 그 전통이 이어져오고 있는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과 조선시대에 보편적인 형태인 종형(鐘形)이다. 전반적으로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한 종형 승탑은 형태가 단순한 반면, 팔각원당형 승탑은 앙련(仰蓮)[꽃부리가 위로 향한 연꽃무늬]과 복련대(伏蓮帶)[꽃부리가 아래로 향한 연꽃무늬의 하대석]를 갖추고 둥근 형태의 탑신 위에 4각 또는 8각 모양의 옥개석(屋蓋石)[지붕돌]을 얹은 형태이다. 10기 동화사 부도의 특성을 축조순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고운당묘탑(孤雲堂墓塔)은 높이 188㎝이며, 1676년(숙종 2)에 만들었다. 4각의 바닥돌과 둥근 기단 위에 위가 뭉툭하게 잘린 종모양의 탑몸돌이 놓여 있다.

계영당극린대사탑(桂影堂克麟大師塔)은 높이 229㎝인데, 1692년(숙종 18)에 세웠다. 기단의 가운데돌에 특이한 무늬가 있으며, 8각 지붕돌은 여덟 귀퉁이가 위로 들려 있고 머리장식은 파손되었다.

성임당축존대사탑(性任堂竺尊大師塔)은 높이 233㎝이며, 1700년(숙종 26)에 만들었다. 바위를 바닥돌로 삼고, 둥근 기단을 올린 후 종모양의 탑신을 쌓았다.

상봉정원대사탑(霜峯淨源大師塔)는 높이 251㎝이며, 1709년(숙종 35)에 세웠다. 큼직한 연꽃을 새긴 기단 위로 둥근 탑몸돌과 4각 지붕돌을 올려 놓았다.

함우당묘탑(涵宇堂墓塔)은 높이 265㎝이며 1720년(숙종 46)에 만들었다. 바닥돌과 기단에는 큼직한 연꽃무늬를 두르고, 8각 지붕돌에는 밑면에 5단의 받침을 두었다.

기성당대사탑(箕城堂大師塔)은 높이 234㎝이며 1764년(영조 40)에 세웠다. 연꽃을 조각한 기단 위에 타원형의 탑몸돌과 4각 지붕돌을 올린 모습이다.

성암당해정대사탑(聖巖堂海淨大師塔)은 높이 215㎝이며, 1839년(헌종 5)에 만들었다. 네모난 바닥돌과 기단(基壇) 위로 종모양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제월당대사탑(霽月堂大師塔) 높이 332㎝로 1927년에 세웠다. 네모난 바닥돌 위로, 둥근 기단을 마련하고, 타원형의 탑몸돌 위로 4각 지붕돌을 얹은 모습이다.

고한당묘탑(孤閑堂墓塔)은 높이 141㎝로 세운 연대는 알 수 없다. 4각 바닥돌 위로 8각 기단을 두고, 타원형의 탑몸돌에 8각 지붕돌을 올린 모습이다.

무명탑(無名塔)은 높이 241㎝로 시대미상이다. 4각 바닥돌 위에 꽃무늬를 새긴 둥근 기단을 두고, 타원형의 탑몸돌 위로 4각 지붕돌을 얹은 모습이다.

[금석문]

동화사부도군은 무명탑 1기를 제외하고 부도의 주인공이 음각되어 있다. 그렇지만 승려의 이름만 새겨둘 뿐 승려의 행적을 기록한 것은 드물다.

[현황]

동화사부도군은 능선의 정선부를 따라 계단식으로 부지를 조성하고 축대를 쌓은 후 부도를 세웠는데, 각 단마다 1~4기 정도를 각각 배치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동화사부도군의 승탑은 조성연대가 대부분 확인되고 있어 17~20세기초 사찰 승탑의 변화과정을 연구하는데 매우 양호한 자료이다. 동화사부도군은 1986년 12월 5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 문화재공간정보서비스(http://www.gis-heritage.go.kr)
  • 문화재청(http://www.cha.go.kr)
  • 팔공총림 동화사(http://www.donghwasa.net)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