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6456 |
---|---|
한자 | 陳田吟 |
영어공식명칭 | Reciting A Poem From An Old Field |
이칭/별칭 | 「묵은밭에서 읊다」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대구광역시 수성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영호 |
저자 생년 시기/일시 | 1553년 - 「진전음」 저자 손처눌 출생 |
---|---|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 1599년 - 「진전음」 창작 |
저자 몰년 시기/일시 | 1634년 - 「진전음」 저자 손처눌 사망 |
편찬|간행 시기/일시 | 1784년 - 『모당집』에 「진전음」 수록하여 간행 |
배경 지역 | 청호서원 -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250-11[황금동 산79-4] |
성격 | 한시|오언고시 |
작가 | 손처눌 |
[정의]
조선 후기 대구 지역에서 강학 활동과 의병 활동을 한 손처눌이 1599년에 묵정밭을 바라보며 감회를 읊은 한시.
[개설]
「진전음(陳田吟)」의 저자 손처눌(孫處訥)[1553~1634]의 본관은 일직(一直)이며, 자는 기도(幾道)이고, 호는 모당(慕堂)이다. 아버지는 손수(孫遂)이고, 어머니는 한산이씨(韓山李氏) 이탄(李坦)의 딸이다. 정구(鄭逑)[1543~1620]의 문인이다. 장현광(張顯光)[1554~1637], 서사원(徐思遠)[1550~1615], 곽재겸(郭再謙)[1547~1615], 류요신(柳堯臣)[1550~1618] 등과 교유하였다. 학문과 효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임진왜란(壬辰倭亂)[1592]이 발발하자 대구의 지역 인사들과 공산의진군(公山義陣軍)을 조직하여 왜적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서사원과 함께 대구 지역의 강학 활동에 힘써 대구 문풍(文風)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대구의 청호서원(靑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모당집(慕堂集)』이 있다.
2001년 발행한 『국역 모당선생문집(國譯 慕堂先生文集)』에서는 「진전음」의 제목을 쉬운 우리말로 풀이하여 「묵은밭에서 읊다」라고 표기하였다.
[구성]
「진전음」은 4행의 오언고시(五言古詩)이다.
[내용]
가석십년진(可惜十年陳)[애석하게도 십 년 동안 묵혀 놔서]
일우성난기(一牛誠難起)[소 한 마리로는 일구기 어렵겠네]
오심역심언(吾心亦甚焉)[내 마음 역시 묵은밭보다 심하니]
기몰청명지(幾沒淸明地)[밝고 맑은 바탕 얼마나 덮여 있을까]
[특징]
「진전음」은 측성(仄聲)으로 압운(韻)을 맞춘 측운시이다.
[의의와 평가]
「진전음」은 손처눌이 묵은밭[묵정밭의 평안북도 방언]을 바라보며 학문을 쉴 수밖에 없었던 자신의 심정을 읊은 시이다. 『모당집』의 권두시(卷頭詩)이며, 손처눌의 충절과 학문에 대한 의지가 잘 드러난 작품이다. 「진전음」은 임진왜란이 끝난 직후에 지어진 시인데, 시에서 말하는 10년 세월은 전쟁으로 인하여 밭을 묵혀 둘 수밖에 없었던 기간을 설정한 것이다. 10년 동안 묵혀 놓을 수밖에 없었던 밭은 소 한 마리로 일구기 힘들지만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매몰된 자신의 타고난 본성을 묵정밭을 일구듯이 다시 담담히 닦아 나아갈 것을 담박한 어조로 노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