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4470 |
---|---|
한자 | 景毅齋 思誠齋 |
영어공식명칭 | Gyeonguijae·Saseongjae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대구광역시 북구 노곡동 |
시대 | 근대/개항기,현대/현대 |
집필자 | 김충희 |
대구광역시 북구 노곡동에 있는 김문기와 김귀송을 추모하기 위한 재실.
경의재(景毅齋)는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가 순절한 백촌(白村) 김문기(金文起)[1399~1456]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재실이다. 김문기는 1456년(세조 2) 단종 복위 계획이 사전에 발각되어 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하위지(河緯地)·이개(李塏)·유성원(柳誠源)·유응부(兪應孚) 등과 함께 처형되었다. 그 후 1731년(영조 7) 조정에서 김문기의 관작을 복관하였고, 1757년(영조 33)에는 충의(忠毅)라는 시호를 내렸다. 재실 이름을 ‘경의재(景毅齋)’라고 한 것은 김문기의 시호인 ‘충의(忠毅)’에 경모(景慕)한다는 의미를 더한 것이다.
사성재(思誠齋)는 김녕김씨(金寧金氏) 노곡동 입향조인 김귀송(金貴松)을 추모하는 재실이다. 김귀송은 김문기의 7대손인데, 선조인 김문기가 경상도아사(慶尙道亞使)로 대구에 부임하였을 때 금호강 변에 있는 노곡동 지역을 즐겨 찾았다는 것을 알고 노곡동으로 이거하여 조상을 숭모하며 살았다고 한다.
경의재와 사성재는 대구광역시 북구 노곡로4길 31-5[노곡동 204]에 있다. 앞에는 금호강이 흐르고 뒤에는 함지산이 있다.
경의재는 1900년에 창건되어 1991년에 중건하였다. 사성재는 경의재를 중건한 1991년에 창건되었다.
경의재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형태이다. 사성재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형태이다.
김문기의 유허비 비각인 태충각(泰忠閣)을 중심으로 비각의 좌측에는 경의재가, 우측에는 사성재가 자리 잡고 있다.
1791년(정조 15)에 단종을 위하여 충성을 바친 여러 신하들에게 『어정배식록(御定配食錄)』을 편정(編定)할 때, 김문기는 삼중신(三重臣)[민신(閔伸), 조극관(趙克寬), 김문기]의 한 사람으로 선정되었다. 그리고 성삼문·박팽년·하위지·이개·유성원·유응부 등 여섯 사람은 『추강집(秋江集)』의 「육신전(六臣傳)」에 의하여 ‘사육신’에 선정되었다. 1977년 국사편찬위원회에서는 사육신 문제를 규명하기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여 여러 차례 논의한 끝에 “김문기를 사육신의 한 사람으로 현창(顯彰)하는 것이 마땅하다”라는 결의를 만장일치로 채택하였다. 김문기를 추모하는 재실인 경의재는 사육신의 충의를 되새기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