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0151 |
---|---|
한자 | 峨洋橋 |
영어공식명칭 | Ayanggyo Bridge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동촌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현미 |
준공 시기/일시 | 1932년 - 아양교 준공 |
---|---|
증설|폐설 시기/일시 | 1983년 - 아양교 증설 |
전구간 | 아양교 -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동촌동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아양교 -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동촌동![]() |
성격 | 다리 |
길이 | 230.8m |
차선 | 6차선 |
폭 | 35m |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과 동구 동촌동을 연결하는 다리.
1983년 확장된 아양교는 총길이 230.8m, 총폭 35m, 유효폭 26m, 높이 10m, 경간수 8개, 최대경간장 32m의 교량으로 상부구조 형식은 PSCI형교, 하부형식은 라멘식이다.
1932년에 준공되었으며 1983년에 추가로 폭 35m, 길이230.8m로 확장하였다. 1970년대에 제2아양교, 1990년대 제3아양교가 건설되었으며 이 다리들은 1999년 대구시 공공시설물 명칭 개정 작업으로 인하여 화랑교, 공항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3년 대구하계유니버시아드를 앞두고 아양교 위에 폭 3m, 길이 150m의 아치형 인도를 조성하였으나 장애인이나 노인 등 노약자의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여 2006년 철거하였다.
아양교는 왕복 6차선을 가지며 양옆으로 보행자를 위한 보도를 보유하고 있다. 버스전용차로 또한 조성되어있다. 아양교를 지나가는 도로는 광역시도인 아양로이다. 총 3.4km의 거리로 금호강을 건너는 가장 오래된 다리로 대구광역시에서 영천, 경주, 포항 등 동남부 지역으로 빠져나가던 관문역할을 하였으며,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에서부터 아양교를 가로질러 대구광역시 동구 입석동까지 연결한다. 동구청과 경북지방우정청이 인접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