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6669 |
---|---|
한자 | 遊動鶴山 吟贈崔康侯諸君 |
영어공식명칭 | Recite Poems To Several People, Including Choi-Ganghoo, While Traveling Around Donghaksan Mountain |
이칭/별칭 | 「동학산을 유람하면서 최강후와 여러 벗들에게 시를 읊어 주다」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수성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곽명재 |
저자 생년 시기/일시 | 1553년 - 「유동학산 음증최강후제군」 저자 손처눌 출생 |
---|---|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 1604년 - 「유동학산 음증최강후제군」 창작 |
저자 몰년 시기/일시 | 1634년 - 「유동학산 음증최강후제군」 저자 손처눌 사망 |
편찬|간행 시기/일시 | 1784년 - 『모당집』에 「유동학산 음증최강후제군」 수록하여 간행 |
배경 지역 | 동학산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
배경 지역 | 청호서원 -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250-11[황금동 산79-4] |
성격 | 한시|오언율시 |
작가 | 손처눌 |
[정의]
조선 후기 대구 지역에서 강학 활동을 한 손처눌이 최흥국 등 여러 벗들과 동학산을 유람하면서 지은 한시.
[개설]
「유동학산 음증최강후제군(遊動鶴山吟贈崔康侯諸君)」은 손처눌이 최흥국 등 여러 벗들과 동학산을 유람하면서 지은 한시이다. 「유동학산 음증최강후제군」의 저자 손처눌(孫處訥)[1553~1634]의 본관은 일직(一直)이며, 자는 기도(幾道)이고, 호는 모당(慕堂)이다. 아버지는 손수(孫遂)이고, 어머니는 한산이씨(韓山李氏) 이탄(李坦)의 딸이다. 정구(鄭逑)[1543~1620]의 문인이다. 장현광(張顯光)[1554~1637], 서사원(徐思遠)[1550~1615], 곽재겸(郭再謙)[1547~1615], 류요신(柳堯臣)[1550~1618] 등과 교유하였다. 학문과 효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대구의 지역 인사들과 공산의진군(公山義陣軍)을 조직하여 왜적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서사원과 함께 대구 지역의 강학 활동에 힘써 대구 문풍(文風)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의 청호서원(靑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모당집(慕堂集)』이 있다.
최흥국(崔興國)의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자는 강후(康候)이다.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의병장이다.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서사원, 손처눌 등과 더불어 화왕산성(火旺山城) 전투에 참가하였다.
동학산(動鶴山)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과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의 경계에 위치한 산이다. ‘동학산’은 학이 울며 날아와 앉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산세가 험준하고 가파르다. 암혈(岩穴)에 암자가 있었는데, 동쌍암(童雙庵)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2001년 발행한 『국역 모당선생문집(國譯 慕堂先生文集)』에서는 「유동학산 음증최강후제군」의 제목을 쉬운 우리말로 풀이하여 「동학산을 유람하면서 최강후와 여러 벗들에게 시를 읊어 주다」라고 표기하였다.
[구성]
「유동학산 음증최강후제군」은 오언율시(五言律詩)이다.
[내용]
우연성일회(偶然成一會)[우연히 다 함께 모일 수 있었으니]
선탑모운청(禪榻暮雲晴)[선탑으로 구름 하늘 저물 때구나]
전촉삼경야(剪燭三更夜)[삼경 밤까지 촛불 심지 잘라 가며]
짐배십재정(斟杯十載情)[십 년의 정 나누며 술잔 기울이네]
가화고금잡(佳話古今雜)[고금이 섞인 아름다운 이야기와]
청유설월병(淸遊雪月幷)[가경에 어울리는 맑은 유람이네]
제시하소사(題詩何所思)[시 지으면서 무슨 생각을 하였을까]
청결세한맹(請結歲寒盟)[세한의 맹세 맺기를 바라었다네]
[특징]
「유동학산 음증최강후제군」은 ‘경(庚)’ 계열의 운목이 사용된 오언율시이다.
[의의와 평가]
「유동학산 음증최강후제군」은 오랜만에 만나 새벽까지 담소를 나누며 유람을 즐기는 벗들의 모습이 잘 녹아 있는 작품이다. 밝은 분위기에 화기애애한 모습이 연상되는 시이다. 저자인 손처눌과 시 제목에 등장하는 최흥국은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참가하여 함께 왜적에 맞선 전우이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각자 대구와 양산으로 멀리 떨어진 지내다가 우연한 기회에 만나 동학산을 유람한 감회를 읊은 것이다. 미련(尾聯)에서는 절조를 지키는 지사(志士)가 되자는 맹세를 권하며 시를 갈무리하였다. 시간의 흐름, 공간의 이동, 분위기의 전환이 매우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