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4474 |
---|---|
한자 | 龜巖書院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대구광역시 북구 연암공원로17길 20[산격동 1180-197] |
시대 | 조선/조선 후기,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김충희 |
건립 시기/일시 | 1665년 - 구암서원 건립 |
---|---|
이전 시기/일시 | 1718년 - 구암서원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에서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229로 이건 |
훼철|철거 시기/일시 | 1868년 - 구암서원 훼철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24년 - 구암서원 복원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2년 3월 4일 - 구암서원숭현사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호로 지정 |
이전 시기/일시 | 1995년 - 구암서원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229에서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1180-197로 이건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6월 29일 - 구암서원숭현사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
현 소재지 | 구암서원 - 대구광역시 북구 연암공원로17길 20[산격동 1180-197] |
원소재지 | 구암서원 - 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 492-58[동산동 229] |
원소재지 | 구암서원 -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 |
성격 | 서원 |
양식 | 주심포 맞배지붕 |
정면 칸수 | 3칸 |
측면 칸수 | 2칸 |
소유자 | 달성서씨 대종회 |
관리자 | 달성서씨 대종회 |
문화재 지정 번호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구암서원숭현사] |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서원.
구암서원은 세종대왕 때 달성(達城)[현재 달성공원]을 국가에 헌납하고 보상을 받는 대신 고을 백성들의 환곡을 감하여 달라고 요청하였던 서침(徐沈)을 추모하던 숭현사(崇賢祠)에서 비롯되었다.
구암서원은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1180-197에 있다. 연암공원이라 불리는 연암산 산자락의 남쪽 기슭에 해당한다.
구암서원은 1665년(현종 6)에 대구 지역 유림의 공의로 서침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 연귀산(連龜山) 기슭에 창건한 숭현사에서 비롯되었다. 1718년(숙종 44)에 중구 동산동 구암(龜巖) 아래로 이건하고, 서거정(徐居正)[1420~1488]을 배향하였으며, 1741년(영조 17)에 서성(徐渻)[1558~1631], 1757년(영조 33)에 서해(徐嶰)[1537~1559]를 추가 배향하였다. 1868년 훼철되었다가, 1924년 복원하였다. 1995년에 연암공원 내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고, 2008년에 서사원(徐思遠)[1550~1615]을 추가 배향하였다. 1982년 3월 4일 구암서원 숭현사가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구암서원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주심포 맞배지붕의 구조이다. 구암서원 경내의 건물로는 사당 건물인 숭현사와 강당인 초현당이 있고, 동재, 서재, 내삼문, 외삼문, 강당 등이 있다.
구암서원은 2016년에 사단법인 영남선비문화수련원을 개원하여 다양한 활용 방안을 만들어 시행하고 있다.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의 옛 구암서원은 대구전통문화센터가 되었다. 대구전통문화센터는 새 구암서원으로 옮겨 가지 않은 옛 건물들을 활용하여 전통문화 체험과 한옥 숙박[한옥스테이] 장소로 쓰고 있다.
구암서원은 달성서씨 문중의 서원이라는 차원을 초월하여 영남선비수련원과 대구전통문화센터를 운영하여 다양한 교육과 체험 활동을 시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