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800609 |
---|---|
한자 | 鐵原承日橋 |
영어공식명칭 | Cheorwon Seungilgyo Bridge |
이칭/별칭 | 승일교(昇日橋)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725|갈말읍 내대리 산61-1 외 1필지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영규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2년 05월 31일 - 철원 승일교 국가등록문화재 제26호로 등록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철원 승일교 국가등록문화재 재지정 |
조성|건립 시기/일시 | 1948년 - 철원 승일교 공사 중단 |
조성|건립 시기/일시 | 1952년 - 철원 승일교 완공 |
현 소재지 | 철원 승일교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4리|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 |
성격 | 다리 |
양식 | 아치교|소련식 유럽 공법 |
크기(높이,길이,둘레) | 120m[길이]|8m[폭]|35m[높이] |
문화재 지정번호 | 국가등록문화재 |
[정의]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와 갈말읍 문혜리를 잇는 6·25전쟁 때 완공된 다리.
[개설]
강원도 철원군 북방 북한 땅에서 발원한 한탄강(漢灘江)은 철원군 한가운데를 남북 방향으로 지나 포천·연천으로 흘러간다. 한탄강은 현무암 용암 대지가 움푹 파여 형성된 강이라 강 양쪽에 높이 20~30m 기암절벽이 발달하여 있다. 그래서 한탄강은 예로부터 주민들의 동서 교류를 가로막는 커다란 장애물이었다. 한탄강 협곡에 최초로 세워진 근대식 콘크리트 다리가 철원 승일교(鐵原承日橋)이다. 철원 승일교를 자세히 보면 가운데를 기준으로 좌우 다리 모양이 다르다. 그 이유는 다리를 놓은 주체가 다르기 때문이다. 승일교 공사는 1948년 8월 공산 정권 아래에서 남침 교두보 확보를 위하여 시작되었으나 절반도 놓지 못한 상태에서 6·25전쟁이 발발하여 공사는 중단되었다. 중부 전선에서 치열하게 전투할 무렵이던 1952년 4월 미군 공병부대가 철원 승일교 보강 공사에 투입되어 5개월에 걸친 공사 끝에 완공하였다. 미군이 주도한 철원 승일교 공사에는 미처 피난 가지 못하고 철원 땅에 남아 있던 KSC 노무부대원들도 투입되었다. 철원 승일교는 원래 ‘한탄교’라는 이름으로 공사가 시작되었으나 완성하지 못한 채 방치되어 있는 사이 이름도 잊혀졌다. 6·25전쟁이 끝난 후 남북 합작의 공사 과정을 알고 있는 철원 주민들은 그때부터 남한 이승만 대통령의 ‘승(承)’자와 북한 김일성의 ‘일(日)’자를 따서 승일교(承日橋)라 부르기 시작하였다. 철원 승일교는 국가등록문화재 제26호로 등록되었다.
[건립 경위]
철원 승일교 공사는 1948년 8월 공산 정권 아래에서 남침 교두보 확보를 위하여 철원 및 김화 지역 주민들을 노력공작대라는 명목 아래 5일간 교대제로 동원하여 시작되었다. 일제 강점기 구주공전 출신으로 진남포제련소 굴뚝을 설계하였고 당시 철원농업전문학교 토목과 과장이던 김명여(金明呂) 교사가 설계하여 시공된 것으로 전하고 있으며 소련식 유럽 공법이라 평하기도 한다. 다리 공사 지지대로 쓰이는 비계(飛階)용 나무는 금학산 담터계곡이나 신철원 용화동에서 조달되었고 인근 내대리 백토광산에서 일본인이 사용하던 돌 깨는 기계도 동원되었다. 공산 정권 아래에서 다리 공사 부역에 동원되었던 주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18세 이상 60세 미만은 1년에 18일간 부역하여야 하였고, 내대리 주민들은 30일을 일하여야 하였다고 한다.
[위치]
철원 승일교는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4리와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의 경계가 된다. 문혜사거리 국도 제43호에서 옛 철원읍 중리를 지나 묘장면, 인목면, 마장면을 거쳐 이천(伊川)[북한]으로 통하는 지방도 제463호로 이어지는 중요한 다리이다.
[형태]
철원 승일교는 소련식 유럽 공법의 철근 콘크리트 라멘조 아치교로 교량의 조형미가 돋보인다. 길이 120m, 폭 8m, 높이 35m로 1948년 건설 중에는 한탄강 절벽에 시공하는 난공사였다.
[현황]
철원 승일교는 2002년 5월 31일 국가등록문화재 제26호로 등록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등록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현재는 노후화되어 차량 운행이 불가능하다.
[의의와 평가]
철원군은 6·25전쟁 전 북한 땅이었다가 전쟁 후에 남한에 편입된 수복 지구이다. 분단과 전쟁, 수복 지구라는 역사적 특성을 가장 상징적으로 품고 있는 것이 철원 승일교이다. 철원 승일교의 역사는 철원군의 역사와 함께하며 역사성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