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500906 |
---|---|
한자 | 金球應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충청남도 천안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정을경 |
출생 시기/일시 | 1887년 7월 27일 - 김구응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4월 1일 - 아우내 장터 만세 운동 참여 |
몰년 시기/일시 | 1919년 4월 1일 - 김구응 사망 |
추모 시기/일시 | 1991년 - 김구응 대한민국 건국 훈장 애국장 추서 |
출생지 | 김구응 출생지 - 충남 천안군 갈전면 가전리 99번지 |
활동지 | 천안 아우내 장터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병천리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3·1 운동 |
[정의]
일제 강점기 천안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김구응(金球應)[1887~1919]은 1887년 7월 27일 충청남도 천안군 갈전면 가전리 99번지에서 출생하였다. 1919년 4월 1일 갈전면[지금의 병천면(竝川面)] 아우내 장터에서는 약 3,000여 명의 장꾼들이 모여 3단계로 만세 운동을 진행하였다. 아우내 장터 만세 운동은 수신면(修身面)·성남면(城南面) 계와 동면(東面) 계로 나누어 계획되었고, 김구응은 동면계 인물이었다.
[활동 사항]
김구응이 참여한 만세 운동은 유관순이 주도적으로 활동한 만세 운동으로, 4월 1일 아우내 장터의 장날을 이용하여 거사하기로 합의되어 있었다. 마침내 시위날이 되자 김구응은 아우내 장터로 가 군중들과 함께 대한 독립 만세를 부르며 태극기를 흔드는 등 적극적으로 운동에 참여하였다. 이때 일제의 무차별적인 발포가 있었고, 이로 인해 김구응이 사망하였다. 김구응은 총을 맞기 직전 일본 헌병에게 적극적으로 항의하였고, 이 과정에서 총을 맞았다. 헌병은 야만무도하게도 총을 맞고 쓰러진 김구응의 두개골을 박살냈다. 아들의 사망 소식을 듣고 달려온 김구응의 어머니 최정철이 아들의 시체를 안고 통곡하였다. 그러자 헌병은 그 늙은 어머니마저도 창과 칼로 찔러 죽이는 만행을 자행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1년 대한민국 건국 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