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600049 |
---|---|
한자 | 公園 |
영어공식명칭 | Park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경기도 부천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권만용,김태우 |
[정의]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시민들의 보건·휴양·놀이 등을 위하여 설치한 시설이나 공공 녹지.
[개설]
서울과 인천 사이에 자리한 부천시는 주거, 상업, 공업 지역이 지속적으로 조성되고 이에 따른 인구의 증가와 급속한 도시 성장에 따라 도시 환경의 질이 크게 떨어졌다. 이에 부천시에서는 쾌적한 도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도시공원 녹지 체계를 재정비하고자 2012년 7월 ‘2020년 부천시 공원 녹지 기본 계획’을 수립하였다. 무분별한 개발을 막고 체계적으로 공원을 조성하여 시민들의 휴식 공간을 확대하기 위한 계획이었다.
[현황]
부천시는 과거 녹지율이 전국 최저였지만 점차 녹지 공간을 늘려 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래서 2022년 현재 부천시의 주요 공원으로는 상동호수공원, 부천중앙공원, 도당근린공원, 부천 원천공원, 원미공원, 소사대공원, 오정대공원, 안중근공원 등이 있다. 이 중 안중근공원은 새로운 관광 명소이자 역사 문화공원으로 사랑받고 있다.
상동호수공원은 인천광역시와의 경계에 있다 보니 인근 부평구 부개동 주민들이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부천중앙공원은 중동 신도시의 중심 공원으로 조성되었으며, 상동호수공원과 함께 부천시의 도심 녹지를 책임진다. 큰 면적을 자랑하며 도서관, 배드민턴장, 배구장, 점핑 분수 등의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실제로 날씨 좋은 날 부천중앙공원에 가 보면, 도로 한편의 빈 구역엔 차들이 빼곡하고 공원 안엔 운동하는 사람들로 가득하다. 공원 가운데에 대형 무대가 있었으나 시설 노후화를 이유로 철거하고 현재는 작은 소나무 숲이 그 자리를 채우고 있다.
1997년부터 매년 3월~10월의 주말에는 부천중앙공원과 부천시청 사이 거리[소향로]의 자동차 통행이 금지되고, ‘차 없는 거리’가 운영된다. 시민들이 자전거를 타거나 전통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따금 문화 행사도 열린다. 한때 시에서는 부천중앙공원 한가운데에 지상 4층, 지하 1층 규모로 1,400억 원짜리 최신식 콘서트홀인 ‘부천시 문화예술회관’을 만든다는 계획을 세웠다. 중동 신도시의 원래 계획은 현재 센트럴파크 푸르지오가 지어진 부천시청 옆 부지에 짓는 것이었고, 2015년 부천시에서 이 부지를 문화예술회관이 포함된 초고층 복합 시설로 개발하려고 했으나 부천시의회의 반발로 부천중앙공원에 건설하기로 계획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부천중앙공원이 훼손되고 공사 중 분진이 심하게 날리며, 공원의 의미가 퇴색된다는 이유로 인근 주민들이 반대했고, 부천시에서는 녹지 공간을 확충해 녹지 비율을 유지하고, 공사 중 분진 발생을 줄이겠다고 대답하였다. 당시 부천시에서는 주변 주민들에게 안내 팸플릿을 돌리고, 공사 진행과 관련된 의견을 개진받기도 하는 등, 주민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려고 노력한 모습이 보였다.
원래 부천시 문화예술회관이 지어지려 했던 부천시청 옆 부지는 한때 출입이 금지된 상태로 부지 내에는 무슨 용도로 쓰이는지 모를 나무들이 가득 심어져 있었으나, 2000년대 중반부터 밀을 가득 심어 놓고 부지 가운데에는 정자를 만들어 시민들의 공간으로 이용하고 있다. 봄과 여름에는 황금빛 밀이 인상적이고, 가을에는 분홍빛 코스모스로 아름답다.
까치울역 동쪽에 자리한 부천자연생태공원 내에는 부천식물원, 자연생태박물관, 부천무릉도원수목원, 튼튼유아숲체험원, 농경유물전시관이 있다. 유리 온실인 부천식물원은 부천시의 시아이(CI)를 본뜬 모습이 특징이다. 부천시에는 이외에도 청동기시대 유물이 나온 고강선사유적공원이 있으며, 대형 공원으로 오정대공원과 소사대공원이 있다.
2022년 현재 부천시의 공원은 총 195개소로 2000년 94개소, 2010년 138개소에 머무르던 공원 숫자가 대폭 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중 근린공원은 39개, 어린이공원은 128개, 소공원은 17개, 주제공원은 11개를 차지하고 있다. 이때 가장 많이 늘어난 공원은 근린공원으로 2000년에 비해 23개가 늘었고, 주제공원 역시 2개에서 11개로 대폭 늘어났다. 소공원은 2000년부터 2010년에 없었지만 현재 17개로 늘어나 점차 다양한 성격의 공원이 늘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향후 계획]
부천시는 먼저 신도심과 원도심 간 녹지 공원의 불균형 해소를 위해 특색 있는 공원을 조성하고 자투리땅을 적극 활용하여 녹지 공원을 확충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에 지정된 공원에 대해서는 조성 계획에 따라 연차적으로 조속히 완료하고, 그린벨트 구역, 주택 지역의 나대지 등을 공원으로 확대 지정하여 푸른 도시를 조성할 예정이다. 거점 근린공원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생활권 공원인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쌈지 공원을 중간에 조성하고, 녹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자전거 도로 및 녹지대, 가로수 숲을 조성해 시 전체를 십자형 방사 녹지축으로 형성하여 환경 도시로 만들어 나가고 있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10.12.08 | 공원 | <소표제>[개설]</소표제> <문단><지명 검색='1' 검색어='부천시'>부천시</지명>는 시민들의 복지 증진과 야외 활동 장려를 위해 도시 내 녹지 공간 등을 활용하여 도시 자연 공원, 근린 공원, 어린이 공원, 체육 공원 등 총 112개 소 672만 7,159.3㎡를 도시 계획 시설로 조성하였다. 공원 지정 면적은 시 전체 면적 53.45㎢ 중 6.65㎢이며, 1인당 공원 면적은 7.88㎡이다. 그러나 개발 제한 구역과 녹지 지역을 제외했을 때 1인당 공원 면적은 1.25㎡에 불과하다. 각 구별로 보면, <지명 검색='1' 검색어='원미구'>원미구</지명>에 71개 소, <지명 검색='1' 검색어='소사구'>소사구</지명>에 32개 소, <지명 검색='1' 검색어='오정구'>오정구</지명>에 34개 소 등, <지명 검색='1' 검색어='원미구'>원미구</지명>에 과반수가 분포되어 있다. <지명 검색='1' 검색어='소사구'>소사구</지명>는 32개 소로 3개의 구 중에서 가장 적으나 미조성된 공원이 없고, <지명 검색='1' 검색어='오정구'>오정구</지명>는 미조성된 공원이 16개 소이나 면적은 상대적으로 적다.</문단> --> <문단><지명 검색='1' 검색어='부천시'>부천시</지명>는 시민들의 복지 증진과 야외 활동 장려를 위해 도시 내 녹지 공간 등을 활용하여 도시 자연 공원, 근린 공원, 어린이 공원, 체육 공원 등 총 103개 소 672만 7,159.3㎡를 도시 계획 시설로 조성하였다. 공원 지정 면적은 시 전체 면적 53.45㎢ 중 6.65㎢이며, 1인당 공원 면적은 6.10㎡이다. 그러나 개발 제한 구역과 녹지 지역을 제외했을 때 1인당 공원 면적은 1.25㎡에 불과하다. 각 구별로 보면, <지명 검색='1' 검색어='원미구'>원미구</지명>에 73개 소, <지명 검색='1' 검색어='소사구'>소사구</지명>에 14개 소, <지명 검색='1' 검색어='오정구'>오정구</지명>에 16개 소 등, <지명 검색='1' 검색어='원미구'>원미구</지명>에 과반수가 분포되어 있다. <지명 검색='1' 검색어='소사구'>소사구</지명>는 13개 소로 3개의 구 중에서 가장 적으며 미조성된 공원이 없고, <지명 검색='1' 검색어='오정구'>오정구</지명>는 미조성된 공원이 16개 소이나 면적은 상대적으로 적다.</문단> 2) <소표제>[현황]</소표제> <문단><지명 검색='1' 검색어='부천시'>부천시</지명>는 전체 공원 면적 672만 7,159.3㎡ 중에서 25.6%에 해당하는 1.7㎢ 면적이 미조성 공원이다. 즉 공원 조성 미집행율이 약 26%로 높은 편이다. 구역 내 조성되었거나 조성 중인 공원은 104개 소로 전체 공원 면적의 15.9%인 반면, 녹지 지역 내 공원은 9개 소로 전체 면적의 84.1%이다. 이는 대규모 공원이 주로 녹지 공원 및 개발 제한 구역에 있음을 의미한다.</문단> <문단>또한 <지명 검색='1' 검색어='부천시'>부천시</지명>의 공원은 소공원이나 근린 공원에 비해 어린이 공원 수가 많다. 이는 <지명 검색='1' 검색어='중동'>중동 신도시</지명>의 개발로 <지명 검색='1' 검색어='중동'>중동</지명> 내에만 21개 어린이 공원이 조성되는 등 도시의 특수성에 따라 중·장년층보다 젊은층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문단> --> <문단><지명 검색='1' 검색어='부천시'>부천시</지명>는 전체 공원 면적 672만 7,159.3㎡ 중에서 25.6%에 해당하는 1.7㎢ 면적이 미조성 공원이다. 즉 공원 조성 미집행율이 약 26%로 높은 편이다. 구역 내 조성되었거나 조성 중인 공원은 103개 소로 전체 공원 면적의 15.9%인 반면, 녹지 지역 내 공원은 9개 소로 전체 면적의 84.1%이다. 이는 대규모 공원이 주로 녹지 공원 및 개발 제한 구역에 있음을 의미한다.</문단> <문단>또한 <지명 검색='1' 검색어='부천시'>부천시</지명>의 공원은 소공원이나 근린 공원에 비해 어린이 공원 수가 많다. 이는 <지명 검색='1' 검색어='중동'>중동 신도시</지명>의 개발로 <지명 검색='1' 검색어='중동'>중동</지명> 내에만 21개 어린이 공원이 조성되는 등 도시의 특수성에 따라 중·장년층보다 젊은층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문단> 3) <소표제>[의의와 평가]</소표제> <문단><지명 검색='1' 검색어='부천시'>부천시</지명>는 1인당 생활권 공원 면적이 3.7㎡로 <지명 검색='0' 검색어=''>경기도</지명> 내 공원 면적 순위 15위에 속한다. 이는 <지명 검색='0' 검색어=''>경기도</지명> 내 주요 도시나 전국 광역 도시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수준이며, ‘도시공원법’에 의한 법정 1인당 공원 확보 면적에서 도시 지역 6㎡에 비해서도 부족한 상태이다. 2010년 현재 <지명 검색='1' 검색어='부천시'>부천시</지명>에서는 공원이 많이 조성되고 있으나, 생활권 공원인 근린 공원과 어린이 공원 등을 포함해 <지명 검색='1' 검색어='원미구'>원미구</지명>가 112 개 소, <지명 검색='1' 검색어='소사구'>소사구</지명> 25개 소, <지명 검색='1' 검색어='오정구'>오정구</지명> 18개 소로 <지명 검색='1' 검색어='원미구'>원미구</지명>에 집중되어 있어 향후 공원 계획의 고른 분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문단> --> <문단><지명 검색='1' 검색어='부천시'>부천시</지명>는 1인당 생활권 공원 면적이 3.7㎡로 <지명 검색='0' 검색어=''>경기도</지명> 내 공원 면적 순위 15위에 속한다. 이는 <지명 검색='0' 검색어=''>경기도</지명> 내 주요 도시나 전국 광역 도시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수준이며, ‘도시공원법’에 의한 법정 1인당 공원 확보 면적에서 도시 지역 6㎡에 비해서도 부족한 상태이다. 2010년 현재 <지명 검색='1' 검색어='부천시'>부천시</지명>에서는 공원이 많이 조성되고 있으나, 생활권 공원인 근린 공원과 어린이 공원 등을 포함해 <지명 검색='1' 검색어='원미구'>원미구</지명>가 73개 소, <지명 검색='1' 검색어='소사구'>소사구</지명> 14개 소, <지명 검색='1' 검색어='오정구'>오정구</지명> 16개 소로 <지명 검색='1' 검색어='원미구'>원미구</지명>에 집중되어 있어 향후 공원 계획의 고른 분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문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