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402422 |
---|---|
한자 | 瑞氣-映湖樓懸板 |
영어의미역 | Yeonghoru Palace Hanging Board Which Shined Auspicious Signs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정하동 |
시대 | 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조정현 |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정하동에서 영호루 현판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공민왕(恭愍王, 1330~1374)은 고려 제31대 왕으로 이름은 전(顓), 호는 이재(怡齋)·익당(益當)이다. 왕위에 오른 뒤 중국 원나라를 배척하고 친원파인 기씨(奇氏) 일족을 제거하였다. 빼앗긴 영토를 수복하는 등 국위를 떨쳤으나 나중에는 정치를 잘못하여 최만생(崔萬生)과 홍윤(洪倫)에게 살해되었다.
[채록/수집상황]
1999년 경상북도 안동시 옥정동에서 주민 권재영(남, 66)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99년 안동시사편찬위원회에서 출간한 『안동시사』에 수록하였다.
[내용]
영호루 현판은 고려 공민왕의 글씨라고 알려져 있다.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해서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 머무를 때 친히 글씨를 쓴 것이다. 공민왕의 친필이니 만큼 사람들은 현판 글씨의 필치가 참으로 뛰어나다고 입을 모았다. 옛날부터 영호루가 수차례 수마에 유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판만은 지금까지 보존이 잘되고 있다. 그 이유는 영호루 현판이 예사롭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원래 영호루에는 여러 개의 현판이 있었다. 당대 유명한 사람들이 영호루를 찾았을 때 저마다 글을 지어 붙여 두어서 그렇게 현판이 많아지게 된 것이다. 그러나 그런 현판들은 홍수만 나면 떠내려가 보이지 않게 되었다. 언젠가 영호루 현판도 홍수에 떠내려갔었는데, 상주 땅 어딘가에서 서기가 비쳤다고 한다. 그래서 가 보니 그게 바로 영호루 현판이었다. 영호루 현판이 아직도 영호루에 끄떡없이 잘 걸려 있게 된 연유이다.
[모티프 분석]
「서기가 비친 영호루 현판」의 주요 모티프는 ‘공민왕이 쓴 영호루 현판’과 ‘영호루 현판의 영험’이다. 위대한 인물의 손길이 닿거나 그와 관련되는 것은 그것이 비록 사물일지라도 신이함을 갖게 된다는 이야기이다. 제2차 홍건적의 난 때 경상북도 안동으로 몽진한 공민왕과 안동 지역과의 연관성을 지속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 안동 지역에는 공민왕의 몽진에 관련한 많은 설화가 전하는데 「공민왕의 싸움터 오마대」·「공주를 태워서 시작된 놋다리밟기」·「용상동 여랑당」 등이 바로 그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