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1490
한자 鄭侙
영어음역 Jeong Chik
이칭/별칭 중칙(仲則),우천(愚川),우천노인(愚川老人),소와(笑窩),와운옹(臥雲翁)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태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황만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유생
출신지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태리 지도보기
성별
생년 1601년(선조 34)연표보기
몰년 1663년(현종 4)연표보기
본관 청주

[정의]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유생.

[가계]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중칙(仲則), 호는 우천(愚川)·우천노인(愚川老人)·소와(笑窩)·와운옹(臥雲翁). 할아버지는 정두(鄭枓), 아버지는 매창(梅窓) 정사신(鄭士信), 어머니는 영춘이씨(永春李氏)로 관찰사 이광준(李光俊)의 딸이다.

[활동사항]

정칙은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태리에서 태어났다. 유년 시절 가정에서 수업한 뒤 시문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외삼촌 이민환(李民寏)을 따라 문예를 익혔다. 광해군조에는 과거에 응시하지 않고 독서와 문장 수련에 힘쓰다 인조반정 이후인 1627년(인조 5)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그 후로 15차례나 대과에 응시하여 향시에 2번씩이나 장원했으나 예부시(禮部試)에는 급제하지 못하였다.

1637년(인조 15) 청나라와 강화한 후 이듬해 장릉참봉(章陵參奉)에 제수되자 사은숙배한 뒤 대명절의를 부르짖고 바로 귀향하여 남간정(南磵亭)을 지어 그 안에 작은 방을 소와(笑窩)라 이름짓고 은거에 들어갔다. 만년인 1654년 무렵 뜻을 이루지 못해 재차 영주 남쪽으로 이거하였다. 학가산(鶴駕山) 북쪽 지맥이 중간에 끊어졌다 다시 솟아올라 이루어진 달미산(고학) 우천(愚川)이란 곳에 우천정(愚川亭)를 짓고 우천노인(愚川老人)이라 스스로를 불렀다.

또 도연명(陶淵明)의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을 모방하여 「우천은자전(愚川隱者傳)」을 지어 은둔할 뜻을 보이고 문묵(文墨)으로 자오(自娛)하였다. 당시에 10리 떨어져 생활하고 있던 학사(鶴沙) 김응조(金應祖)와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어 가장 가깝게 교유하였으며, 졸재(拙齋) 류원지(柳元之)의 부탁으로 『소미통감(少微通鑑)』을 개정하다가 끝맺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저술 및 작품]

문집으로 『우천집(愚川集)』 7권 3책이 있다.

[묘소]

묘소는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저전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좌승지에 추증되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황** 우천정(愚川亭)를 짓고 우천노인(愚川老人)이라 스스로를 불렀다.
수정 : 우천정(愚川亭)을 짓고 우천노인(愚川老人)이라 자호(自號)하였다.
우천 정칙에 대해 집필한 집필자입니다. 오자와 문맥이 껄끄러워 다듬었으니 수정해 주십시오.
  • 답변
  • 디지털안동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은 어렵거나 한문 투의 용어는 문장에서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쉬운 단어로 표기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2016.07.27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