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1051
한자 尙賢錄
영어음역 Sanghyeonnok
영어의미역 Record of UTak's Works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안병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전기류
관련인물 우탁(禹倬, 1263~1342)|우사덕(禹師德)|우홍택(禹弘澤)
편자 우사덕(禹師德)|우홍택(禹弘澤)
간행자 우택준(禹澤準)|우종기(禹鍾璣)
간행연도/일시 1871년연표보기
권수 2권
책수 1책
사용활자 목판본
가로 15.2㎝
세로 18㎝
표제 尙賢錄
소장처 안동대학교도서관
소장처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388[경동로 1375]지도보기

[정의]

1871년 간행된 고려 후기 안동 지역에서 활동한 우탁의 사적을 기록한 책.

[개설]

우탁(禹倬, 1263~1342)은 원에서 주자학을 들여온 안향의 문인이다. 충목왕 때 성균관좨주를 지내기도 했다. 우탁은 본시 단양 출신이었으나, 만년에 안동 예안에 정착하여 이곳에서 세상을 떠났다.

[편찬/발간경위]

우탁의 사적은 『고려사(高麗史)』에 실린 몇 가지 사실을 제외하고는 알려진 것이 그다지 많다. 이에 조선 후기인 1778년 (정조 2)에 우탁의 14세손 우사덕(禹師德)과 15세손 우홍택(禹鴻澤)이 우탁이 남긴 시 약간 편과 역사 기록 및 후현들이 찬술한 글, 우탁을 향사하는 각 서원의 문헌 등을 수집한 다음, 당시 영남학파를 대표하던 이상정의 서문을 받아서 책의 편찬을 마쳤다. ‘상현록’이라는 서명은 우탁을 모신 역동서원의 사당이 상현사인 데서 연유하였다.

그러나 『상현록(尙賢錄)』이 간행된 것은 1871년(고종 8)의 일이다. 역시 우탁의 후손인 우택준(禹澤準)과 우종기(禹鍾璣) 등이 이황의 수서본인 우탁의 세계와 유묵, 유사, 묘지, 묘갈명과 문묘종사를 청원한 유생들의 소문 등을 모으고, 여기에 김대진(金岱鎭)의 발문을 붙여 『상현속록』을 만들면서 함께 간행하였다.

[서지적 상황]

2권 1책이며, 목판본이다. 표제는 상현록(尙賢錄)이다. 계선 형태는 이어진 계선이며, 어미는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 광곽은 사주쌍변(四周雙邊)이다. 반곽 크기는 가로 15.2㎝, 세로 18㎝,이다. 행수는 10행, 한 행의 자수는 20자이다.

[구성/내용]

권두의 서문은 이상정(李象靖)이 지은 것이다. 권1에는 「제영호루(題映湖樓)」 시 한 편과 『고려사(高麗史)』 열전에 실린 우탁의 전기 및 『동국통감(東國通鑑)』 충렬왕 3년·34년 기사 등 9개 조목의 유사, 이곡(李穀)이 지은 세 편의 증유시(贈遺詩), 김종직(金宗直) 등이 지은 8편의 추감제편(追感諸篇)이 실려 있다. 권2에는 이황이 지은 「역동서원기」 등 역동서원 및 단암서원, 구계서원의 사적과 함께 각 서원의 상향 축문과 봉안문·이안문·사액 치제문 등 제문들, 상량문과 우탁의 등과 홍패 및 방목이 실려 있다.

『상현속록』에는 세계도와 「잔월(殘月)」·「강행(江行)」 등 우탁의 시 두 편과 유묵(遺墨), 『고려사』 선거지 및 『역옹패설』, 류희춘(柳希春)의 『속몽구』 등에서 간추린 유사 7편과 유허고유문(遺墟告由文) 등 축문 및 제문, 지갈(誌碣)과 청액소(請額疏), 청승무소(請陞廡疏) 등이 실려 있다. 권말에 김대진(金岱鎭)의 발문이 있다.

[의의와 평가]

우탁안동 예안에서 첫손에 꼽히는 학자였다. 그리하여 퇴계 이황은 그 제자들과 함께 역동서원을 세워 그를 기렸다. 이 책은 우탁과 관련된 기록들을 한 곳에 모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만 정사(正史)의 기록과 더불어 신빙성이 적은 사료들이 뒤섞여 있다는 점에서 취사선택을 요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