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0256
한자 西後面
영어음역 Seohu-mye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순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법정면
면적 65.35㎢
총인구(남, 여) 3,835명(남자 1,991명, 여자 1,844명)[2016년 4월 30일 기준]
가구수 1,908세대[2016년 4월 30일 기준]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에 속하는 법정면.

[명칭유래]

안동부의 서쪽에 있어 부서면이라 하였다가 조선 숙종(肅宗) 때에 서후면이 되었다.

[형성 및 변천]

삼한(三韓)에 속하였다가 삼국시대에 신라에 편입되었다. 고려시대에 안동부 서쪽에 있어 부서면(府西面)이라 하였다. 『영가지(永嘉誌)』에 따르면, 부서면은 용산(龍山)·상계곡(上桂谷)·장가(長嘉)·하계곡(下桂谷)·회곡(檜谷)·수동(水東)·상단지(上丹地)·하단지(下丹地)·호골암(虎骨巖)·소야(所野)·금지(金地)·원동(院洞)·지북(旨北)·대도솔(大兜率)·창풍(昌豐)·성곡(城谷)·속지(束知)·칠전(漆田)·추동(楸洞)·유점(鍮店)·고태장(古胎藏)·가야곡(佳野谷)·저전(苧田)·차산(次山)·우두산(牛頭山)·이송천(二松川)·양재(陽才)·거진(巨津)·상두곡(上杜谷)·하두곡(下杜谷)·율리(栗里) 등 31개 마을을 관할하였다.

조선 숙종 때에 서선면(西先面)과 서후면으로 분리되어 용산·상계곡·장가·하계곡·회곡·수동·상단지·하단지·호골암 등 9개 마을이 서선면에 속하게 됨으로써 서후면은 22개 마을을 관할하게 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 관제 개정에 따라 대두서(大豆西)·이송천·경광(鏡光)·가야·추산(楸山)·광평(廣坪)·내동(內洞)·자품(者品), 창풍·이개(耳開)·보현(甫峴)·성곡(城谷)·옹곡(瓮谷)·능동(陵洞)·금상(金上)·금하(金下)·상태장(上胎庄)·하태장(下胎庄)·화원(花原)·명동(鳴洞)·증거(增巨)·송내(松內)·평촌(坪村)·대석(大石)·저전 등 25개 마을로 개편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서선면 토탄리와 북후면 소부동(小夫洞)·도진동(道津洞) 일부를 병합하였다.

[자연환경]

대부분의 지역이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학가산천등산이 면 전체를 감싸고 있고, 서쪽으로 낙동강 지류인 풍산천(豊山川)이, 동쪽으로 송야천(松野川)이 각각 북에서 남으로 흐른다.

[현황]

안동시의 서쪽에 자리 잡고 있다. 2008년 12월 31일 기준 면적은 65.35㎢이며, 2016년 4월 30일 현재 총 1,908세대에 3,835명(남자 1,991명, 여자 1,844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광평리·저전리·태장리·이송천리·금계리·성곡리·이개리·교리·명리·대두서리·자품리 등 11개 법정리(15개 행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풍산천과 송야천을 끼고 형성된 농경지에서 벼농사가 이루어지고, 특용작물로 산약·딸기·느타리버섯 등이 생산된다. 축산업도 성하여 한우 사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문화 유적으로 천년 고찰 봉정사를 비롯하여 삼태사 묘, 의성김씨 학봉 종택, 경당 고택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