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1279
이칭/별칭 집터 다지는 소리,땅 다지는 소리,지경다짐 노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권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 「지점 소리」 영덕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영덕군지』에 수록
채록지 「지점 소리」 채록지 - 경상북도 영덕군
가창권역 「지점 소리」 가창권역 - 경상북도 영덕군
성격 민요
기능 구분 의식요
형식 구분 선후창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집터 등을 다지면서 부르는 소리.

[개설]

「지점 소리」는 집을 지을 때 주춧돌을 놓기 위해 땅을 단단하게 다질 때 부르는 노래이다. 무거운 지경돌을 여러 가닥의 동아줄로 묶은 다음, 저녁 무렵에 마을의 장정들이 집 지을 곳에 모여 횃불을 밝히고 동아줄 가닥을 나누어 잡고는 노래에 맞추어 일제히 들어올렸다가 ‘쾅!’ 내려뜨리면서 일을 한다. 동아줄을 10~16가닥 정도 매면 인원은 10~32명이 동원된다. 마을에 따라서는 지경돌 대신에 둘 또는 넷이서 망깨로 땅을 다진다. 망깨는 나무뭉치 위쪽에 손잡이가 있으며, 땅을 다질 때 쓰는 도구이다.

[채록/수집 상황]

채록 시기와 가창자는 알 수 없으나, 2002년 영덕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영덕군지』에 수록되었다.

[구성 및 형식]

앞에서 메기고 뒤에서 받는 선후창 형식이다. 내용은 집 구경을 가는데 자신들이 찾아갈 집은 봉황대도 낙성대도 아닌 오행으로 주춧돌을 놓고, 인의예지로 기둥을 세우며 , 팔조목(八條目)[『대학(大學)』의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여덟 조목]으로 도리를 거는 집이라고 한다. 동서남북으로 문을 내어 오는 손님을 받는데, 담장이 높은 집은 이 집밖에 없다고 노래한다.

[내용]

어허 지점이야/ 어화 세상 벗님네야[선창]/ 어허 지점이여[후창]/ 집구경 가자스라/ 어허 지점이여/ 집이사 많건마는/ 어허 지점이야/ 찾아갈 집 다르도다/ 어허 지점이야/ 봉황대 낙성대는/ 어허 지점이야/ 속사이[속세] 구경처라/ 어허 지점이야/ 입문(入門)을 널리하고/ 어허 지점이야/ 대가를 이루실 때/ 어허 지점이야/ 오행으로 주취[주추]놓고/ 어허 지점이야/ 인의예지 기동 세워/ 어허 지점이야/ 팔조목 도리걸고/ 어허 지점이야/ 육십사괘 뽑아내야/ 어허 지점이야/ 개개(箇箇)연목 걸어놓고/ 어허 지점이야/ 일천삼백 산자배자/ 어허 지점이야/ 오시(午時)토록 알매[흙을 깜]하고/ 어허 지점이야/ 태극으로 기와할제/ 어허 지점이야/ 산수가 횡대로다/ 어허 지점이야/ 이칠화가 남문이요/ 어허 지점이야/ 일력수가 북문이라/ 어허 지점이야/ 삼팔목을 서문내고/ 어허 지점이야/ 사구검을 동문낼제/ 어허 지점이야/ 그 가운데 중문내야/ 어허 지점이야/ 입문을 높이열고/ 어허 지점이야/ 오난손님 받자하니/ 어허 지점이야/ 중장[담장]이 높은 집은 이집 밖에 또 있는가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집을 짓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터를 단단히 다져야 한다. 그래서 동네 사람들이 무리를 지어 밤에 주로 집터를 다지며 흥겹고 억세게 노래를 부른다. 이때 부르는 노래는 남성 노동요이면서도 복을 기원하는 기능이 짙게 드러난다.

[현황]

이제는 건축물을 지을 때 사람의 손보다 더 빠르고 편한 기계를 이용한다. 사람들이 터를 다지는 모습이나 노래를 주변에서는 더이상 들을 수 없다.

[의의와 평가]

영덕군과 달리 다른 지역에서 부르는 '터다지는 소리'의 내용은 대개 터를 다지는 집에 효자와 효녀, 열부가 난다거나, 아들이 과거에 급제를 하고, 집터가 천하 명당이라는 것을 노래한다. 그러나 영덕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지점 소리」에서는 '오행', '인의예지', '팔조목' 등을 언급하고 있으며, 「지점 소리」라는 제목 옆에 '일명 「도덕가」'라고 이름을 덧붙였다. 이는 영덕군에서 불리는 「지점 소리」 노래의 특징이다.

[참고문헌]
  • 『영덕군지』 (영덕군지편찬위원회, 2002)
  • 한국민속대백과사전(https://folkency.nfm.go.kr)
  • 한국민요대전(https://www.imbc.com/broad/radio/fm/minyo)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http://www.grandculture.net)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