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0014
한자 宗敎
영어공식명칭 Religion
분야 종교/불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하창환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행해지는 신앙 행위의 총칭.

[개설]

영덕은 영남 지역 동북쪽의 요충지로 많은 사람들이 왕래하였다. 그 결과 통일신라시대 때 많은 사찰이 건립되었고, 고려 대에는 나옹(懶翁)[1320~1376]이라는 고승이 활동하였다. 고려 후기에는 명유(名儒)인 이색(李穡)[1328~1396]이 영덕에서 배출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여러 사대부 가문을 중심으로 유학이 번창하였다. 개항 이후에는 천주교·개신교가 번성하였으며, 20세기 중반에는 여러 신종교가 영덕 지역에 자신들만의 교세를 이루었다.

[불교]

영덕 지역에서 맨 처음으로 건립된 사찰은 637년 창건한 것으로 알려진 유금사(有金寺)이다. 이후 통일신라시대가 되면 국태민안(國泰民安)이라는 국가의 목적과 선종(禪宗)의 유행이라는 시대적 흐름으로 많은 사찰이 건립되었다. 그런 가운데 묘장사·하운사·경수사·범흥사·옥천사 등이 세워졌다. 고려시대에도 사찰 건립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특히 영덕 출신 나옹화상이 1355년에 창건한 장육사(莊陸寺)를 비롯해 범흥사[일설에는 통일신라 때 건립]·사자갑사·망곡사·위장사[일명 우장사] 등이 있다.

조선시대가 되면 국가의 정책에 따라 사찰의 건립이 억제되었다. 다만 기존 사찰의 재창건만 허용되어 폐사찰을 복원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이때 창건된 사찰로는 용천사·옥천사 등이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친일 불교의 조선사찰령으로 불교계가 침체되던 시기였다. 하지만 영덕 지역에서는 사찰의 창건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1930년대에 건립된 사찰로는 선학사·관음사·해암사·덕흥사 등이 있다.

현재까지 영덕 지역에서 창건 시기가 확인되는 사찰은 22개소, 확인되지 않는 사찰이 15개소로 모두 37개소이다. 읍면별로는 영덕읍에 금미사를 비롯한 14개소, 강구면에 광명사를 비롯한 11개소, 남정면에 구어선원을 비롯한 5개소, 달산면에 금황사를 비롯한 5개소, 병곡면에 보운사를 비롯한 5개소, 영해면에 대림사를 비롯한 11개소, 지품면에 대흥사를 비롯한 4개소, 창수면에 대각사를 비롯한 5개소, 축산면에 고경사를 비롯한 6개소 사찰이 운영되고 있으며, 20여 종단에 각각 소속되어 있다. 영덕 지역에서 사찰이 가장 많이 소속된 종단은 조계종이고, 그 다음이 법화종이다.

[유교]

영덕 지역에서 유교와 관련된 문헌이 처음 확인되는 것은 13세기 이후이다. 1278년 역동(易童) 우탁(禹倬)[1263~1342]이 1278년 과거에 급제하여 영해부 사록(司錄)으로 부임하였는데, 이때 창수면 인량리 일대에서 팔령신(八鈴神)을 모신다는 미명 하에 행해지던 음사(淫祀)를 일소하였다는 일화가 전한다. 또한 가정(稼亭) 이곡(李穀)이 지은 「예주소학기(禮州小學記)」에 따르면, 영해 출신으로 서울에 과거 시험을 보러 오는 선비들이 많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특히 이곡은 당시 영해향교 대현으로 불리던 김택(金澤)의 사위였다. 백문보(白文寶)·정운경(鄭云敬) 등도 고려 후기에 영해에서 수학하였으며, 이곡의 아들 이색은 외가인 영해면 괴시리 무가정(無價亭)에서 태어나게 되면서 일찍이 유학이 번창하게 된다.

조선 태종(太宗)[재위 1400~1418] 때인 1403년 영덕향교가 건립되고, 정자영(鄭自英)김수문(金秀文) 등 다수의 과거 급제자를 배출하였다. 또한 급제자들이 관직에 물러나면서 후진을 양성하는 데도 힘을 기울였다. 조선 초기의 이러한 노력은 중기에 이르러 유교가 더욱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영해는 안동과 인접한 관계로 퇴계의 학문을 공부하게 되었다.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의 문인인 유일재(惟一齋) 김언기(金彦璣)와 학봉(鶴峰) 김성일(金誠一)로부터 백현룡(白見龍)·백인국(白仁國)·박의장(朴毅長)·장흥효(張興孝) 등이 수학하였다. 이 가운데 장흥효는 외손자인 이휘일(李徽逸)이현일(李玄逸)에게, 이현일은 아들인 이재(李栽)에게, 이재는 외손자인 이상정(李象靖)에게 자신들의 학문을 전하였다. 그래서 세간에서는 퇴계의 학문이 안동에서 시작되어 영해로 전해졌다가 안동으로 넘어가 다시 크게 발전하였다고 평가한다. 이후에도 영덕 지역에서는 그 학문이 이어져 남붕(南鵬)·박재헌(朴載憲) 등과 같은 성리학자들을 배출하였다. 그러나 근대 이후 조선의 몰락과 함께 유교도 쇠퇴의 길로 들어섰다. 그러다가 1980년대 전후 전통적 사상인 유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영덕 지역에서는 성균관유도회의 지부를 비롯한 여러 유림 단체가 결성되어 시대에 맞는 유학을 계승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천주교]

영덕 지역에서 천주교의 전파는 경상북도 여타 지역에 비해 다소 늦은 1958년 11월, 영덕 지역 최초의 예배당인 영덕공소가 영덕읍에 건립되었다.

영덕읍에 이어 1955년 영해면 성내리영해공소, 1982년 강구면 삼사리강구공소가 각각 설립되었는데, 영덕공소는 1962년 4월 1일에 영덕성당, 영해공소는 1999년 7월에 영해성당, 강구공소는 2002년 7월에 강구성당으로 각각 승격되었다.

영덕 지역의 성당들은 원래 천주교대구교구 소속이었다. 그런데 1969년 5월 29일 교황 바오로 6세가 경상북도 북부지방을 천주교대구교구에서 분리하여 천주교안동교구에 편입시켰다. 그래서 현재 영덕 지역의 성당들은 모두 천주교안동교구에 소속되어 있다. 영덕 지역의 성당들은 고령화된 농어촌 마을의 현실을 타개하고자 인근의 뛰어난 자연환경을 활용하여 관광과 연계된 사목을 시도하고 있다.

[개신교]

영덕 지역의 개신교 전파는 19세기 말부터 전해진 것으로 추측된다. 그것은 김혁동이 영덕 지역 최초의 교회인 낙평교회가 1901년에 설립된 것에서 알 수 있다. 이후 영덕에서는 교회의 설립이 빠르게 이루어졌다. 1903년에 김용규가 영덕읍 화천리화천교회, 1908년에 강우근영덕읍교회를 설립하였다. 현재 영덕 지역에는 대략 70여 개의 교회가 있다. 이들은 대한 예수교 장로회 통합·합동 측을 비롯해 성결교·침례교·안식교 등의 교파들에 소속되어 있다.

영덕 지역 개신교의 특색은 여타 지역에 비해 구세군 교회의 활동이 활발하다. 이는 지품면 낙평리에 사는 최봉희가 1910년 3월 15일 서울로 가서 직접 구세군 사령관 일행을 초청해 온 것이 계기가 되었다. 그래서 영덕 지역에서 한때는 19개소의 영문(營門)이 건립되었을 정도로 번창하였다. 2021년 기준 현재, 6개소의 영문만 남아 활동하고 있다.

[신종교]

영덕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신종교는 여호와의 증인과 한국SGI 및 원불교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여호와의 증인은 1970년대 말에 영덕에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한국SGI는 1996년 한국SGI 영덕문화회관을 건립하면서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으나, 현재 상주하는 지역장은 없다. 영덕에 있는 원불교 영덕교당은 원래 울진 후포에 있던 것인데, 2000년대 초 옮겨왔다고 한다. 현재 신도 수가 60여 명인 것으로 파악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