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102000 |
---|---|
한자 | 永川舊邑誌總合編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경상북도 영천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주은숙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영조|정조 - 경상북도읍지 「영천지」 발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814년 - 경상북도읍지 「경상도읍지」 발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871년 - 경상북도읍지 「영남읍지」[1871년] 발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895년 - 경상북도읍지 「영남읍지」[1895년] 발간 |
간행 시기/일시 | 1984년 - 『영천구읍지총합편』영천구읍지복간회에서 영인하여 간행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4년 - 『영천구읍지총합편』 제1권, 영천지:영조정해편 발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4년 - 『영천구읍지총합편』 제2권, 영천군읍지:수조신묘편 발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4년 - 『영천구읍지총합편』 제3권, 영천군지:철동을미편 발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4년 - 『영천구읍지총합편』 제4권, 영남읍지영천지:동치경오편 발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4년 - 『영천구읍지총합편』 제5권, 영남지영천편:광서갑오편 발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4년 - 『영천구읍지총합편』 제6권, 경상북도영천군지:광무기해편 발간 |
인쇄처 | 신도문화사 - 대구시 중구 남산2동 575-1 |
성격 | 지지(地誌) |
편자 | 영천구읍지복간회 |
표제 | 奎章閣備置鮮朝文獻 永川舊邑誌總合編 |
[정의]
규장각에 비치된 조선 시대에 간행된 경상북도 영천 관련 읍지를 묶어 영인한 책.
[개설]
규장각에 비치된 『영천지(永川誌)』·『영천군읍지(永川郡邑誌)』·『영천군지(永川郡誌)』·『영남읍지영천지(嶺南邑誌永川誌)』·『영남지영천편(嶺南誌永川編)』·『경상북도영천군지(慶尙北道永川郡誌)』를 영천구읍지복간회가 모아서 1984년에 영인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규장각 소장본 『경상북도읍지』는 영조·정조 때 『영천지(永川誌)』, 1814년(순조 32년) 『경상도읍지』, 1871년(고종 8) 『영남읍지』, 1895년(고종 32) 『영남읍지』 등 4차례에 걸쳐 발간되었다.
조선 시대에 발간되었던 『영천지』·『영천군읍지』·『영천군지』·『영남읍지영천지』·『영남지영천편』·『경상북도영천군지』를 보존하기 위해 1984년 영천구읍지복간회에서 영인하였다.
[서지적 상황]
편수언(編首言): 1984년 갑자 4월, 영천구읍지복간회로 되어 있고, 제1권은 『영천지』 영조정해편(英祖丁亥篇)[1767]으로 내동면·내서면·완산면·추곡면·고촌면·원당면·원곡면·예곡면·모사동면·창수면·칠백면·거여면·고현면·산저면·북습면·질림면·명산면·자천면·구리내면·환귀면·아천면에 관련된 사항이 서술되어 있다.
제2권은 『영천군읍지』 순조신묘편(純祖辛卯篇)[1831]으로, 군명·성씨·산천·풍속·방리·호구·전부·군액·성지·군기고·관액·진보·봉수·학교·단묘·능·불우(佛宇)·누정·도로·제·보·장시·역원·목장·고적·고읍성·토산·약·관적·인물·제영이 서술되어 있다.
제3권, 『영천군지』 철종을미편(哲宗乙未篇)[1859]으로 「영천군지지도」와 더불어 관직·성씨·산천·풍속·성지·군기고·관액·진보·봉수·학교·단교·불우·관실·누정·제언·장시·역원·목장·고적·토산·진공·과거·인물·효자·열녀본조·호구·전·군액·창고가 기술되어 있다.
제4권은 『영남읍지영천지』 동치경오편(同治庚午篇)[1870]으로 군명·성씨·산천·풍속·방리·호구·전·군액·성지·창고·군기고·관액·진보·봉수·학교·단묘·능·불우·관실·누정·교량·제언·장시·역원·목장·고분·토산·진공·봉분·관적·과거·인물·효자·열녀본조·제영·정이 기술되어 있다.
제5권은 『영남지영천편』 광서갑오편(光緖甲午篇)[1894]으로, 산천·풍속·호구·전세·군액·성지·창고·군기고·관액·진보·봉수·학교·불우·누정·교량·제언·장시·역원·목장·명승·고적·토산·진공·봉분·읍선생·과거·인물·효자본조·열녀본조·제영·객사가 서술되어 있다.
제6권은 『경상북도영천군지』 광무기해편(光武己亥篇)[1899]로, 관직·산천·풍속·방리·호구·전·성지·창·군기고·관액·봉수·학교·총묘·불우·누정·교량·제언·장시·역원·목장·명승·고적·과거·구구지·효자본조·열녀본조·제영이 서술되어 있다.
[형태]
6권 1책 단행본으로 20㎝×26㎝이며 총 545쪽이다.
[구성/내용]
『영천지(永川誌)』·『영천군읍지(永川郡邑誌)』·『영천군지(永川郡誌)』·『영남읍지영천지(嶺南邑誌永川誌)』·『영남지영천편(嶺南誌永川編)』·『경상북도영천군지(慶尙北道永川郡誌)』 등 모두 6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 시대에 편찬된 귀중한 문헌을 근대에 와서 복간했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앞으로 국역을 해서 많은 사람들이 활용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