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301568 |
---|---|
한자 | 歲時 風俗 |
이칭/별칭 | 연중 행사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경기도 양주시 |
집필자 | 한정수 |
[정의]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반복적·의례적으로 행해지는 행동 양식이나 생활 행위.
[개설]
세시 풍속은 연중 계절 순환의 중요 시점 때마다 풍년, 건강, 무탈, 놀이, 음식, 복식, 점복(占卜) 등을 주기적 의례적으로 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 같은 세시 풍속은 지역마다 편차가 있으나 계절의 변화와 관련 있다는 점은 비슷하다. 이처럼 전통 시대에 세시 풍속은 월령으로 구분되어 있었고, 그것은 대체로 농경 문화와 연동되었다.
농경이 주된 생산 방식이었던 양주시의 경우는 농촌·산촌과 도시적 생활이 공존하면서도 도시적 생활 위주로 전환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농경과 관련된 전통 세시 풍속은 축소되거나 약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양주시의 세시 풍속은 과거 전통 사회로부터 계승되어 행해지고 있다. 그 상황을 봄·여름·가을·겨울의 사계절, 12월령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봄]
봄인 정월과 2월, 3월을 보면, 정월에는 설이나 입춘, 대보름이 있으며, 설 때에는 차례·세배·덕담·성묘·설빔·콩볶아먹기 등을 하고 떡국을 먹는다. 정월 초에는 복조리달기와 토정비결보기, 농상기놀이를 하면서 복을 빈다. 입춘 때에는 입춘방붙이기, 보리뿌리점치기 등의 풍속이 있다.
가장 많은 세시 풍속을 담고 있는 것이 대보름이다. 정월 14일과 15일에 걸쳐 행해졌는데, 14일에는 오곡밥 먹기, 오곡밥 훔쳐 먹기[백가반], 야귀할멈쫓기[양괭이쫓기], 밤새기가 있었고, 15일에는 새쫓기, 부럼 깨물기·귀밝이술 마시기, 백반 젓가락으로 먹기, 토정비결보기, 달맞이[대림질], 달점치기, 액막이 연날리기, 열두 번 행동하기, 금기, 잣불 켜기, 허수아비 버리기, 더위팔기 등이 행해졌다. 또 이때는 오곡밥과 묵은 나물을 먹어 건강을 지키려 하였다. 이와 더불어 정월의 놀이로는 널뛰기, 윷놀이, 연날리기, 쥐불놀이, 농상기놀이, 종경도놀이, 애기책보기, 널뛰기가 있었다. 2월에는 나이떡먹기와 좀생이점치기가, 3월에는 한식(寒食)·청명(淸明)이 있어 차례와 사초(莎草)[무덤에 떼를 입혀 잘 다듬는 일]가 행해지고 장담그기와 볍씨뿌리기가 이어졌다.
[여름]
여름에 해당하는 4월에는 초파일이 있어 불공 드리기와 시화가 있었고, 만세집기나 씨름, 줄타기 등의 놀이도 행해졌다. 5월에는 단오가 있어 이때를 전후로 창포로 머리 감기, 약쑥 베기나 벌초가 행해지고 그네 타기가 있었다. 유월 유두 때에는 유두고사와 함께 밀전병 먹기 풍속이 있었으며, 이달에는 호미씻이와 천렵, 농상기싸움이 행해졌다.
[가을]
가을인 7월 칠석 때에는 밀떡고사와 불공 드리기가 행해졌고, 백중 때에는 호미씻이와 백중장 등이 벌어졌으며, 벌초가 있었다. 이때의 놀이로는 장치기[방울치기], 초중종장놀이, 두레농악이 있었다. 8월에는 추석 명절을 쇠고 송편 차례상을 올려 조상들을 모셨다. 이때 씨름이나 소놀이, 농악놀이가 신명나게 열리기도 하였다.
[겨울]
겨울이 시작되는 10월에는 안택고사, 진메 봉하기, 시향, 손돌날이 있었다. 11월에는 동지가 있어 이때 팥죽 쑤어먹기와 도락산 산신제를 올렸다. 12월 섣달그믐이 되면 설음식 준비와 수세(守歲)를 하고는 묵은세배를 올리기도 하였다. 윤달이 들 경우에는 수의를 짓고, 산소를 고치거나 이장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