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양주시 고읍동에 있는 경주 정씨 집성촌. 경주 정씨의 시조는 삼한 시대 진한(辰韓) 사로(斯盧)의 여섯 촌장 중 한 명으로 신라 건국에 공을 세운 지백호(智伯虎)란 인물이다. 신라가 건국되자 건국 좌명공신이 되었고, 유리왕 때에 정씨(鄭氏)의 성(姓)을 하사받았다. 후손은 연일(延日)·동래(東萊)·온양(溫陽)·초계(草溪)·하동(河東)·진양(晉陽)·진주(晉州) 등 120여 개...
-
경기도 양주시 양주2동에 속하는 법정동. 고읍동(古邑洞)이라는 이름은 조선 초기에 양주의 치소(治所)가 있던 곳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며, 고읍(古邑)·구읍(舊邑)·고읍내(古邑內)·구읍내(舊邑內)라고도 하였다. 고읍동의 옛이름은 고읍리였다. 고려 시대에는 견주(見州)라는 독립적인 행정 구역의 치소가 있었으며, 1397년(태조 6)에는 양주의 부치(府治)가 동촌 대동리[현 서울특...
-
경기도 양주시 고읍동에 있는 천주교 의정부교구 소속 성당. 고읍동성당은 경기도 양주시 고읍동 인근 지역의 아파트 단지 형성에 따른 신도 수 증가로 2009년 8월 27일 양주2동성당에서 분립되어 신설되었으며, 같은 해 9월 8일 초대 주임 신부로 노연호[마티아] 신부가 부임하였다. 성당이 건립되지 않아 미사가 양주2동성당에서 함께 집전되다가 2009년 9월 15일 양주시 마전동 2...
-
경기도 양주시 고읍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유물 산포지. 2004년 (사)한국미술사연구소에서 문화재 지표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는 양주시 고읍동 택지 개발 및 도로 공사를 위해 시행한 것으로, 현재 현대아파트 동쪽에 위치한 낮은 구릉 지구 북사면을 조사하였다. 조사 당시 계단식 밭이었던 이 일대가 유물 산포지임을 확인하였다. 결과 보고는 『고읍IC~고읍지구 외곽도로 확·포장공사 문화...
-
경기도 양주시 고읍동에 있는 조선 전기로 추정되는 추정 관아 터. 고읍동 추정 관아 터는 그 유적과 유물 등으로 볼 때 관아가 있던 곳으로 여겨지지만 그 규모 등은 알 수 없다. 1397년(태조 6) 양주부(楊州府)의 치소(治所)가 동촌(東村) 대동리(大東里)[현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 일대]에서 양주시 고읍동으로 옮겨져 1506년(중종 1) 다시 유양동으로 옮겨지기까지 관아의...
-
조선 시대 경기도 양주목에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 1397년(태조 6) 수도 한양이 만들어지면서 원래 한양[옛 명칭 양주]에 살던 사람들을 동촌 대동리로 이주시켰다가, 다시 대동리에서 지금의 양주시 고읍동에 있었던 고려 시대 견주의 읍치로 이전되면서 주내라고 불리게 되었다. 연산군 때 양주목이 폐치되었다가 1506년(중종 1) 양주목의 읍치가 지금의 양주시 유양동으로 이전되면서 조...
-
경기도 양주시 고읍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민주적 신념을 실천하는 예절 바른 사람, 기초 학력을 증진하며 창의력 있는 사람, 바른 인성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 환경을 아름답게 가꾸고 심신이 건강한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높은 이상, 성실한 자세’이다. 2004년 12월 27일 덕현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6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2009년 제2...
-
경기도 양주시 고읍동에 있던 신라 시대의 치소성. 신라 때 새로 정복한 한강 유역 일대 중 양주 지역에 설치한 매초성은 매소천성이라고도 불리며 매성현(買省縣)의 치소성(治所城)이라 여겨진다. 매초성은 『고려사(高麗史)』 태조 8년 9월 조에 매조성장군(買曹城將軍) 능현(能玄)이 사자를 보내 항복을 청해 왔다는 기록으로 보건대 후삼국 시대에 이르러서는 매조성으로도 불렸음을 알 수 있...
-
조선 시대 경기도 양주목에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 1397년(태조 6) 양주부(楊州府)의 치소를 동촌(東村) 대동리(大洞里)에서 지금의 양주시 고읍동[고려시대 견주(見州)의 옛터]로 옮기면서 주내(州內)라 불리게 되었다. 1506년(중종 1) 읍치를 다시 지금의 양주시 유양동으로 이전하면서 주내는 조선 전기 양주목의 읍치가 있었다는 뜻에서 고주내면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그런데...
-
경기도 양주시 고읍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와 고장을 사랑하는 바른 어린이, 기초 과학에 충실하게 탐구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소질을 계발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전하고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37년 3월 27일 경기도지사 승인을 받아 사립덕현학원으로 개원하였으며, 1946년 9월 7일 유양국민학교 광사분교장으로 승격하였다. 이어 1950년...
-
경기도 양주시 고읍동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목조 가옥. 윤흥수 가옥은 대청마루의 종도리 장혀에 적힌 상량문의 글귀로 볼 때 1942년에 건립되었다. 튼 ‘ㅁ’ 자형의 평면을 하고 있으며, 마당을 중심으로 안채와 바깥채가 서로 마주 보고 있다. 대문간(大門間)을 들어서면 안마당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안채의 전모를 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의도적인 시각적 차폐를 이룬 공간 구성임을...
-
경기도 양주시 고읍동에 있는 개항기의 목조 가옥. 이갑석 가옥은 양주시 고읍동 상동마을의 가장 안쪽에 깊숙이 위치한다. 산을 등지고 남서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대청 종도리 장혀에 적힌 묵서(墨書)로 볼 때 1898년(고종 35)에 건립되었다. ‘ㅁ’ 자형의 배치를 이룬다. 안마당의 형태를 구성하는 기단석이 장대하고, 안채의 기둥도 18.18㎝[6치]가량의 견실한 방주(方柱)임을...
-
경기도 양주시 고읍동에 있는 개항기의 목조 가옥. 전병우 가옥은 상량문의 글귀로 볼 때 1906년(고종 43)에 건립되었다. 남향의 튼 ‘ㅁ’ 자형 배치를 이루고 있다. 계단을 몇 개 올라가면 높여 놓은 기단에 올라설 수 있고, 대문에 들어서면 안채의 대청이 보인다.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건넌방, 왼쪽에는 쪽마루를 전면에 설치한 안방과 그 아래로 작은 규모의 부엌과 방이...
-
경기도 양주시 고읍동에 있는 개항기의 목조 가옥. 정지형 가옥은 대청마루의 종도리 장혀에 적힌 묵서(墨書)에 의하면 1905년(고종 42)에 건립되었다. 전형적인 ‘ㅁ’ 자형의 평면 구조로서, 산을 등지고 남동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안채와 바깥채는 하나로 묶여 있으나 그 기능은 나뉘어 있다. 가옥의 평면 치수에서 전체의 간살은 8척, 즉 2.42m를 1칸으로 하고, 1척은 약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