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000924 |
---|---|
한자 | 葆光祠 |
영어공식명칭 | Bogwangsa Shrine |
이칭/별칭 | 보광서원(葆光書院)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평촌리 406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유호석 |
건립 시기/일시 | 1720년 - 보광사 창건 |
---|---|
훼철|철거 시기/일시 | 1869년 - 보광사 훼철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71년 - 보광사 보광서원으로 복원 |
현 소재지 | 보광서원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평촌리 406 |
원소재지 | 보광사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평촌리 406 |
성격 | 사당 |
양식 | 팔작지붕 |
정면 칸수 | 3칸 |
측면 칸수 | 1칸 |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평촌리에 있는 조선 후기에 건립한 사당.
[개설]
1545년(인종 2)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벼슬을 그만두고 현재 보광사가 있는 곳에서 후학들을 가르치는데 전념한 유학자 이언복(李彦福)을 주벽으로 하면서 육대춘(陸大春), 이지성(李至誠), 이지도(李至道), 양몽설(梁夢說), 김준업(金峻業), 유정(柳頲), 이후태(李后泰)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이 가운데 이지성과 이지도는 이언복의 아들이다.
[위치]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신리교차로에서 순창, 정읍 방면으로 호남로를 따라 이동하다가 태봉교차로에서 난산평촌로 쪽으로 방향을 틀어 달려가다 보면 길가에서 왼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보광서원이 있다.
[변천]
보광사는 1720년(숙종 46)에 창건되었으나 1869년(고종 6)에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 조치에 의해 훼철되었다. 현재 건물은 1971년에 복원한 것이다. 이때 ‘보광서원’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형태]
보광서원은 정면 3칸, 측면 1칸에 팔작지붕 구조로 되어 있다.
[현황]
사당인 보광사와 강당, 부속건물 1동, 비 1기가 있다. 보광사비에는 이도형(李道衡)이 지은 글이 새겨져 있다.
[의의와 평가]
서원과 사우의 건립과 훼철, 중건의 역사를 통해 유교사상의 영향 아래 선조와 선현을 숭배했던 조선조 향촌사회의 성격은 물론, 유교의 폐단이 두드러지게 표출되었던 조선 후기 양반사회의 성격을 엿볼 수 있다. 특히 전라북도 완주군의 연안이씨 문중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사를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