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100898
한자 鏡虛
영어음역 Gyeong Heo
이칭/별칭 동욱(東旭),성우(惺牛),박난주(朴蘭州)
분야 종교/불교,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종교인
지역 충청남도 서산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이해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49년연표보기 - 경허 생
출가|서품 시기/일시 1858년연표보기 - 경주 청계사에서 출가
수학 시기/일시 1862년연표보기 - 절에 머물던 선비에게서 한학을 배움
활동 시기/일시 1871년연표보기 - 동학사 강사
활동 시기/일시 1879년연표보기 - 도를 깨치고 서산 천장암으로 옮김
활동 시기/일시 1886년연표보기 - 무애행(無礙行)을 나섬
활동 시기/일시 1899년연표보기 - 합천 해인사, 수선사 법주가 됨
활동 시기/일시 1904년연표보기 - 천장암에서 만공에게 최후의 법문을 함
몰년 시기/일시 1912년연표보기 - 경허 졸
출생지 전주 자동리
학교|수학지 경주 청계사
활동지 동학사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789
활동지 천장암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 지도보기
활동지 해인사 -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성격 승려
성별

[정의]

개항기 서산 천장암에서 수도한 승려.

[개설]

본관은 여산. 본명은 송동욱(宋東旭), 법호는 경허(鏡虛), 법명은 성우(惺牛). 아버지는 송두옥(宋斗玉)이고, 어머니는 밀양 박씨이다.

[활동 사항]

경허(鏡虛)[1849~1912]는 1849년(헌종 15)에 전주 자동리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9세 때 어머니를 따라 경주 청계사에 들어갔다. 청계사 주지 계허(桂虛)를 은사로 삼아 출가하였고, 1862년(철종 13)부터 한학을 배워 불교경론(佛敎經論)과 사서삼경 등을 익혔다. 계허가 환속하면서 경허는 계룡산 동학사의 만화화상(萬化和尙)에게 맡겨졌다. 이때부터 경허는 본격적으로 한학을 공부하여 불교의 일대시교(一代時敎)뿐만 아니라 『논어(論語)』·『맹자(孟子)』·『시경(詩經)』·『서경(書經)』 같은 유학 경서와 노장사상까지 두루 섭렵하였다. 1871년(고종 8) 동학사의 강사로 추대되어 불교 경전을 가르치게 되었는데, 그의 강의를 듣기 위해 전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찾아들었다.

1879년(고종 16) 어느 날 옛 은사 계허를 만나기 위해 서울로 가던 중 심한 폭우를 만나 민가에서 하룻밤 신세를 지려고 하였다. 하지만 마을에 돌림병이 들어 대문이 굳게 닫혀 있었다. 경허는 밤새 죽음의 위협에 시달리면서 ‘생사불이(生死不二)’의 이치가 문장 속에만 있지 않다는 것을 비로소 깨달았다. 경허는 그길로 동학사로 돌아가 학인들을 돌려보내고, 3개월 동안 참선과 정진을 하여 도를 깨쳤다.

얼마 후 거처를 지금의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에 있는 천장암으로 옮겨 수행을 계속하면서 만공(滿空)·혜월(慧月)·수월(水月) 등을 지도하였다. 1886년(고종 23)에는 옷과 발우, 주장자 등을 불태우고 무애행(無礙行)[아무런 거리낌 없이 행동하는 것]을 나섰다. 이때부터 서산시 운산면 개심사부석면부석사를 오가며 후학을 양성하고 선풍을 크게 떨쳤다. 1899년에는 합천 해인사에 머물며 「해인사 수선사 방함인(海印寺修禪社蒡啣印)」과 「합천군 가야산 해인사 수선사 창건기(陜川郡伽倻山海印寺修禪社創建記)」를 집필하기도 하였다. 1904년 천장암으로 돌아간 경허만공에게 마지막 법문을 전하고 종적을 감추었다. 떠도는 이야기에 따르면 박난주(朴蘭州)로 개명한 뒤 갑산(甲山)·강계(江界) 등지에서 머리를 기르고 유관을 쓰고 다녔으며, 서당 훈장이 되어 아이들을 가르치며 살았다고도 한다. 1912년 4월 새벽 임종게(臨終偈)를 남기고 입적하니 그의 나이 64세였다.

[사상과 저술]

경허는 선(禪)의 생활화와 일상화를 강조하며 대중 속에서 선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경허의 이러한 노력으로 새로이 선풍이 일어나 많은 선사가 배출되고, 선원이 생겨났다. 경허는 무생(無生)의 경지를 이상으로 삼고 무상(無常)을 극복하는 길은 오직 선에 있다고 보았다. 또 선(禪)과 교(敎)는 하나라고 주장하였고, 간화선(看話禪)과 염불선(念佛禪) 역시 하나로 보았다. 저서로 『경허집(鏡虛集)』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