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1동에 있는 성남문화원에서 판교 지역에 대한 역사와 현재 문화를 정리한 단행본. 성남문화원 부설 향토문화연구소[현 성남문화원 부설 성남학연구소]에서는 신도시 개발로 인해 사라지는 판교 지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지역 주민들의 삶의 모습과 현지 실태를 후손들에게 남겨 후대 판교 지역의 변화 과정을 연구하는 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판교마을의 생활·문화지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정리한 마을지. 성남문화원에서 판교동을 중심으로 판교의 개발 이전 상태의 자연환경, 역사, 생활과 문화, 실태 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기록하였다....
-
1907년 경기도 성남 지역에 설치된 행정 구역 명칭. 조선시대 광주군 낙생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근대적인 행정 단위로서는 1907년 설치되어 돌마면, 대왕면, 중부면 일부의 6개리와 함께 성남 지역의 근간을 이루었다. 현재의 판교 신도시와 분당구 금곡동, 구미동 등 11개 법정동이 낙생면에 해당한다....
-
1919년 3월 27일 낙생면 판교리에서 일어난 만세시위운동. 낙생면의 만세시위운동은 초대면장 남태희 등의 주도하에 돌마면과 연합하여 전개되었다. 남태희는 3월 27일 돌마면에서 시위를 주도한 한백봉, 한순회 등의 권유를 받고 면민들에게 시위를 권고하고 참가를 유도하였다. 율리에서 시작한 만세시위가 분당리 장날에 군중이 가담하면서 규모가 증대되었다. 시위대는 행진을 계속하여 낙생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성남시 최초로 설립된 공립 초등학교. 스스로 탐구하는 자주인, 바르게 행동하는 도덕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건강인,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는 재능인을 육성하는 지(知), 덕(德), 체(體), 기(技)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른 생각, 바른 마음, 바른 행동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마을 이름. 판교(板橋)라는 이름은 ‘널다리’의 한자 표기이고, 널다리는 옛날 운중천의 하천 위에 널(판자)로 만든 다리를 놓고 건너 다닌 데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이 마을 일대는 예전 광주군 낙생면 소재지였으며, 3.1운동 당시에는 낙생, 돌마 지역을 관할하는 순사주재소가 위치하여 만세시위에 참가한 사람들이 이곳으로 끌려와 수난을 당하기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너더리마을에서 정월 보름에 마을 회화나무에서 지내던 고사. 너더리마을 회화나무 고사는 농경사회 시절 너더리마을 주민들이 당산나무인 회화나무에게 한 해의 풍년을 기원하고 액운을 떨쳐 버리기 위하여 정월 보름날 올리던 제사이다. 고사가 끝난 후 마을 주민들은 쌍용거줄다리기 놀이를 하며 화합을 다졌다. 1970년대 산업화시대 이후 사라졌던 널다리 쌍용거줄다리...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마을 이름. 판교동 너더리마을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옛날 이곳의 운중천 가에는 50여평 되는 큰 바위가 깔려 있고 근처에 느티나무가 있어 정자나무로 이용되었다. 특히 이 바위는 지나는 길손이 머물기 좋았으므로 광암(廣岩) 또는 너븐바위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현재는 이 너븐바위에 해당하는 바위를 확인할 수가 없다....
-
조선 전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던 판교원에서 병든 아버지를 돌본 효녀. 도리장(都里莊)은 지금의 전라북도 장선군 출신의 효녀였다. 당시 한양성을 쌓기 위해 부역을 하러 간 아버지가 병이 들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판교원에서 아버지를 찾아 돌본 뒤 집으로 무사히 돌아갔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던 마을. 보들은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의 너더리마을 서쪽 들판에 자리 잡고 있었다. 서쪽 지역을 웃보들[웃말], 동쪽 지역을 아랫보들[아랫말]이라고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복평’으로 표기하기도 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관할의 옛 지명.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관할의 자연마을로 신라시대 진흥왕 때에 화랑도들이 막았다는 화랑보에서 물을 끌어들인 수리안전답들이 마을 앞에 있었다. 예전에는 서울과 수원을 경유하여 영호남으로 가는 길과 광주 방면으로 하여 강원이나 경북 방면으로 가는 세 갈래 길인 삼거리 동쪽에 위치하였고, 평산신씨(平山申氏)와 연일정씨(延日鄭氏), 청풍김씨(淸...
-
...
-
이 지역은 분당구의 북쪽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경부고속도로가 동(洞)을 남북으로 관통하고 판교-구리간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가 동의 북단을 동서로 지나가고 있다. 또 동의 동쪽에는 남북을 가로질러 내곡-분당간 도시고속화도로가 지나간다. 북쪽은 수정구 신흥동, 동쪽은 매송동, 동남쪽은 서현동과 초림동, 남쪽은 정자동, 신기동과 금곡동, 서쪽은 운중동과 접하고 있다. 동의 서쪽에는...
-
이용학옹은 연안이씨 연성군파 종손이며 종친회장을 역임하였다. 조사시점 현재 73세로, 형제는 5남매인데 남동생인 이용집씨 외에 세 사람의 누이가 있다. 현재 거주하는 자택에서 출생하였다. 5~6 세 때에 집안 할아버지한테 천자문의 계몽편까지 배우다가, 7세에 낙생공립심상소학교(일본어로 진주쇼각고)에 입학했다. 낙생공립심상소학교에서는 2학년 때까지 조선어독본을 배웠고 3학년 때부터...
-
이용학씨는 3남 1녀를 두었다. 장남은 1956년생이고 차남은 1959년생, 삼남은 1970년생이고, 외동딸은 1961년생이다. 삼남만 아직 결혼을 시키지 못했다. 현재 자녀들과 동거를 하고 있지는 않지만 농사를 도와주려고 토요일과 일요일에는 장남이 항상 이곳에 들른다 한편 이용집씨는 딸만 여섯을 두었는데, 삼녀까지만 시집을 가고 나머지는 미혼이다. 특히 사녀는 경희대 간호학과를...
-
판교동은 연안이씨 연성군 이곤이 사패지로 하사받아 후손들이 정착하게 되었다고 전한다. 이곤은 1506년 중종반정 때 공을 세워 문의정국공신이 되면서 통정대부에 올라 첨지중추부사, 예조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가문에 전하는 이야기로는 집 뒤편에 있는 500여년 된 느티나무를 선조들이 심어서 가꾼 것이라고 하니 마을의 연원을 간접적으로나마 알 수 있다. 예로부터 이 지역은 부산에서 서울...
-
이 지역 사람들의 옷차림은 인접한 지역과 차이가 별로 없었다. 보통 사람들은 무명옷을 입었고, 돈이 있는 사람들이나 모시옷 또는 비단옷을 입었다. 6.25 때만 해도 중의적삼에 바지저고리를 입는 것이 보통이었으나 그것도 안팎으로 여러 차례 기운 옷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렇게 가난한 시절이었지만, 손님을 맞거나 제사를 지내거나 할 때면 어른들은 반드시 정장인 두루마기나 도포를 갖...
-
일제강점기 때에는 농사를 아무리 많이 지어도 공출로 빼앗기는 것이 너무 많았다. 또한 쌀이 부족하였기 때문에 면계(面界)를 넘어갈 때에는 검문을 하기도 했다. 쌀밥을 먹는 것은 제사 때나 가능하였기 때문에, 공출을 피해 제사용 쌀을 숨기기가 일쑤였다. 제사에는 꼭 쌀이 있어야 되기 때문에 일제 때의 어려운 시절에도 반드시 별도로 남겨 두었던 기억이 있다. 제사 음식은 특별히 기피하...
-
이용학씨가 출생하고 성장해온 자택은 전형적인 한옥으로 지은 것인데, 일제 소화시대의 상량문이 남아 있다. 소화 17년(1942년)에 이 집이 동쪽으로 기울어지자 목수를 불러 조부와 부친이 함께 뒷산의 나무를 벌목해서 지었다. 기본적인 재료는 가능하면 옛날 것을 그대로 썼다. 행랑채는 초가집이었는데 부분적으로 개축한 것이다. 집의 구조는 안방, 건넌방, 툇마루, 부엌 등이 거의 1칸...
-
•가마바위 - 바위가 큰 집채 만한 것이 있었는데 가마같이 생겼다고 해서 붙여졌다. •광암 - 느티나무 사이에 있는 큰 바위이다....
-
정보제공자들은 처음부터 오로지 농사를 짓던 사람들이 아니기 때문에 농사와 관련된 노동요를 직접 알고 있지 못했다. 들었을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지만 구술녹화를 하는 데에는 실패했다. 한편, 이용집씨는 노래방도 가끔 이용하고 최신 유행가도 몇 곡 부를 수 있었다. 여학교에 근무했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유행 감각이 있는 듯했다....
-
...
-
이용학씨는 1953년도에 수원의 이의리에 있는 안동김씨 종손집의 딸과 중매로 혼인을 하였다. 처가 근처에 살던 대고모할머니 댁까지 자전거를 타고 가서 혼례를 치렀다. 그러나 양평의 직장 때문에 1년여간은 관사에서 자취생활을 하느라고 부부가 떨어져 살았다. 그후에 부부가 함께 양평에 가서 살게 되었다. 정월 초하룻날 제사는 17대조 할아버지 할머니의 사당 제사로 지낸다. 그리고 종손...
-
...
-
...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청소년 수련관. 분당판교청소년수련관은 수정 지역의 성남시 수정청소년수련관, 분당 지역의 성남시 분당청소년수련관, 분당서현청소년수련관, 중원 지역의 성남시 중원청소년수련관과 함께 판교 지역의 청소년 수련 시설로 지역 청소년들이 사회, 문화적 주체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성남시청소년육성재단[현 성남시청소년재단]에서 시설 및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서 개최되는 문화행사. 통비석 전면 삼족오(三足烏)의 전통적 고비(古碑) 문양을 지닌 연°성군 이곤의 판교동 묘소가 지닌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을 홍보하고 성남시 향토유적 제6호로 지정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성남문화원이 주최하고 판교문화보존회에서 주관하여 2004년 10월 24일에 낙생초등학교에서 제1회 연성군 서예 휘호대회(延城君 書藝 揮毫大會)를 개최하게...
-
경기도 성남시 판교신도시 내 판교원로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까지 남북으로 이어지는 도로. 2003년부터 2014년까지 수도권 제2기 신도시 건설 사업의 일환으로 판교신도시 서판교에 조성된 간선도로이다.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638번지에서 판교동 480번지까지 이어지는 연결 도로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과 운중동을 잇는 판교로 구간에 설치된 터널. 판교로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산운동, 판교동, 삼평동, 이매동, 야탑동을 연결하는 주요 간선도로이다. 판교로 구간 중 판교동과 운중동 사이에 있는 판교공원을 관통해 설치한 것이 성내미터널이다. 판교공원의 자연경관을 훼손하지 않고 도로 선형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상행선과 하행선을 별도로 건설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도로. 연성로는 판교동 판교원로에서 북북서(北北西) 방향으로 분기하여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부근까지 남북으로 연결하는 주 간선도로다....
-
조선 중종대(中宗代)의 문신 이곤(李坤)의 묘. 이곤[1462~1524]은 중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자정(子靜), 호는 녹창(鹿窓)이다. 증이조참의 이근건(李根健)[?~1456]의 손자이자 연안군(延安君) 이인문(李仁文)[1425~1503]의 아들이다. 1492년(성종 23) 문과 급제 후 관직에 진출하였으며 1506년(중종 1) 중종반정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던 조선 중종(中宗)대의 문신 이곤(李坤)의 별묘(別廟). 이곤[1462~1524]은 중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자정(子靜), 호는 녹창(鹿窓)이다. 증이조참의(贈吏曹參議) 이근건(李根健)[?~1456]의 손자이자 연안군(延安君) 이인문(李仁文)[1425~1503]의 아들이다. 1492년(성종 23) 문과급제 후 관직에 진출하였으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었던 조선 전기의 문신 이곤의 사당. 조선 전기의 문신인 이곤(李坤)[1462~1524]을 배향하였던 사당이다. 이곤은 본관은 연안, 자는 자정(子靜), 호는 녹창(鹿窓)이며, 1492년(성종 23) 문과에 급제한 후 중종반정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에 녹훈되었고, 연성군(延城君)에 봉해졌다....
-
조선 중종대(中宗代)의 문신 이공승(李公升)의 묘 및 묘갈. 이공승[1501~1533]은 중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수부(秀夫)이며 연성군(延城君) 이곤(李坤)의 둘째 아들이다. 관직은 장례원사평(掌隷院司評)을 지냈으나 일찍 요절하였고, 죽은 뒤에 승정원좌승지(承政院左承旨)를 추증(追贈)받았다....
-
조선 명종대(明宗代)의 문신 이대승(李大升)의 묘. 이대승[1497~1557]은 명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탁경(擢卿)이며 연성군(延城君) 이곤(李坤)의 장남이다. 단청찰방(丹靑察訪)을 시작으로 여러 관직을 거쳐 돈령부판관(敦寧府判官)과 군자감첨정(軍資監僉正)을 지냈으며 재령(載寧) 군수에 이르렀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초명은 이헌(李獻)이며 자는 자휴(子休)이다. 이여필(李汝弼)의 장남이며 조부는 이흔(李昕), 증조부는 이덕노(李德老)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양반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중옥(仲玉). 안악군수 이여주(李汝舟)의 둘째 아들이고 조부는 이승원(李承元)이다. 부친이 출계(出系)한 것이라서 생조부는 이승원의 동생 이승업(李承業)이다. 모친은 평산신씨로 외조는 문정랑(文正郞) 신칙(申恜)이며 처가는 진주(晋州)유씨로 처부는 첨지중추부사 유자(柳玼)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양반.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언일(彦一), 평창군수 이숙(李俶)의 둘째 아들, 조부는 재령군수 이대승(李大升), 증조부는 정국공신이며 예조참의, 장예원판결사를 역임한 이곤(李坤)이다. 모친은 양천 허씨이며 외조부는 제양군(濟陽君) 허순(許淳)이다. 부인은 평창노씨로 인의(引儀) 노경운(盧景雲)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구만(九萬)이다. 아버지는 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 이승석(李承奭)이고, 어머니는 의령남씨(宜寧南氏)이다. 부인은 밀양박씨(密陽朴氏)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제이(濟而)다. 생부는 이승업(李承業)이었으나 백부 증사복시정(贈司僕寺正) 이승원(李承元)에게 양자되었다. 생모는 수원최씨(水原崔氏)로 참판 최경숙(崔慶淑)의 딸이고, 어머니는 평산신씨(平山申氏)로 수사(水使) 신충일(申忠一)의 딸이다. 부인은 평산신씨로 정랑 신칙(申恜)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이자상(李子常)이다. 아버지는 증승지(贈承旨) 이승윤(李承尹)이고, 어머니는 풍천임씨(豊州任氏)로 임영노(任榮老)의 딸이다. 초배는 한양조씨(漢陽趙氏)로 병사(兵使) 조의(趙誼)의 딸이며, 계배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주부(主簿) 허혜(許譓)의 딸이다. 아버지 허승윤(許承尹)[1571-1592]이 임진왜란 당시 백의로 호종하...
-
조선 연산군대(燕山君代)의 문신 이인문(李仁文)의 묘. 이인문[1425~1503]은 연산군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증이조참의(贈吏曹參議) 이근건(李根健)의 장남(長男)이다. 1453년(단종 1)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1465년(세조 11) 문과 급제한 후, 관직에 나아가 병조참의(兵曹參議)를 거쳐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79세까지 장수하였으며 사...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었던 송덕비. 일제강점기 때 인근 향리에 자선을 베푼 이현규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송덕비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서 매년 정월 보름에 행해지는 민속놀이. 널다리 쌍용거줄다리기는 ‘쌍용줄다리기’라고도 불리는데, 쌍용거줄다리기보존회의 김광영에 따르면, 판교동에는 1970년대 초반 경부고속도로가 나기 전 길을 가로지르는 신작로를 따라 길게 시장이 형성되었고, 이곳에서 정월 보름에 줄다리기를 하였다고 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낙생초등학교의 옛 이름. 1922년 5월 1일에 판교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가, 1938년 일제가 종래 보통학교를 심상소학교(尋常小學校)로 개명함으로 1940년 4월 1일부터 낙생심상소학교가 되었다. 그 뒤 1941년부터 소학교가 다시 국민학교로 변경되고, 1944년 4월 1일에 낙생국민학교로 교명이 변경, 1996년 3월 1일에는 국민학교가 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다리. 성남시의 서쪽 경계를 형성하고 있는 청계산 산지에서 발원하여 운중저수지를 거쳐 성남시 중앙부를 관통하는 탄천에 유입하는 운중천 상에 건설된 다리로, 1991년에 준공되었다. 총연장은 30m이며, 교폭은 35m, 축조형식은 라멘 방식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판교동은 분당구의 중북부, 판교신도시의 중앙부에 자리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이다. 과거 이 지역은 너더리마을과 너븐바위, 낙생 등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었고 서울과 경기 남부 지역, 경기 중부, 동서 지역을 잇는 도로가 교차하던 요충지로 장터와 주막, 객사 등으로 번창한 곳이었다. 오늘날에도 경부고속도로를 비롯한 주요 간선도로와 지방...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너더리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는 동제. 판교신도시 개발 전 판교동은 행정구역상 1통, 2통, 3통으로 구분되어 있었으며, 자연마을인 1통을 너더리[판교(板橋)] 마을, 2통을 너분바위[광암(廣岩)] 마을이라 불렀다. 3통 개나리마을은 1979년 경부고속도로 주변에 거주하던 주민들이 이주하여 살다가 1980년대 이후 경제발전에 따라 중소공장들이 입주하면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느티나무. 판교동의 자연마을인 옛 너븐바위마을[광암마을]의 느티나무길 언덕에 서 있던 수령 550년의 노거수(老巨樹)로 높이 30m, 가슴높이 둘레 8.7m, 수관(樹冠) 너비 30m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연안이씨의 세장(世葬 : 대대로 묘를 씀) 묘역. 판교동 너더리마을의 북쪽 구릉에 위치하며, 여기에 연안이씨 연성군파(延城君派) 이곤(李坤)[1462~1524]을 비롯한 수십기의 묘가 조성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구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그리고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2002년에 실시된 성남 판교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지표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물산포지로 낙생초등학교를 포함하는 판교 너더리마을과 너븐바위마을 그리고 금토산 남쪽에 형성된 해발 127m의 산지 남동부 경사면 전체에 넓게 분포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고려와 조선시대 유물산포지. 2002년에 실시된 성남 판교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지표 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물산포지로서 해발 136m의 금토산 동쪽 사면 끄트머리에 완만한 골짜기를 이루는 지역에 분포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구석기시대와 고려 및 조선시대 유물산포지. 2002년에 실시된 성남 판교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지표 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물산포지로서 판교동 340-1번지의 경작지 일대에 분포하며, 유물은 앞쪽에 흐르는 운중천 유역의 충적대지에서 주로 수습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고려와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2002년에 실시된 성남 판교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지표 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물산포지로서 판교인터체인지 동남쪽에 있는 해발 80m의 나지막한 야산에 분포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향나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낙생초등학교 내에 있는 수령 300년의 노거수(老巨樹)로 높이 15m, 가슴높이 둘레 2m, 수관(樹冠) 너비 8m이다. 낙생초등학교를 지을 당시에는 운동장 밖에 있었으나 학교를 확장하면서 운동장 가운데에 위치하게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회화나무. 경부고속도로상의 판교 인터체인지를 나와 안양 방면으로 위치한 판교동의 자연마을인 옛 너더리마을에 있었던 수령 500년의 노거수로 높이 25m, 가슴높이 둘레 1.4m, 수관(樹冠) 너비 33m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지역으로서 널로 놓은 다리가 있으므로 널다리, 너더리 또는 판교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너분배를 병합하여 판교리가 되었다.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었고, 1975년 낙생출장소에 편입되었으며, 판교, 삼평, 백현의 3동을 합하여 판교동에서 관할하게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역참. 조선시대에는 행려자에게 교통 등 편의를 주기 위하여 설치된 숙발시설로 역로제도 뿐만 아니라 원과 관이 운영되고 있었다. 즉, 일반 공무여행자의 숙식을 위해 각 요지에 원을 설치하여 운영하였으며, 빈객을 접대하기 위해서는 지방 각 관읍에 객사라는 관을 두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 '존중과 배려로 다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학교'를 만들어가자는 학교 비젼을 가지고 스스로 생각하고 실천하는 지혜로운 어린이[창의성], 예술적 감성을 키워가는 아름다운 어린이[감성], 더불어 생활하는 건강한 어린이[인성]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