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조 숙종이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1595~1671]의 문집을 읽은 느낌을 쓴 7언율시. 숙종이 백헌 이경석의 문집을 읽은 느낌을 적은 시부(詩賦)를 이경석의 후손에게 하사한 것인데, 후손들이 참죽나무 필갑에 넣어 뚜껑에 ‘肅宗聖製寶墨(숙종성제보묵)’이라 전각(篆刻)하여 보관하였다....
-
1976년 조세희가 발표한 소설작품. 조세희가 1976년 『문학과 지성』 겨울호에 발표한 작품으로, 아버지가 난장이인 한 가족의 이야기가 큰아들 영수, 작은아들 영호, 딸 영희의 눈을 통해 각각 그려지고 있다....
-
1709년(숙종 35) 숙종이 옛날 병자호란 때의 일을 상기하면서 지은 두 편의 7언절구. 이 시는 「망견남한산성야조(望見南漢山城夜操)」라는 제목으로 『남한지(南漢誌)』에 실려 있다. 1709년 9월 28일 남한산성에 들렀던 숙종이 옛날 병자호란 때의 일을 상기하면서 당시 사람들의 충절을 기려 지은 두 편의 7언절구이다....
-
조선 중기 임경업(林慶業) 장군을 소재로 한 야담. 조선 후기의 문신 이원명(李源命)이 지은 『동야휘집(東野彙輯)』에 전해오는데, 임경업 장군이 사냥을 갔다가 잘못하여 들어간 태백산에서 검술을 익혀 돌아와 무과에 급제한 후 명청(明淸) 교체기에 장군이 되어 활약한 이야기이다....
-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기인이었던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1517~1578]이 행한 기행과 선행을 적은 야담. 『토정비결』의 저자로 유명한 이지함은 고려 말 학자 이색의 후손으로 현령을 지낸 이치(李穉)의 아들이다. 어려서 맏형인 이지번(李之蕃)에게서 배웠고 뒤에는 서경덕에게서 배웠다. 수리, 의학, 복서(卜筮), 천문, 지리, 음양, 술서(術書) 등에 정통하였다. 그는 백성들...
-
윤흥길이 쓴 중편소설. 1977년 『창작과 비평』에 발표되었다. 윤흥길은 1973년 성남과 인연을 맺고, 1975년 성남을 떠났다. 도시 빈민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이 작품은, 이때의 어려웠던 생활체험을 살려 쓴 것이다....
-
조선 중기의 문신 권득기(權得己)가 기록한 잡록. 『연송잡록(然松雜錄)』이라고도 한다....
-
조선 정조가 지은 칠언절구 시. 『남한지(南漢志)』권8 제영(題詠) 중 「정조대왕어제(正祖大王御製)」라는 제목 아래 실려 있다. 1779년(정조 3) 남한산성에서 있었던 군사훈련을 보기 위해 들렀을 때 쓴 작품으로, 옛날 병자호란의 치욕을 생각하면서 그때 일을 절대 잊지 말도록 남한산성을 지키는 장수에게 경계하는 내용이다....
-
조선 중기 문신인 이경류(李慶流)[1564~1592]가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이야기. 이희준(李羲準)이 지은 『계서야담(溪西野談)』에 전한다. 이경류는 본관이 한산, 자는 장원(長源), 호는 반금(伴琴)이다. 아버지는 이증(李增)[1525~1600]이고, 어머니는 사직 이몽원(李夢黿)의 딸이다. 1591년(선조 24)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전적을 거쳐 예조좌랑이 되었다. 임진...
-
조선 영조가 남한산성에 들렀을 때 쓴 칠언절구 시. 『남한지(南漢志)』권8에 「영조대왕어제(英祖大王御製)」라는 제목 아래 실려 있는 3수의 영회삼수(詠懷三首)인 ‘알원릉추모(謁園陵追慕)’, ‘좌행궁유감(坐行宮有感)’, ‘등장대강개(登將臺慷慨)’ 가운데 세번째 작품이다....
-
유상(柳相)이라는 의원이 경기도 광주의 판교(板橋)를 지나던 중 어명을 받고 궁에 들어가 임금의 마마(천연두)를 고쳐주었다는 이야기. 조선 후기의 야담집인 『청구야담(靑丘野談)』에 전한다....
-
고려 말 학자인 이곡(李穀)이 광주의 관사(官舍) 북쪽에 지은 청풍정(淸風亭)에 쓴 기문. 이곡(李穀)[1298~1351]은 고려 말의 학자로, 본관은 한산, 자는 중보(仲父), 호는 가정(稼亭)이다. 목은(牧隱) 이색(李穡)은 그의 아들이다. 문집으로 『가정집(稼亭集)』이 전한다....
-
사위를 잘 뒷바라지하여 가족을 보호하고 좋은 집터를 택하게 되었다는 이야기. 조선 후기의 문신 이원명(李源命)이 지은 『동야휘집(東野彙輯)』에 전하는 야담으로, 조선 중기의 문신 이준경(李浚慶)[1499~1572] 집안이 임진왜란이 끝난 후 충주 남산 밑에 새롭게 정착하게 된 연유에 대한 이야기이다....
-
경기도 성남시 향토 인물 1호로 지정 받은 정일당 강씨의 유고를 완역한 단행본. 『정일당유고』는 정일당 강씨가 저술한 시와 편지 및 잡문 등을 사후 4년이 지난 1836년에 남편 윤광연이 발간한 것으로, 성남문화원에서 2002년 국역하여 단행본으로 간행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의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에서 발간하는 종합 문예지. 『성남문학』은 성남 지역 문인들에게 많은 지면을 할애하여 창작 의식 고취와 문화 창달에 기여하고 있다....
-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에서 성남 지역 문단의 역사와 지역 문학인의 작품을 모아 발간한 작품집. 『성남문학인 작품선집』은 성남 지역 문학인들의 작품을 엄선하여 1996년 이후 격년제로 발간하는 문학작품집이다....
-
1994년 순수 성남 출신 소설가들이 뜻을 같이하여 만든 동인회 및 동인지. 1981년 김건중, 윤광섭, 김만태 등 순수 성남 출신 소설가들이 뜻을 같이하여 소설동인회 ‘산성소설문학회’를 만든 바 있다. 소설동인회라고 했지만 그 모임체의 성격은 소설만이 아니고 지역 문학도들에게 포괄적으로 문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모임이었다. 그러나 창립시기가 정치적으로 혼란스러운 시기여서 모임 자...
-
1995년부터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하는 여성 문인 단체에서 발간하는 문학 동인지. 『에세이성남』의 전신은 『여성문학』이다. 1988년부터 연례적으로 개최된 성남시 여성 백일장 수필 부문에서 입상한 여성들을 모아 김건중이 주도하여 창립한 순수 여성 문학 단체인 성남여성문학회에서 동인지 『여성문학』을 창간하였다. 지역 문학과 여성 수필 문학의 발전을 위하여 창립한 성남여성문학회는...
-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 이원의 문집. 『용헌집』은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문신인 이원(李原)[1368~1429]이 집필한 시, 관직 생활을 할 때 쓴 장주(章奏), 전(箋), 헌의(獻議) 등의 글 등을 모아 후손인 이우기, 이정진 등이 1957년 석인본으로 간행한 문집이다....
-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이지직의 문집. 이지직(李之直)[1354~1419]은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백평(伯平), 호는 탄천(炭川)이다. 1380년(우왕 6) 과거에 급제하고, 한림, 교리를 거쳐 관동과 호서 지방의 관찰사 등 고려 말과 조선 초의 정치적 격변기에 고위직을 역임하였다. 1398년(태조 7) 보문각직제학 재임 당시 소도 변란이 일어 광주[지금의 성남]의 탄천(...
-
조선 중기 문신 송언신의 문집. 『호봉집』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송언신(宋言愼)[1542~1612]의 글을 후손인 송영대가 1910년 경 발간한 문집이다. 임진왜란 당시 선조가 내린 어찰이 다수 실려 있어 당시의 전황을 아는데 도움을 준다....
-
경기도 성남시에 소장되어 있는 시인 김소월이 생전에 간행한 유일한 시집. 시인 김소월은 1920년 『창조(創造)』에 「낭인의 봄」 등을 발표하면서 등단하였으며, 이별과 그리움에서 비롯하는 슬픔, 눈물, 정한(情恨) 등을 주제로 하여 일상적이면서 독특하고 울림이 있는 시를 창작했다. 1922년에 「진달래꽃」을 발표했으며, 1925년 12월 26일 127편의 시를 모아서 시집 『진달래...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했던 문학동인단체. 1992년 9월에 김건중이 성남 문인협회 산하 문예대학 수료자를 중심으로 결성한 동인이다. 설립취지는 회원의 자질을 향상하고 지역문화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를 기반으로 생각과 감정을 언어로 표현한 예술 및 작품. 성남은 1969년 광주대단지 개발에 이어 1990년대 분당신도시 개발로 인구 100만의 대도시로 변모했다. 5년간의 개발 시대를 거치면서 문학적 전통이 약화되긴 했으나 성남 고유의 향토문학의 명맥을 지키고 문학정신을 되살리는 문학가들의 노력은 지속되었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하는 문학 동인회. 문학시대는 성남 지역 문학인들이 지역 문학과 향토 문화의 발전을 위하여 창간한 문학 동인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었던 문학 단체. 성남문학동인회는 성남시 초기에 설립된 문학단체 중 하나로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 창립의 모태가 되었던 단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는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에서 제정, 시행하는 문학상. 성남문학상은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에서 지역 문인의 창작 의욕 고취와 향토문학 발전을 위해 훌륭한 작품을 쓰는 문인을 선정하여 매년 시상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문학인들과 성남 시민들이 참여하는 문학 행사. 성남문학축전은 문화 예술을 사랑하는 성남 시민과 성남에서 활동하는 문학인들이 만드는 축제의 한마당이다. 성남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문학인들이 한 자리에 모여 교류하며 성남 시민들과 함께 문학 정신을 공유하는 자리이다. 2014년 처음으로 개최되어 2022년 제9회 행사를 치렀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는 학생 글짓기 대회. 성남사랑 학생 창작 글짓기대회는 학생들의 글쓰기 역량을 높이고 정서 함양을 위해 1973년부터 개최되었다. 당시 시민의 날 기념으로 개최되었던 백일장을 2001년부터 ‘성남사랑 학생 창작 글짓기대회’로 명칭을 새로 지어 시행했다. 매년 입상한 작품은 『성남사랑』이라는 책으로 엮어 배포한다....
-
1772년(영조 48)~1832년(순조 32). 조선 후기 정조~순조대의 여성 성리학자이자 문인. 충북 제천 출생으로 일생의 대부분을 서울에서 살았고, 사후에는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 선영에 묻혔는데, 그의 묘소는 성남시향토유적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정일당의 본관은 진주, 아버지는 강재수(姜在洙)이고, 어머니 안동권씨는 권서응(權瑞應)의 딸이다. 아명은 지덕(至德)이며,...
-
작가의 상상력에 의하여 창작된 이야기 형식의 문학작품. 성남 초창기의 소설문학은 시문학에 비해 출발이 더딘 편이었다. 권기흥이 거의 독보적인 활동을 보이다가 김건중이 합세하면서 점차 소설 작품들이 발표되기 시작했다. 권기흥은 1960년 한국일보 공모에 장편소설 「탈피」로 당선되었고 1972년에는 삼성문화재단의 문화저작상 소설부문을 수상하였으며, 1973년에는 장편소설 「비산비야기」...
-
경기도 성남시에서 정서나 사상을 함축적이고 운율적으로 표현한 글. 성남 지역에서 발간된 최초의 시집은 1975년 문한종의 『고향꿈』이었다. 1977년에는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가 『성남문학』을 창간하고, 1987년 9월부터 시민백일장을 개최하여 신인상을 받거나 추천을 완료하고 등단한 시인이 활발하게 활동하게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는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에서 지역 문학인의 발굴과 문학 인구 저변확대를 위해 매년 실시하는 글짓기 대회. 성남 시민과 청소년들의 문학 인구 저변확대와 문학 동호인의 창작에 활력소가 되고자 성남문화예술제의 일환으로 시민백일장을 개최하고 있으며, 공모전으로 실시하고 있다....
-
조선 중기 문신이었던 이지번(李之蕃)[?~1575]의 일화를 적은 야담. 유몽인(柳夢寅)의 『어우야담(於于野談)』에 전하는데, 『토정비결』의 저자 이지함(李之菡)의 형인 이지번의 일화를 그린 이야기이다. 이지번은 본관이 한산, 자는 형백(馨伯), 호는 성암(省菴), 사정(思亭), 구옹(龜翁)이다. 판관 이치(李穉)의 아들이고, 성남의 인물인 이장윤(李長潤)의 손자로, 천문지리에 정...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는 문학단체.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는 성남이 시로 승격한 직후인 1975년 창립한 성남을 대표하는 문학단체로, 지역 향토문학의 발전을 위하여 지난 50여 년간 교육, 창작, 문집 발간, 문학 행사, 시상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