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1172
한자 大-
영어공식명칭 First Full Moon Day
이칭/별칭 상원,정월 대보름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설병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의례 장소 경상북도 성주군
성격 세시 풍속
의례 시기/일시 음력 1월 15일

[정의]

경상북도 성주 지역 사람들이 음력 1월 15일에 행하는 세시 풍속.

[연원 및 변천]

우리의 세시 풍속에서 대보름설날에 버금갈 만큼 중요하다. 정월 대보름은 세시 풍속 중 가장 많은 의례와 행사뿐만 아니라 놀이가 행해지는 날이다. 대보름이 되면 성주 사람들도 다양한 의례를 행하고 놀이를 즐긴다. 대보름은 한자어로는 ‘상원(上元)’이다. 상원중원(中元)과 하원(下元)에 대칭되는 말이다. 이들 명칭은 모두 도교의 성격을 띠고 있다.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성주 지역에서는 대다수 세시 풍속이 소멸했지만, 대보름과 관련된 민속은 상대적으로 많이 남아 있는 편이다.

[절차]

보름날에는 다섯 가지 곡식으로 오곡밥을 지어 먹고, 귀밝이술을 마시고 호두나 밤 등으로 부럼 깨기를 하며 한 해의 건강과 안위를 기원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성주에서는 귀밝이술 마시기, 오곡밥 먹기, 부럼 깨기, 더위팔기, 달점치기, 줄다리기, 용왕먹이기 등의 의례와 놀이가 행해진다.

성주 지역에서 행해졌거나 행해지고 있는 대보름 관련 의례와 놀이 중 몇 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① 귀밝이술[耳明酒] 마시기: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안포5리 사람들은 오곡밥[농사밥]을 먹기 전에 귀밝이술을 마신다. 대개의 집은 술[주로 탁주]을 담가서 귀밝이술로 사용했다. 어른은 남녀 모두 귀밝이술을 마신다. 이 술을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남의 소리를 잘 듣는다고 해서, 아이들에게도 입을 대고 마시는 시늉을 하게 한다.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에서는 남자가 주로 귀밝이술을 마셨는데, 이렇게 하면 일 년 내내 좋은 소식만 듣게 된다고 여긴다.

② 오곡밥 먹기: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안포5리 사람들은 오곡밥을 지을 때 다섯 가지 곡식을 넣는다. 옛날에는 찹쌀, 수수, 팥[또는 콩], 기장, 좁쌀 등 오곡이 정해져 있었다. 오곡밥에 밤, 대추, 곶감 등을 넣기도 한다. 오곡밥은 평소 아침보다 조금 일찍 지어서 나물과 함께 먹는다.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적송리에서는 오곡밥을 지을 때 화력이 강한 싸리나무로 불을 지폈다.

③ 달점치기: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안포5리 사람들은 보름달 빛이 붉으면 날이 가물고, 희면 비가 잦다고 여긴다. 비가 잦으면 풍년이 든다는 말이다. 달빛이 특별히 붉지도 희지도 않으면 평년작이 될 것이라 여긴다.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사람들은 달점을 칠 때, 보름달의 오른쪽이 희미하게 보이면 시절이 좋고, 왼쪽이 희미하게 보이면 시절이 좋지 않다고 여긴다.

⑤ 줄다리기: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안포5리 사람들은 대보름이 되면 마을을 동서남북으로 나누어서 줄다리기를 한다. 줄다리기를 하는 장소는 냇가이다. 줄다리기에서 이긴 마을에는 풍년이 든다는 속설이 있다. 줄다리기가 끝난 후에는 줄을 태워 버린다.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적송리에서는 마을 공터에서 남자와 여자로 성별을 나누어 줄다리기를 했다.

용왕먹이기: 대보름에 ‘용왕 먹인다’라고 하여, 동네 부인들이 물가에서 밥과 나물을 짚으로 만든 신발 모양의 물건 위에 놓고 비손한다.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용성1리 사람들은 굴바위 앞에서 용왕먹이기를 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