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400653 |
---|---|
한자 | 李鄧林 |
영어공식명칭 | I Deungrim |
이칭/별칭 | 대재(大材),공암(孔巖)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박세욱 |
출생 시기/일시 | 1535년 - 이등림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564년 - 이등림 생원시에 입격 |
활동 시기/일시 | 1573년 - 이등림 문과에 급제 |
몰년 시기/일시 | 1594년 - 이등림 사망 |
출생지 | 이등림 출생지 -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월곡리 |
부임|활동지 | 이등림 부임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
부임|활동지 | 이등림 부임지 - 전라북도 남원시 |
부임|활동지 | 이등림 부임지 - 함경북도 경흥군 |
부임|활동지 | 이등림 부임지 - 경상북도 구미시 |
묘소|단소 | 이등림 묘소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남계리 29-1 두만산 |
성격 | 문신 |
성별 | 남 |
본관 | 벽진(碧珍) |
대표 관직 | 공조좌랑 |
[정의]
조선 전기 성주 출신의 문신.
[가계]
본관은 벽진(碧珍)[경상북도 성주군]. 자(字)는 대재(大材), 호는 공암(孔巖). 할아버지는 성균관 진사를 지낸 이인손(李麟孫)이고, 아버지는 현릉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은 선비 이운(李運)이다. 어머니는 덕산 황씨(德山黃氏) 황계형(黃季亨)의 딸이다. 부인은 경주 최씨(慶州崔氏) 최호(崔湖)의 딸이고 1남 1녀를 두었다. 아들은 완정(浣亭) 이언영(李彦英)[1568~1639]이다.
[활동 사항]
이등림(李鄧林)[1535~1594]은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월곡리 홈실[椧谷] 마을에서 태어났다. 1545년(인종 1) 10세에 아버지를 잃었고 뒤에 다시 모친상을 겪으면서 슬픈 20대의 삶을 보냈다. 독실한 학문적 열정으로 동강(東岡) 김우옹(金宇顒)[1540~1603], 한강(寒岡) 정구(鄭逑)[1543~1620] 등과 종유(從遊)하며 학문을 연마하였다. 1564년(명종 19) 생원시에 입격하였다. 1573년(선조 6) 39세에 문과에 급제한 뒤로, 성균관 전적(典籍), 남원(南原) 교수, 경흥(慶興)[현 함경북도 경흥군] 교수, 사헌부 감찰, 인동(仁同)[현 경상북도 구미시]의 현감 등을 역임하고 공조좌랑(佐郞)에 이르렀다. 특히 인동현감으로 있을 때, 청렴함으로 명성이 자자하였다. 임기를 마치고 돌아올 때 계집종이 신고 있던 새 짚신조차 관아의 물건이라며 바위에 걸어 두게 하였으며, 그 바위를 ‘괘혜암(掛鞋巖)’이라 불렀다고 한다. 이후 할아버지 이인손이 공암[현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에 지은 정자를 개축하여 공암이라 자호(自號)하고, 후진을 양성하였다.
[묘소]
묘는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남계리 29-1번지 두만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