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0584
한자 朴可權
영어공식명칭 Bak Gagwon
이칭/별칭 죽백리(竹栢里) 선생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진갑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활동 시기/일시 1392년 7월 - 박가권 성주 수륜동 은거
몰년 시기/일시 1426년연표보기 - 박가권 사망
추모 시기/일시 1743년 - 영모재 건립
거주|이주지 박가권 이주지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수륜리 지도보기
묘소|단소 박가권 묘소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수륜리
사당|배향지 영모재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오천리 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순천
대표 관직 개성판윤

[정의]

조선 전기 성주에 거주한 문신.

[개설]

박가권(朴可權)[?~1426]은 고려 후기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개성판윤(開城判尹)에 이르렀으며, 문장(文章)과 행의(行義)가 뛰어나 일세의 추앙을 받았다.

[가계]

본관은 순천(順天). 증조할아버지는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박숙정(朴叔貞)이고, 할아버지는 검교이부시랑(檢校吏部侍郞) 박원룡(朴元龍)이다. 아버지는 대광(大匡)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 평양 부원군(平陽府院君) 박천상(朴天祥)이고, 어머니는 검교시중(檢校侍中) 이포(李褒)의 딸[이조년(李兆年)의 손녀] 성주 이씨(星州李氏)이다. 부인은 야성군(冶城君) 송길창(宋吉昌)의 딸 야성 송씨(冶城宋氏)와 판중추(判中樞) 홍언수(洪彥修)의 딸 남양 홍씨(南陽洪氏)이다.

[활동 사항]

박가권은 지금의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수륜리에서 태어났다. 벼슬이 개성판윤에 이르렀으며, 공평하고 청렴결백(淸廉決白)한 것으로 널리 추앙을 받았다. 행실이 견실하여 세상 사람들과 어울리지 않았다.

1392년 7월 태조가 등극하던 날 순절하여 고려에 대한 의리를 지킨 아버지 박천상의 삼년상을 마치고 곧바로 개성 두문동(杜門洞)에서 조령(鳥領)을 넘어 외향(外鄕)[성주 이씨]과 처향(妻鄕)[야성 송씨]인 성주 가야산(伽倻山)으로 내려와 은거하였다. 이때 야은(冶隱) 길재(吉再)도 선산 금오산으로 들어갔으므로 세상 사람들은 이를 두고 “길입금오 박입가야(吉入金烏朴入伽倻)”라고 하였다. 낙향 후 주변에 대나무와 잣나무를 많이 심어 터전을 닦고 마을 이름을 ‘수륜(修倫)’이라 짓고는 그곳에서 세상일을 모두 사절하고 일생을 마치고자 하니 사람들이 ‘죽백리(竹栢里) 선생’이라고 불렀다.

태종이 박가권을 세 차례나 정경(正卿)[판서]으로 불렀으나 나아가지 않고, “나는 왕 씨의 신하인데 어찌 이 씨에게 벼슬을 할 수 있겠는가.”라며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절의를 지켰다. 박가권이 임종할 때 “비갈(碑碣)을 쓸 때 정경(正卿)을 쓰지 말고 고려(高麗) 때의 개성판윤을 써라.” 하고 유언하였다. 가야산에는 박가권이 은거하던 지동암(志同巖)이 있는데, 후대에 많은 선비가 그 일을 시로 읊었다.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연보(年譜)에는 “외선조인 박가권과 아들 박유성(朴柳星) 두 대의 묘소에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다.

[묘소]

묘소는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수륜리 뒷산 임좌(壬坐) 언덕에 있다.

[상훈과 추모]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수륜리의 덕봉서원에 향사하고, 윤동에 유허비(遺墟碑)를 세웠다. 1743년(영조 19) 박가권(朴可權)과 그 아들 박유성(朴柳星), 박두성(朴斗星)을 추모하는 영모재(永慕齋)가 성주군 수륜면 오천리 마산 마을 서편에 건립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