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0533
한자 京山李氏
영어공식명칭 Gyeongsan Yi Clan
이칭/별칭 부정 이씨(副正李氏),소윤 이씨(少尹李氏)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안포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영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본관 경산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 지도보기
입향지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안포리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안포리
묘소|세장지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안포리
성씨 시조 이덕부
입향 시조 이함

[정의]

이덕부를 시조로 하고, 이함을 입향조로 하는 성주 지역의 세거 성씨.

[개설]

경산 이씨(京山李氏)는 시조인 이덕부(李德富)가 경주에서 성주로 이거하여 정착할 때의 지명이 ‘경산부(京山府)’였기 때문에 경산 이씨가 되었다. 이덕부는 고려 의종과 명종 대에 악거부정(樂居副正)을 지냈고, 무신란이 발생하자 경산부 본아리(本牙里)[현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로 이거하였다. 입향조(入鄕祖)는 이덕부의 7세손 이함(李瑊)이며, 삼중대광(三重大匡) 광평군(廣平君) 이능(李能)의 사위가 되어 광평[현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안포리]으로 이거하였다. 이함의 가문은 소윤 이씨라고도 했는데, 이함이 고려 때 중현대부(中顯大夫) 소부윤(少府尹)을 역임했기 때문이었다.

[연원]

경산 이씨는 처음에는 관향(貫鄕)을 성산(星山) 또는 성주로 하였다. 그러나 성주의 다른 이씨 가문인 농서(隴書), 벽진(碧珍), 성산, 광평(廣平) 등도 같은 관향으로 하고 있어, 성주의 옛 이름인 경산을 관향으로 하였다. 경상북도 성주의 경산 이씨는 다섯 파로 나누어져 있다. 부장공파(部將公派)는 10세손 이엽(李曄)의 첫째 아들 창신교위(彰信校尉) 이수언(李秀堰)의 자손들로서,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암포, 벽진면 수남 등에 거주하였다. 사직공파(司直公派)는 이엽의 둘째 아들 부사직(副司直) 이수제(李秀堤)의 자손들로서,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암포 등에서 살고 있다. 진사공파(進士公派)는 이엽의 셋째 아들 진사 이수오(李秀塢)의 자손들로,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암포 등에 거주하였다. 군수공파(郡守公派)는 이엽의 넷째 아들로 숙부 이안(李晏)에게 양자로 간 이수장(李秀場)의 자손들로, 경상북도 성주군 금수면 적산, 선남면 저정, 초전면 송천 등에서 살고 있다. 통덕랑공파(通德郞公派)는 8세손 이번(李蕃)의 둘째 아들 이보문(李保門)의 자손들로, 성주군 초전 등에서 살고 있다.

경산 이씨는 이엽의 후손 중 덕계(德溪) 오건(吳健)의 문인이자 한강(寒岡) 정구(鄭逑)[1543~1620]와 동서인 암서(巖棲) 이침(李忱)[1543~1580]과 두 아들 이천배(李天培)[1558~1604], 이천봉(李天封)[1567~1634] 대에 이르러 사족의 명망을 누리게 되었다.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1554~1637]의 내종질(內從姪)이자 문인인 학가재(學稼齋) 이주(李𦁖)는 아들 7명이 모두 대소과에 급제하여 가문이 크게 번창하였다.

[입향 경위]

이함이 광평 이씨(廣平李氏)인 이능의 사위가 되어 이거함으로써, 광평[현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안포리]이 경산 이씨의 본거지가 되었다.

[현황]

2010년 6월 말 기준으로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안포 1리, 안포 2리, 안포 3리에 126호의 경산 이씨가 있다.

[관련 유적]

관련 유적으로는 백인당(百忍堂), 덕암사(德岩祠), 학남재(鶴南齋), 검양서당(儉陽書堂), 학가정(學稼亭) 등이 있다. 백인당은 대종 재실로서 이함, 이번, 이흥문(李興門) 3대를 모시고 있다. 덕암사한강 정구의 문인인 이천배, 인조 때 활약한 이천봉, 장현광의 제자로 백인당을 세우는 데에 큰 역할을 한 이주 등을 추모하기 위해 세웠다.

학남재는 조선 영조 때의 처사(處士) 이덕종(李德琮)[1711~1761]의 덕행(德行)을 추모하기 위해 1962년에 건립하였다. 경산 이씨 세거지인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매수리 수남 마을의 북쪽 끝 언덕의 일각문(一角門)과 토석 담장이 둘러진 방형대지(方形垈地) 내에 동향하여 있다. 정면 3칸, 측면 1칸 반의 팔작지붕으로 좌측에 통 1칸의 마루, 중앙과 우측으로 통 2칸의 온돌방을 두었다. 온돌방 전면에는 툇마루를 두어 외부와 통하게 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