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98년 서귀포 지역에서 발생한 농민 반란. 제주목사와 향리 세력이 제주 농민들에게 지나치게 높은 세금을 부과하고, 억압적인 정책을 펴다가 화전민, 특히 광청리(光淸里)에 거주하던 남학(南學)을 신봉하는 신자들 집단들이 중심이 되어 일으킨 농민 반란이다. 제주도에서는 19세기 들어와 민란이 자주 발생하였다. 평안도 농민 전쟁의 영향으로 1813년 양제해(梁濟海)의 난이...
-
1901년 대한제국 정부의 봉건적 수탈과 천주교 및 서구 열강의 문화적 침탈에 저항한 제주 지역의 민중운동. 전제군주체제의 강화를 꾀하던 대한제국은 왕실 재정을 채우기 위해 1900년(고종 37) 내장원(內藏院)에서 봉세관(棒稅官) 강봉헌(姜鳳憲)을 제주도에 내려 보냈다. 그는 공유지에 대한 세금을 무리하게 거둬들였고, 심지어 어장·그물·소나무·목초지에 대해서도 세금을 매겼다. 더...
-
1918년 10월 7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도순리의 법정사 승려들이 중심이 되어 국권회복을 목적으로 일으킨 무장 항일운동. 제주 법정사 항일운동은 법정사 승려들이 중심이 되고 도순리 인근 마을 주민 700여명이 국권회복을 목적으로 하여 참여한 제주도 내 최초, 최대의 항일운동이다. 참여자들은 화승총과 곤봉 등으로 무장하고 6개월여 전부터 거사를 준비하였다. 일본인을...
-
일제 강점기인 1919년 3월 서귀포 지역에서 전개된 만세 시위 운동. 1919년 3·1운동은 서울·평양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시작되어 전국 방방곡곡으로 확산되었다. 제주도에서는 휘문고보 학생이었던 김장환(金章煥)이 서울에서 만세 시위에 참여한 후 귀향하여 삼촌 김시범(金時範)·김시은(金時殷) 등 제주시 조천면 유지들과 밀회하였다. 이 자리에서 그는 경향 각지의 사정을 알리고 동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문동 출신의 강규언(姜圭彦)이 1919년 전라북도 군산[옥구]에서 3·1운동에 참여하다 검거된 사건. 제주도의 3·1운동은 제주 신좌면 조천리에서 처음 시작되었는데 이는 서울에서 3·1운동이 일어나자, 이를 계기로 제주도 유지였던 최정식과 기독교 목사 김창국·윤식명·김정찬 등이 서로 뜻을 모아 만세운동을 계획한 데 있었다. 이후 191...
-
1944년 태평양전쟁 시기 일본의 패전에 관한 유언비어를 퍼뜨린 고봉규·현문옥·박계호·오남학이 검거된 사건. 1941년 12월 8일 일본의 진주만 공격으로 시작된 태평양전쟁은 1945년 9월 2일에 일본이 항복 문서에 서명을 하면서 종결되었다. 일본은 ‘본토 결전’ 시기 즉, 전쟁에서 패전하기 전까지 제주도를 일본 본토 방어의 최후 보루로 삼아서 군사 요새화하였고, 이에 섬 곳곳에...
-
1970년 12월 15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귀포항에서 출항한 부산~제주 간 정기여객선인 남영호가 침몰한 사건. 남영호(南榮號)는 중량 362톤, 길이 43m, 폭 7.2m, 시속 15노트, 정원 302명이 승선 가능한 철선으로, 남영상사[대표 서몽득]가 경남조선에서 건조하였다. 1968년 3월 5일 서귀포~성산포~부산 간 노선을 첫 취항하였고, 매달 10회씩 정기적으로 왕복...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서 1929년 5월 5일 대정보통학교와 인근 의숙 소년단체가 중심이 되어 시위행진을 벌인 사건. 1929년 5월 5일 대정보통학교와 인근 의숙(義塾) 소년단체가 연합하여 어린이날 기념 행사로 산방굴사(山房窟寺)까지 행군하기로 하여 출발하였다. 그러나 당시 관할 경찰에서는 어린이날 관련 행사 일체를 중지하는 동시에 엄중히 경계하고 있었고, 대정읍내에...
-
1931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출신 학생들이 ‘만보산 사건’을 규탄하는 격문을 제작 살포한 사건. 만보산 농민 학살 사건 규탄 격문 배포 사건은 김만유·이갑문·김무안 등 서귀포 출신 3명의 학생과 홍병모·최금경·이동재·강정수 등이 중심이 되어 전개한 항일 운동이다. 이들은 1931년 5월부터 발생하여 7월에 절정이었던 소위 ‘만보산 사건’에 대하여 일제가 배후에서 조...
-
1374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법환동 범섬 일대에서 최영 장군과 목호 세력(牧胡勢力)이 제주 관할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벌인 전투. 범섬 전투는 1374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법환동 소재 법환 포구 앞바다에 자리잡은 범섬 일대에서 최영(崔瑩) 장군과 제주 몽골족의 목호 세력(牧胡勢力)이 제주 관할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벌인 최후의 결전이다. 당시 1374년(공민왕 2...
-
1934년부터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서 송순혁 외 3명이 서귀리 독서회를 조직하여 계몽활동을 벌이다 검거된 사건. 1920년대 제주에서의 청년운동은 일제의 청년동맹에 대한 감시와 탄압으로 말미암아, 점차 지하운동으로 그 성격이 바뀌어 갔고, 1920년 말부터 1930년대 초에 이르면 사회주의자들이 주도하는 해방운동이 가장 왕성하게 전개되었다. 그리고 제주의 경우, 일본 특히 오사...
-
2006년 11월 마라도 남서쪽 해상에서 낚시 어선의 침몰로 이영두 서귀포시장 등이 실종된 사건. 2006년 11월 25일 오후 1시~1시30분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마라도 남서쪽 3㎞ 해상에서 이영두 서귀포시장을 비롯, 7명이 탄 모슬포 선적 소형 낚시 어선 해영호[3.8t, 선장 김홍빈]가 침몰했다. 이 사고로 서귀포시 대정읍장 황대인, 서귀포시 지역경제국장 오남근,...
-
1988년 대정읍 일대에 공군비행장을 건설하려던 국방부의 계획에 반대하여 발생한 제주도의 주민운동. 대정읍은 옛 알뜨르 비행장 부지를 비롯해 육군 훈련소 자리 등 국방부 소유 토지가 많고, 제주도의 각종 관광개발계획에서 소외된 지역이었다. 1988년 5월 정부가 송악산 일대의 관광개발계획을 취소하고 대신 군사기지와 비행장을 설치하려는 계획이 알려졌다. 비행장과 군사기지가...
-
1937년 10월 22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무릉리 출신의 송희경이 모슬포항에서 모슬포 비행장의 군사적 중요성을 말하다가 검거된 사건. 송희경은 제주 서귀포 대정읍 무릉리 출신으로, 1927년경 돈을 벌기 위해 어미와 처자식 6명을 데리고 일본으로 건너갔다. 그러나 제주에 있는 할아버지의 대상(大祥) 및 가사 정리를 이유로 일시 제주에 돌아가야 하는 상황이 찾...
-
1930년 여수수산학교 독서회 소속 서귀포 출신 학생들이 일제에 검거된 사건. 정의면 신산리[지금의 서귀포시 표선면 신산리] 출신의 여수수산학교 3학년[당시 22세] 김봉칠(金奉七) 등 여수수산학교 학생들로 조직된 독서회로, 사유재산제도의 타파와 공산주의 사회의 수립을 목표로 하여 공산주의에 대한 지식 함양 및 실행을 위하여 마르크스주의를 연구하였다. 1930년 3월 경...
-
1927년 5월 16일 정의면 중앙청년회 주최로 열린 대운동회에서 정의면 청년들과 일본인 선원 간에 싸움이 벌어진 사건. 제주 성산면 성산리 성산포 근처는 우도와 가까이 위치하고 있어 황금어장을 이룰 만큼 어족 자원이 풍부하였다. 이에 옛날부터 왜구의 노략질이 심했을 뿐만 아니라 일제 시기에는 일본 어부들이 제주 근해에 상륙하여 불법 어업을 감행하고 어장 침탈을 행하였기...
-
1483년(성종 14) 정의현감 이섬(李暹)이 추자도에서 표류를 당해 명나라 양저우·베이징을 거쳐 귀국한 사건. 제주 정의현감 이섬과 정의 훈도 김효반 등 47명은 1483년(성종 14) 2월 봄에 표류하여 해상에서 밤낮 열흘을 떠다니다가 중원 양주 지방에 이르렀다. 이때 살아남은 이섬과 김효반 등 33명은 북경에 도착하였고, 이를 천추사(千秋使)[조선에서 중국 황태자의...
-
1948년 4월 3일 이후 7년 동안 서귀포시를 포함한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 광복 직후의 당시 제주 사회는 6만여 명의 귀환 인구 실직 난, 생필품 부족, 콜레라의 창궐, 극심한 흉년 등으로 겹친 악재와 미곡정책의 실패, 일제 경찰의 군정 경찰로의 변신, 군정 관리의 모리행위 등이 큰 사회문제로 부각...
-
일제강점기에 제주 해녀들이 돈을 벌기 위해 한반도·일본·중국·러시아로 나아가 바다물질을 한 일. 해녀의 출가노동은 바깥물질이라고도 하는데, 원래 ‘해녀(海女)’라는 말은 문헌에 간혹 등장하지만, 잠수하는 여성의 개념은 아니었다. 문헌에서는 바다를 대상으로 일하는 일반 여성 어민들을 지칭하는 말인데, 유사한 말로는 포녀(浦女)가 있다. 해녀는 썰물 때 조개를 잡거나 잠수하지 않고 해...
-
제주 사람들이 어떤 목적을 가지고 제주에서 일본으로 가기 위해 바다를 건너는 일. 일본 도항에 대해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합법적인 도항과 비합법적인 도항, 즉 밀항이 그것이다. 합법적인 도항은 일제강점기에 제주인들이 식민지 조선에서 일본 내지로의 통행증을 가지고 이동하는 것을 말하며, 비합법적인 도항인 밀항은 통행증을 발급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
제주 4·3 사건 당시 국방경비대 제9연대 병사들이 부대를 탈영하여 한라산 게릴라 측에 가담한 사건. 9연대 병사들 가운데 한라산 무장대에 동조한 자들이 1948년 5월 새로이 부임한 박진경(朴珍景) 제9연대장의 강경 진압책에 반발하여 일어났다. 1948년 5월 20일 국방경비대 제9연대 소속 하사관 11명을 포함한 병사 41명이 모슬포부대를 탈영하여 한라산 게릴라 측에 가담한 사...
-
1552년(명종 7) 왜구가 천미포(川尾浦) 쪽으로 접근해 와서 난동을 부린 사건. 1552년(명종 7) 5월에 포르투갈인을 포함한 200여명의 왜적이 중국 상인 등과 함께 8척의 배에 나눠 타고 정의현(旌義縣)[지금의 표선면] 천미포에 흘러 들어와 사람들을 죽이고 재물을 약탈하였다. 2일간이나 전투가 계속되었던 사건으로, 200여 명의 왜구 중 70여 명은 직접 상륙하여 약탈을...
-
1981년 12월 17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문동에 위치한 천제연(天帝淵)에 가설 중이던 현수교(懸垂橋)가 붕괴된 사고. 1971년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이 확정·공포됨에 따라 제주도를 1개 권역으로 구획하는 국제적 관광지로의 개발이 계획되었다. 이에 국토종합개발계획의 보조적 성격을 지닌 제주도종합개발10개년계획이 수립되어 1971년부터 1981년까지 제주 지역 개발이 종합적...
-
1959년 9월 16일 서귀포시를 강타한 태풍. 태풍 사라는 열대성 저기압으로 북태평양 서부의 사이판 섬 동쪽 해상에서 발생했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태풍은 주로 북서태평양 북위 5~20°와 동경 125~155° 해역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 중에서 중심 부근의 최대 풍속이 17m/sec 이상의 강한 폭풍우를 동반하는 것을 말한다. 연평균 26~28개 발생하는 태풍 가운데 2...
-
1653년 제주 서귀포 지역에 네덜란드 사람 하멜 일행이 표착한 사건. 핸드릭 하멜(Hamel, Hendrick)은 1630년에 네덜란드의 호르쿰에서 태어났다. 그는 1650년 11월 6일에 보겔주트뤼즈호를 타고 네덜란드를 떠나 바타비아로 향했다. 바타비아에서 그는 VOC 선박의 포수이자 서기로 일하였고, 1653년 7월에 상선 스페르베르호를 타고 바타비아를 떠나 일본의...
-
일제 강점기 서귀포 출신 학생들이 관련된 ‘조선학생전위동맹’ 사건. 조선학생전위동맹은 레닌주의에 입각하여 제국주의 교육에 항쟁한다는 등의 강령을 바탕으로 학생의 언론·집회·출판의 자유 획득, 학문의 연구 및 비판의 자유 등 민주적인 내용을 행동 강령으로 조직된 사회주의적 학생 조직이다. 김순희(金淳熙)·송건호·김인배 등 제주 서귀포 출신이 주축을 이루었다. 조...
-
제주 주민들이 제주-오사카 정기 운항선인 함경환(咸鏡丸)의 회사인 조선우선(朝鮮郵船)에 항의하여 위적료(慰籍料)를 받아낸 사건. 1928년 1월 28일 대포포구 서쪽 자장코지 앞에 정박한 함경환[간쿄마루]으로 승객을 실어 나르던 종선(從船)이 침몰하여, 종선에 탔던 승객 중 18명만 구조되고 32명이 사망한 사건이다. 그러나 함경환은 사태를 완전히 수습하지 않고 떠나버려...
-
1931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창천리·감산리·상창리에서 호세(戶稅)를 물지 않기로 맹세하고 호세 불납운동을 전개한 사건. 1920년대 말부터는 생산에 종사하는 대중들 가운데서도 반일운동이 크게 전개되었다. 특히 일제의 식민지 통치 말단 기구인 면 행정에 대한 반대 투쟁이 크게 증가하였다. 당시 일제는 조선을 식민지화하고 조선인의 90% 가량이 거주하는 농촌을 지배하기 위해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