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세종의 인문 정신을 구현한 한글 문화 도시, 세종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1443
한자 世宗-人文精神-具現-文化都市世宗市
영어공식명칭 Sejong City, the Hangeul Cultural City that Embodies the Humanistic Spirit of King Sejong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대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2월 21일연표보기 - 도시 명칭을 ‘세종’으로 최종 결정

[개설]

세종특별자치시의 지역정체성은 정치·행정적 측면에서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이지만 문화적 측면에서는 한글문화도시를 지향하고 있다.

한글문화도시라는 지역정체성의 출발점은 국민 공모를 통하여 선정된 도시 명칭인 ‘세종(世宗市, Sejong)’이다. 세종대왕의 가장 큰 업적이자 세종대왕 인문정신의 총아(寵兒)[특별한 사랑을 받는 대상]는 한글 창제이다.

세종특별자치시는 ‘세종대왕의 인문정신을 구현한 도시’라는 도시정체성을 정립하기 위하여 세종대왕, 세종대왕 관련 인물, 한글, 우리말 등과 연결되는 콘텐츠를 개발해서 추진하는 등 한글과 관련된 지역 문화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세종시와 세종대왕, 그리고 한글]

세종특별자치시는 도시 건설의 시작 단계부터 현재까지 세종대왕의 애민정신(愛民精神)과 인문정신(人文精神)을 도시 곳곳에 구현해 가고 있는 도시다. 세종의 애민정신과 인문정신을 도시정체성으로 확립하기 위하여 개발 초기부터 여러 정책적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이고 있다. 세종대왕의 애민정신은 여러 업적으로 역사 기록에 고스란히 전하여진다. 그러나 애민정신은 역사 속에 박제(剝製)[동물의 내장을 발라내고 썩지 않도록 처리한 뒤 안에 솜이나 대팻밥 등 충전물을 넣어 살아 있을 때와 같은 모양으로 만듦]되어 있지 않고 현재를 살고 있는 시민들에게도 현실적인 가르침과 혜택을 주고 있기에 더욱 뜻이 깊다.

세종대왕의 애민정신이 발현된 첫 번째 업적으로 백성의 뜻을 존중하였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백성들의 삶과 직결된 토지법을 재정하기 위하여 관리들에게 긴 시간 동안 많은 백성의 의견을 구하도록 한 사실은 지금의 민주주의에 비견될 만한 일이다.

두 번째 업적으로는 백성을 위한 복지정책을 추진하였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세종이 백성 하나하나의 인권을 귀하게 여겼음을 보여 준다. 세종은 홀아비, 홀어미, 고아, 독거노인, 장애인, 노비, 재소자에 이르기까지 사회적 약자들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정책을 시행하도록 하였다. 남녀 관노비에게 실질적인 산전·산후 휴가를 주도록 지시한 것은 시대적으로도 파격이 아닐 수 없다.

세 번째 업적으로는 바로 한글, 즉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를 꼽을 수 있다.

세종의 애민정신과 인문정신은 한글 창제로 집약된다. 문자를 몰라 고초를 겪고 있는 백성들을 가엾게 여기고 익히기 쉬운 문자를 만들어 백성들의 어려움을 덜어 주고자 한 세종의 애민정신이 한글에 온전히 담겨 있기 때문이다. 세종은 백성들이 쉽게 익히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문자를 만들어 백성들로 하여금 세상과 소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세종은 과학적 연구와 실질적 활용을 몸소 진행하여 백성을 위한 문자체계를 창조해 낸 것이다. 한글 창제는 세종대왕의 인문정신 바탕 위에서 가능한 역사적 사건이었다.

세종특별자치시는 역사적으로는 신생 도시로서의 한계를 극복해야 하였으며, 지역적으로는 주변 여러 지역의 혼재된 정체성을 하나로 통합해야만 하였다. 세종의 인문정신은 역사적·지역적 필요성 때문에 세종특별자치시의 독자적 도시정체성 확립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으며, 세종특별자치시는 한글을 정책적으로 활용하여 도시의 정체성과 이미지 형성을 도모하고 있다.

[세종시의 순우리말 명칭 제정과 그 의미]

세종특별자치시는 초기 도시 계획 단계에서는 ‘행정중심복합도시, 행정중심도시, 행정도시, 행복도시’ 등으로 지칭되다가 도시 건설이 차츰 진행되면서 도시 명칭을 새롭게 확정하게 되었다.

우선 행정복합도시건설청에서는 도시 명칭 제정을 위하여 23명의 각계 전문가들로 도시명칭제정심의위원회를 구성하였다. 도시명칭제정심의위원회에서는 추진계획 수립, 국민공모, 도시 명칭 후보에 대한 선호도 조사, 선호도 조사에 대한 심사, 최종 도시 명칭 선정 등 도시 명칭 제정을 위한 전반적 업무를 담당하였다.

국민 공모에 제안된 총 2,160건의 명칭과 도시명칭제정심의위원회에서 직권으로 심사하기로 한 명칭들 가운데 10개의 도시 명칭 후보[가온, 금강, 대원, 세종, 새서울, 새벌, 연기, 연주, 한울, 행복 등]를 선정하였다. 도시 명칭 후보들을 대상으로 1차 국민 선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울, 금강, 세종’ 3개의 명칭 후보가 상위 후보로 선정되었다. 3개의 명칭에 대하여 2차 국민 선호도 조사를 실시한 후 조사 결과와 함께 무순으로 건설추진위원회에 상정하였으며, 2006년 12월 21일 건설추진위원회에서 도시 명칭을 ‘세종’(世宗, Sejong)으로 최종 결정하게 되었다.

실제 2차 선호도 조사에서는 한울[47.6%, 금강[29.4%]에 이어 세 번째 선호도를 보인 세종[23.0%]이라는 명칭이 최종적으로 선택된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다.

우선 발음의 선명함과 영문 표기의 용이함을 들 수 있으며, ‘세종’ 도시 명칭이 작명 의도를 충실히 보여 주고 있다는 점도 기여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세종대왕의 업적과 정신을 기리는 명칭이라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세상의 으뜸이라는 문자적 의미에서 행정 중심 도시의 상징성을 잘 표현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세종’이라는 도시 명칭이 도시정체성을 드러내는 데 효과적이라는 판단도 작용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는 도시 곳곳에 순우리말 명칭을 부여하여 사용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의 마을이나 시설 이름에 의도적으로 우리말 명칭을 부여함으로써 한글문화도시로서의 정체성과 이미지를 강화하고 있는 것이다.

행정복합도시건설청에서는 세종특별자치시의 도시이미지를 한글과 연계하기 위하여 명칭제정 자문위원회를 구성하여 전문적인 연구 용역을 실시하였다. 용역에서 제안된 우리말 명칭들을 대상으로 국민 선호도 조사와 국민공모를 실시하여 세종특별자치시의 마을, 학교, 도로, 공원 등 주요 시설 1,066개의 명칭을 순우리말로 제정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의 순우리말 명칭 사용은 그 자체로서도 의미가 있지만 대상별 특징을 고려하여 순우리말 명칭을 부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더욱 크다.

우선 세종특별자치시는 6개 권역별 특징과 연결된 순우리말 법정동명을 결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가 있는 어진동은 너그럽고 슬기로운 행정관의 이미지를 드러내고, 세종특별자치시청과 세종특별자치시 교육청이 있는 보람동은 보람 있는 지방행정 이미지를 표현한다. 따스한 이미지를 담은 다솜동에는 의료 복지 시설이 계획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의 도로 명칭에도 특별한 의미가 담겨 있다. 세종특별자치시를 14개 구역으로 나누고 각각의 구역에 ‘ㄱ’부터 ‘ㅎ’까지의 14개 한글 자모를 배치하여 도로명을 부여하였다. 도로명만 확인하면 한글 자모를 통해서 도시에서의 대략적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어린이 공원에는 ‘꽃’과 ‘새’ 등의 어휘를 활용하는 등 공원별 성격에 맞는 우리말 명칭을 부여하고 있을 정도로 세종특별자치시는 순우리말 사용을 추진하고 있다.

[세종과 한글을 활용한 지역 문화 정책]

세종대왕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역사적 자산으로 전의초수(全義椒水)가 있다. 그러나 전의초수 단독으로 세종특별자치시의 정체성과 이미지를 대표하는 데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때문에 세종특별자치시에서는 세종과 한글을 활용한 다양한 문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선 세종대왕과 관련된 인물들을 문화 자원으로 활용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세종대왕과 인연이 있는 김종서(金宗瑞)[1383~1453], 성삼문(成三問)[1418~1456], 박팽년(朴彭年)[1417~1456]의 역사적 흔적을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장군면에는 1434년(세종 1)에 6진(六鎭) 개척의 공을 세운 김종서 장군의 묘가 있다. 세종특별자치시는 매년 묘역 일원에서 개최되는 김종서 장군 문화제세종축제와 연계하여 진행하고 있으며, 김종서 장군 묘역 성역화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금남면에는 사육신 성삼문의 위패를 모신 문절사(文節祠)가 있다. 세종특별자치시는 향후 문절사를 보수하고 소장 중인 유물을 전시할 계획이다. 사육신 박팽년도 세종특별자치시와 연결고리가 있다. 전의면 관정리 박동(朴洞) 마을이 조부와 선친의 고향이자 묘소가 있는 곳이다. 박팽년 탄생 600주년을 기념하는 ‘제3회 전의현 박팽년 한마당’이라는 문화제가 2017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서 열렸다.

또한 세종대왕과 관련된 인물들의 이름을 세종특별자치시청[보람동]에 활용하여 역사 문화 도시로서의 의미를 되새기고 있다. 주민 공모를 통하여 세종특별자치시청사의 주요 공간 명칭을 세종대왕을 연상시킬 수 있는 명칭으로 선정한 것이다. 대회의실은 ‘세종실’, 간부회의실은 ‘집현실’, 1·2·3중회의실은 ‘김종서실, 박팽년실, 성삼문실’로 각각 명칭을 부여하였다. 강당은 시민과 함께한다는 의미로 ‘여민실’로 하였으며, 세종의 군호(君號)인 ‘충녕’을 활용하여 보육실을 ‘충녕 어린이집’으로 명명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는 지역 정체성 확립과 시민의 인문학적 소양 함양을 목표로 ‘세종인문지리학교’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세종인문지리학교 프로그램은 전문가 강연과 주요 현장 답사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세종시의 어제·오늘·내일로 떠나는 인문여행’이라는 주제로 2015년에 1~4기, 2016년에 5~8기의 활동이 완료되었다. 2019년 현재 세종시문화재단에서 진행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인 「세종의 리더십을 찾아서」라는 정기강좌로 이어지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에서는 세종대왕과 한글 관련 조형물을 활용하여 세종시가 한글 문화 도시임을 직관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청 중앙정원에는 세종대왕 상징 조형물을 설치하여 시민들의 휴식과 기념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세종특별자치시청 외부에도 한글 자모를 새긴 보도블록을 사용하였다. 세종시 도심 하천공원인 방축천의 세종광장 구간에는 세종대왕의 업적과 관련된 역사와 문화를 표현한 8개의 부조벽화를 설치하여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와 대전광역시 경계인 금남면 두만리 국도변에는 훈민정음 시계(市界) 조형물을 설치하였고, 조치원 지하차도에는 한글 자모를 활용한 디자인과 조명을 설치하여 한글 도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세종시의 대표적인 지역 축제, 세종축제]

세종축제는 세종대왕의 애민사상과 인문정신을 계승하기 위하여 매년 10월 세종호수공원 일원에서 세종대왕과 한글을 주제로 개최되는 지역 종합 축제이다. 옛 충청남도 연기군[현 세종특별자치시]의 지역 축제인 도원문화제와 왕의물 축제 등을 통합하여 2013년 제1회 세종축제를 시작하였으며, 2018년 10월에 제6회 세종축제가 열렸다.

세종축제는 세종대왕과 한글의 위상 제고, 세종시민의 화합 도모, 문화관광축제로의 도약, 한글 문화 산업 가치의 재조명 등의 목표 아래 매년 기획되고 있다. 짧은 역사에도 참신한 주제와 프로그램으로 세종시를 대표하는 지역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세종축제는 세종특별자치시의 도시정체성과 축제 목표에 맞추어 한글날[양력 10월 9일]을 전후하여 개최되며, 세종대왕과 한글을 주제로 한 각종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2018년 제6회 세종축제는 ‘날아오르다, 600년 세종의 꿈’이라는 주제로 개최되었다. 세종과학집현전, 한글·창의 산업전, 한글 놀이터 등 상설 프로그램이 축제 내내 진행되었다. 또 세종대왕 전시회 등 특별프로그램과 세종예술제, 제16회 왕의물 축제, 제6회 김종서 장군 문화제, 572돌 한글날 경축식 등 연계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개막 주제공연으로는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의 한글 창제 과정을 재현한 융·복합 뮤지컬 ‘한글꽃 내리고’가 무대에 올려졌으며, 세종대왕 즉위 600주년과 한글 창제를 경축하기 위한 세종대왕 어가행렬도 재현되었다.

[한글 문화도시로서 세종시의 미래]

세종특별자치시는 한글문화도시로서의 자긍심을 높이고 도시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도시 건설 시작 단계부터 여러 방면에서 지속적인 정책을 추진하여 왔다. 도시 내·외부적으로 일정 부분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로 마무리되는 사례도 빈번하다.

세종특별자치시에서는 기존에 정부 주도로 진행된 한글날 경축식을 세종 지역에서 개최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그러나 충분한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세종특별자치시 내부적으로 한글날 경축식을 진행하고 있다.

한글문화도시로서의 위상을 굳히기 위하여 추진한 세계문자박물관 유치도 실패로 돌아갔다. 국립한글박물관의 세종특별자치시 이전도 추진하고 있지만 특별한 묘책이 없는 2019년 현재 상황에서는 성사되기 어려워 보인다. 한글과의 관련성을 찾기 어려운 세종시 한글공원은 찾는 사람 없이 방치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지난 정책적 실패 사례들을 되돌아볼 때 한글문화도시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세종특별자치시의 문화정책 추진은 신중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단기간 내에 가시적 성과를 뚜렷하게 도출내 내는 것이 쉽지 않은 문화정책의 특성까지 고려한다면 세종대왕과 한글, 우리말을 활용한 세종특별자치시의 문화정책은 관련 조건을 충분히 분석한 뒤에 시행되어야 정책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지금까지 추진된 성공적 정책 모델의 유지와 발전은 당연한 일이다.

한편 지역 외부적으로는 세종대왕이나 한글의 브랜드 가치를 선점하기 위한 경쟁에서 여주시, 청주시, 울산광역시 등 다른 지역과 빚어질 수 있는 정책적 마찰과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도 필요하다. 지역 내부적으로는 정부세종청사 중심의 신도심 지역과 조치원역 중심의 원도심 지역 간 문화적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해서 추진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글문화도시 구현이라는 세종특별자치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세종대왕과 한글, 우리말의 문화적 가치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작위적이지 않은 현실성 있는 문화정책을 발굴하고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