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갈전리의 명칭은 예전부터 이 지역에 칡덩굴이 무성하여 칡밭[갈전(葛田)]이라 부른 데서 유래한다. 조선 명종 때 울진군으로부터 남훈(南訓)이 이주하고 이후 박씨, 안씨, 이씨, 최씨 등이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120여 호 660명, 1962년 147호 539명, 1982년 139호...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갈전리에 형성된 영양남씨 세거지. 영양남씨는 남민을 시조로 하고, 남훈을 입향조로 하는 세거 성씨이다. 갈전리(葛田里)는 칡밭이라 하는데, 예부터 칡덩굴이 무성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명종 때 울진군으로부터 남훈(南訓)이 이주하면서 세거지를 이루게 되었다고 한다. 영양남씨의 시조 남민은 본시 중국당나라 사람 김충(金忠)으로 755...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갈전리의 삼베 관련 민속문화. 조선시대 미수허목(許穆)[1595~1682]은 『척주지』에서 갈전마을을 가장 깊은 산중에 있는 아름다운 마을로 소개하면서 장수하는 사람이 많다고 언급하였다. 또 마포[대마와 삼베]로서 이익을 올린다고 하였으니 갈전리는 예로 삼[대마]을 많이 재배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마을의 토성은 남씨로, 조선명종 때 울진에 살던...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공전리의 명칭은 이 지역에 공허전(空虛田)[묵은밭]이 많았기 때문에 공전(公田)이라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 조선 숙종 때 배씨, 변씨 등이 이주하고 이후 삼척 김씨 등이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본래 토산리에 속하였다가 정조 때 분리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17호 79명, 1962년 26호 159명,...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광동리 일대에 있는 댐. 태백시·삼척시·정선군·영월군 등지에 생활용수, 공업용수, 하천 유지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삼척시 하장면 광동리 일대의 골지천을 막아 건설한 댐이다. 발전 시설은 없다. 1986년 6월 3일에 착공하여 1988년 12월 23일 준공되었다. 한국수자원공사 한강권역본부가 관리하는 광동댐은 상류에 입지한 관계로 생태 보...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광동리의 명칭은 이 지역이 넓고 평지마을이라 하여 넓골이라 부르다가 이를 한자로 광동(廣洞)이라 표기한 데서 유래되었다. 조선 경종 때 전진량(全眞良), 김한서(金漢瑞), 함상진(咸尙振) 등이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50호 207명, 1962년 121호 739명, 1982년 140호...
-
강원도 삼척 하장 지역의 뜻있는 인사들이 펼친 구휼 활동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석. 금옥첨원불망비는 삼척 하장 지역의 유력 인사들이 백성들을 구휼한 공덕을 기리기 위하여 1870년(고종 7) 금옥첨원비를 세웠다. 현재 세워진 비석은 1984년에 다시 세운 것이다. 비문 내용은 그동안의 비석 중건 과정과 현재 비석을 다시 세운 경위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광동리에서 매년 단오에 지내는 제사.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광동리에서 매년 음력 초하루 자시, 5월 단오 사시 즈음에 마을 성황당에서 고사를 지내는데, 이것을 마을에서는 ‘성황당 당고사’라고 한다. 성황고사를 지내는 목적은 농사를 잘 짓고 몸도 건강하게 해달라고 빌기 위함이다. 즉, 마을 전체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함을 알 수 있고, 단오에...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대전리라는 명칭은 이 지역이 인근 마을보다 조금 더 넓은 지역이라 하여 큰밭·한밭 등으로 부른 데서 유래하며, 한자로 표기되면서 대전(大田)이 되었다. 본래 김씨가 처음 개척한 마을이었다. 이후 조선인조 때 송해경(宋海景)과 김효근(金孝謹)이 이주해 온 후 정씨, 이씨, 한씨 등의 성씨가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
-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두타산에서 매년 10월에 개최되는 등산 대회. 두타산등산대회는 관광객들에게 삼척시의 수려한 자연 경관과 관광지를 홍보하고 시민들의 건강 증진 및 화합을 위하여 개최되는 등산 대회이다. 2004년에 제1회 대회가 열린 가운데 2017년에 제14회 대회가 개최되었다. MBC강원영동과 삼척시산악연맹이 주최·주관하고 삼척시가 후원한다...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조선시대 군인들이 경작하던 토지, 즉 둔전(屯田)을 이곳에 설치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선조 때 이씨가 처음 개척한 이후 김씨, 이씨, 송씨, 안씨 등의 성씨가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45호 267명, 1962년 35호 255명, 1982년 41호 241명, 1995년 28호 119명이다....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번천리라는 명칭은 이 지역의 들판이 조금 넓다 하여 벌안[벌내(伐內)], 버당안이라 하다가 이것이 와전되어 번천(飜川, 番川)이라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 조선 순조 때 최장덕(崔長德) 및 각 성씨가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46호 149명, 1962년 40호 246명, 1982년 38호...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갈전리에 있는 숲. 삼척 갈전리 당숲은 수령 400년 이상 된 느릅나무와 졸참나무, 엄나무, 전나무 등 기타 수목이 군락을 이루면서 마을 당숲으로서의 역사성을 띠고 있다. 삼척시 하장면 갈전리에 있는 느릅나무는 수령이 400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된다. 높이 20.5m, 둘레 3.7m에 이른다. 마을의 서낭당과 느...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중봉리에 있는 절터. 일제강점기에 간행된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와 『사탑고적고(寺塔古蹟攷)』에 하장면중봉리 사지가 소개되어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삼척의 서쪽 약 7리[실제는 70리] 중봉리 사곡동(寺谷洞)의 밭 가운데에 있다. 초석이 남아 있고, 와편(瓦片)이 산재해 있다. 흔히 단교암지(短橋庵址)라 칭해진다....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숙암리에 위치한 신라-통일신라기의 고분군. 삼척 숙암리 고분군은 삼척시의 서쪽 백두대간에 위치한 하장면광동댐의 북쪽 산[해발 1041m]에서 남쪽으로 흘러내린 능선의 중간 부분[해발 700m]부터 그 아래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완만한 평탄부에 이르기까지 40여 기의 고분이 밀집 분포하고, 이곳에서 북쪽으로 약 80m 지점에 10여 기의 고...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역둔리 산2-1에 있는 삼척부사 이규헌의 공덕을 기리는 기념비. 부사 이규헌은 1835년(헌종 원년)부터 1839년(헌종 5) 사이에 삼척부사로 재직하였다. 1836년[병신년(丙申年)]과 1837년[정유년(丁酉年)]의 큰 흉년에 유민(流民)을 구활(救活)하였다. 이규헌은 봉록(俸祿)을 덜어내고 부민(富民)들에게서 많은 돈을 마련하여 굶주린 사람들을...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이 지역의 동쪽에 있는 바위 아래[암하(岩下)]에 시장을 설치한 일이 있었기 때문에 시암(市岩)[장바위]이라 하였는데 이것이 와전되어 숙암(宿岩)이 되었다. 조선 숙종 때 변씨, 순조 때 임씨가 이주한 후 정씨·박씨·함씨가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85호 336명, 1962년 40호 246명, 1...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숙암리에 있는 마을 서낭당.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숙암리에는 반별로 소성황이 있고, 숙암리2반에 대성황이 있어 숙암리 전체 마을의 중심 서낭의 역할을 한다. 이에 제관은 각 반별로 선정하여 음력 정월과 음력 7월에 좋은 날을 정하여 자시(子時)에 지낸다. 모신 신령은 3분인데, 중앙에 ‘성황대신위(城隍大神位)’라 묵서한 나무 위패를 모셨는...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숙암리에 있는 고대 산성. 숙암리산성은 동남쪽 배후의 산으로부터 서북쪽으로 내려오면서 다소 봉긋 솟은 돌출부에 입지하였다. 산 정상을 돌로 둘러가며 쌓아 올린 테뫼식 산성이다. 북벽 구간의 성벽은 높이 약 2m 정도의 외축내탁(外築內托)으로 축조하였다. 남쪽 구간도 성벽이 남아 있다. 산성의 앞쪽(서북쪽)은 번천(番川)과 골지천(骨只川)이...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허목(許穆)[1595~1682]의 『척주지』에 따르면 본래 이 지역은 울탄(鬱呑)이라 하여 지금의 판문리와 합친 마을을 울탄내외촌(鬱呑內外村)이라 하였다. 이후 어리목[치목(稚木)] 또는 어리나무골[어리목동(於里木洞)]이라고 부르다가 어리(於里)가 되었다. 조선 숙종 때 함세립(咸世立), 권동(權凍) 이...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허목(許穆)[1595~1682]의 『척주지』에 따르면 본래 이 지역은 역탄(易呑)이라 했고, 이후 조선숙종 때 면창고(面倉庫) 소재지로 둔전리와 같이 군인 경작지인 둔전(屯田)을 두었기 때문에 역둔(易屯)이라 하였다. 조선 성종 때 김혁(金赫), 중종 때 정씨, 숙종 때 김봉래(金鳳來)·이용성(李龍聲)을...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중봉리에 있는 고개. 연칠성령(連七星嶺)은 해발고도 1,204m로 과거에 강원도 삼척의 하장과 무릉계곡[지금은 동해시 소재]을 오가던 곳이다. 고적대(高積臺)[1,357m]와 청옥산[1404m] 사이의 태백산맥 능선 상에 있다. 연칠성령의 별칭인 난출령(難出嶺)과 고고험(鼓高險)은 넘나들기가 험준하여 붙여졌으나, 연칠성령의 유래...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이 지역 서북쪽에 용추(龍湫)라고 하는 하천이 있어서 용소동(龍沼洞), 용숫골로 불리다가 용연(龍淵)이 되었다. 조선 숙종 때 함창필(咸昌弼), 권삼추(權蔘秋) 등이 이주한 후 각 성씨가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58호 377명, 1962년 48호 309명, 1982년 27호 185명, 1995년...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장전리라는 명칭은 이 지역이 산골짜기가 길어 장전(長田)이라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 조선 숙종 때 정선 전씨가 이주하고 이후 안씨, 함씨, 김씨, 남씨 등의 성씨가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60호 320명, 1962년 65호 363명, 1982년 59호 346명, 1995년 58호 23...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중봉리에 있는 계곡. 중봉산[1,284m], 고적대[1,353.9m], 망군대[1,247m], 청옥산[1,403m], 두타산[1,353m] 등의 산에서 내려오는 당곡천과 안소내골의 물길이 소내 마을에서 만나 중봉천을 이루는 곳을 중봉계곡이라고 한다. 중봉계곡의 명칭은 계곡이 위치한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중봉리에 위치한 중봉산에서...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이 지역의 중앙에 망주봉(望柱峯)이 있어서 본래 주봉동(柱峯洞)이라 불렀다가 이것이 와전되어 중봉(中峯)이 되었다. 조선 숙종 때 이재가 경기도 지평에서 이곳 사곡에 이주한 후 남씨, 이씨, 함씨, 안씨가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144호 652명, 1962년 78호 457명, 1982년 68호...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과 강원도 동해시 삼화동 경계에 있는 산. 청옥산(靑玉山)은 해발고도 1404m로 백두대간의 고적대[1357m]와 두타산[1353m] 사이에 있으며, 태백산맥과 백두대간의 주능선이다. 청옥산·두타산·쉰움산으로 연결되는 산맥을 햇대등이라 한다. 횟대처럼 생겼다고 해서 유래한 이름인데, 햇대라 발음한다. 햇대등에서는 청옥(靑玉)이라는...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이 지역에는 본래 가래나무[추목(楸木)]가 많아 가래동, 추라동(楸羅洞)이라 부르다가 추동(楸洞)이 되었다. 조선 인조 때 변씨가 개척하고 이후 김씨, 안씨 등의 성씨가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84호 476명, 1962년 103호 637명, 1982년 65호 382명, 1995년 44호 175명...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소재하며, 태백산 산신에게 제를 지내던 사당. 한때 태백산의 산정에 신당을 짓고 신상을 만들어서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예전에는 산신을 모시는 사람들이 소를 제물로 바치기 위하여 왔다가 매어 두고 뒤도 돌아보지 않고 갔다가 사흘 만에 와서 몰고가는 풍습이 있었다고 전한다. 잠시 소를 두고 갈 때 뒤를 돌아보면 신의 벌을 받는다고 해서 금기를 지켰다...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이 지역은 본래 토산(土山)이라 불리다가 서쪽의 작은 산봉우리 모양이 토끼를 닮았다 하여 옥토망월(玉兎望月), 즉 토산(兎山)이라 부르게 되었다. 조선 숙종 때 심씨와 김씨가 이주하고 이후 영조 때 안씨 등의 성씨가 이주하며 형성되었다. 호구 수는 1916년 57호 273명, 1962년 58호 309명, 1982년...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허목(許穆)[1595~1682]의 『척주지』에 따르면 판문리는 울탄(鬱呑)이라 하여 어리(於里)와 함께 울탄내외촌(鬱呑內外村)으로 불렀다. 이후 울탄[울머금, 울뭄]이 변하여 늘문[於門] 또는 널문[板門]으로 부르다가 널문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판문(板門)이 되었다. 조선 숙종 때 이씨가 이주하고 이후 정...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지역의 고도가 높은 산지에서 이루어지는 농업. 고랭지농업은 여름철에도 대체로 선선하고 강우량이 많으며, 일조 시간이 짧고 해발 고도가 높은 산간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농업 유형이다. 고랭지농업은 여름철의 시원한 기후 조건을 이용하여 해발 400~1000m 정도의 높은 지대에서 채소, 감자, 화훼류 등을 재배하거나 가축을 사육하는 농업을 말한다. 기후는...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백두대간로 2600번지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훈은 ‘입지(立志)’이며, 교육 목표는 ‘전문성과 창의성을 겸비한 SMART 교육-Steam[융합], Mutiple[다양성], Active[능동적], Research[연구], inTeract[소통]’이다. 1985년 3월 22일 하장고등학교 3개 학급 설립 인가를 받아 하장중고등학교 병설로 개교하였으며...
-
강원도 삼척시에 속하는 면. 하장면은 중봉리, 번천리, 광동리, 장전리, 추동리, 갈전리, 장전리, 토산리, 공전리, 둔전리, 역둔리, 대전리, 용연리, 한소리, 판문리, 어리 등 16개 법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척주지』에 “장생은 영서로 깊은 산속에 위치하며, 해변에서 100리 떨어진 곳에 있다. 겨울에는 매우 춥고 서리가 일찍 내려 백곡이 성숙...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하장길 118에 위치하며 하장면 주민들의 생활 업무를 처리하는 행정기관. 강원도 삼척시를 구성하고 있는 2개 읍, 6개 면, 4개 동 가운데 하나인 하장면은 해발 650m~810m의 산간지대에 위치한 면 단위 행정조직이다.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하장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백두대간로 2600번지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입지(立志)’이며, 교육 목표는 ‘전문성과 창의성을 겸비한 SMART 교육-Steam[융합], Mutiple[다양성], Active[능동성], Research[연구], inTeract[소통]’이다. 1969년 10월 14일 하장중학교 3개 학급 설립 인가를 받고 개교하였다. 1985년 3월 2일...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광동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사랑을, 슬기를, 그리고 아름다운 꿈을’이며, 교육 목표는 ‘배려하고 나눌 줄 아는 행복한 어린이, 자기 주도적 학습력과 체력을 갖춘 어린이, 소통과 화합으로 함께 어울리는 어린이’이다. 1936년 6월 30일 하장 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938년 6월 30일 하장 공립심상소학교[4년제]로 설립 인가를 받...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 있는 법정리. 이 지역은 정선군과의 경계에 용소(龍沼)가 있어 한소[대소(大沼)]라 일러 왔다. 허목(許穆)[1595~1682]의 『척주지』에는 한이수(汗伊藪)라 기록하기도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한소리(汗沼里)가 되었다. 일설에는 한수리(寒水里)라고도 한다. 조선 태종 때 김취원(金就元)이 이주하고 이후 송씨,...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에서 전해져 오는 할미소와 관련된 두 가지 이야기. 할미소에 대한 지명 유래와 함께 부부의 도리와 남에게 해를 끼치면 화를 당한다는 교훈을 담은 이야기이다. 2003년 2월 17일 삼척시 하장면 일대를 답사하여 채록하였다. 제보자는 삼척시 하장면 장전리 38번지에 거주하는 전광학[77세, 남]이다. 하장면에는 할미소와 관련된 두...
-
개항기 삼척 출신 효자. 함재호(咸在鎬)[1879~?]의 본관은 강릉(江陵)이며, 함병보(咸炳甫)의 장남이다. 함재호는 1879년(고종 16) 11월 22일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광동리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강릉(江陵)이며, 자는 사길(士吉)이다. 가난한 살림에도 정성을 다하여 부모를 봉양하였다. 부모가 병이 나자 대변을 맛보아 병세를 살피면서 하늘에 쾌유를...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장전리에 있는 산. 해당봉은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장전리 숲안 마을에서 숲뒤산[1060m], 장병산(將兵山)[1108m], 새덕산[1056m]으로 이어지는 능선 상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장전리에는 인가목이 많이 자생하고 있는데, 마을 사람들이 인가목을 바닷가 모래땅에서 서식하는 해당화로 알고 해당봉(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