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몸에 내린 신을 맞아 무당이 되고자 벌이는 무속 의례. 내림굿은 무병(巫病)을 앓거나 몸에 신기(神氣)가 있는 사람에게 신을 내리게 하고 신을 받는 굿으로 ‘신굿’, ‘신명굿’, ‘명두굿’, ‘강신제’라고 부르기도 한다. 내림굿이 끝나면 강신자는 더는 본래의 이름으로 불리지 않고 다른 무당에 의해 별호(別號)를 얻게 된다. 굿을 해 준 무당과 새로 무당이 된 사...
-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전승되어 오는 통속민요. 「노랫가락」은 원래 서울과 경기 지역 굿에서 격이 높은 신령이나 혼령을 불러 모시는 청배의 기능을 하는 노래로, 「무녀유가(巫女遊歌)」·「무당노래」 등으로도 불린다. 삼현육각(三絃六角)과 장구의 반주로 노래하여 매우 흥겨운 분위기를 내는데, 무당들이 부르던 「노랫가락」은 점차 대중에게 널리 퍼지면서, 현재 서울·경기 지역에서 불리는 대표...
-
경기도 남양주시 퇴계원읍 퇴계원리에 있는 굿당. 도령사는 남양주를 중심으로 서울·경기 지역에서 활동하는 무당 이영희의 굿당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퇴계원읍 퇴계원리 뱅이마을에 있다....
-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무당을 중심으로 전승되는 신앙 행위. 무속은 민간의 여러 신앙적 사고가 무당을 중심으로 체계화된 종교 현상이다. 무당은 무속의 체계 속에서 초자연적인 존재와의 교류를 통해 길흉화복을 예언하거나 질병을 치료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경기도 남양주시를 비롯한 한반도 중부과 북부 지역의 무당은 강신 체험을 통해 무당이 된 강신무가 많고, 남부 지역은 혈통을 따라 무당의...
-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전승되어 오는 서사무가. 「바리공주」는 전국적으로 전승되는 서사무가로, 바리데기·오구풀이·칠공주·무조전설(巫祖傳說)이라고도 한다. 내용은 전승 지역이나 전승자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공통적인 서사 단락도 존재한다. 현재까지 약 90여 편이 채록되어 있다. 경기도 남양주시에서는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고 저승으로 인도하려고 베푸는 사령(死靈)굿 과정에서 「바리공...
-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가정의 액을 막고 재수와 재복을 기원하고자 벌이는 굿. 재수굿은 집안에 재수가 형통하기를 빌며 벌이는 무속으로, 경기도 남양주시에서는 일반적으로 봄가을, 또는 정초에 행하며, 집안에 우환이 생기거나 불행한 일이 자꾸 일어날 경우에도 특별히 행한다. 현재는 정기적인 재수굿보다는 집안에 우환이 생겼을 경우 행하는 재수굿이 일반적이다. 재수굿 하는 날짜는 주로 강신무...
-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죽은 사람의 넋을 위로하고 저승으로 인도하는 무속 의례. 진오기굿은 죽은 사람의 넋을 저승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행하는 무속 의례로, 씻김굿·오구굿 등과 기능이 같으며, 지노귀굿, 망자천도굿, 진혼귀굿, 지로귀굿 등으로 불린다. 주로 경기도 남양주시를 비롯한 한강 이북의 서울·경기 지역과 황해도 등지에서 행해지는데, 같은 진오기굿이라 해도 서울·경기 지역과 황해도...
-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햇곡식으로 신에게 고마움을 표현하는 무속 의례.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전승되어 오는 햇곡맞이굿은 가을철에 거두어들인 풍성한 햇곡식과 햇과일을 차려 놓고 천신(天神)을 강림하게 하여 보살핌에 감사하는 무속적 의례이자 철맞이굿이다. 지역에 따라서 천신맞이굿, 단풍맞이굿, 추석천신굿 등으로 불린다. 햇곡맞이굿은 철맞이굿으로서 꽃이 피는 봄철에 이루어지는 꽃맞이굿와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