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남양주시 수락산에 은거하였던 조선 전기의 문인이자 승려. 김시습(金時習)[1435~1493]의 본관은 강릉(江陵)이며, 자는 열경(悅卿), 호는 청한자(淸寒子)·동봉(東峰)·벽산청은(碧山淸隱)·췌세옹(贅世翁)·매월당(梅月堂), 법호는 설잠(雪岑), 시호는 청간(淸簡)이다. 시습(時習)은 속명이다....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봉선사에 있는 조선 전기 목조불좌상. 남양주 봉선사 목조불좌상(南楊州 奉先寺 木造佛座橡)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봉선사 경내에 있는 목조불좌상이다. 왼쪽 어깨에 걸친 가사(袈裟)가 오른쪽 허리로 내려오는 우견편단(右肩偏袒) 모습은 조선 전기 불상의 특징이기에 조선 전기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과거 봉선사 방적당(放跡堂)에 모셔져 있었다...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봉영사에 있는 개항기 탱화. 「남양주 봉영사 산신도(南楊州 奉永寺 山神圖)」는 1903년 제작되었는데, 조선 후기의 화승(畵僧) 예예상규(禮藝尙奎)가 출초(出草)에 참여하였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에 있는 원흥사에서 보관하다가 봉영사로 옮겨졌다. 「봉영사 산신탱」이라고도 한다. 2011년 5월 2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8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봉영사에 있는 조선 후기 탱화. 「남양주 봉영사 아미타불도(南楊州 奉永寺 阿彌陀佛圖)」는 1853년 화원(畵員) 환익(幻翼)이 책임자인 수화승(首畵僧)을 맡고, 묘언(妙彦)이 편수(邊手)를 맡았으며, 응석(應釋) 등이 일반 화원으로 참여하여 제작하였다.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봉영사에 봉안되어 있다. 화기(畵記)에는 석가모니불을 묘사한 영산회상...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봉영사에 있는 조선 후기 탱화. 「남양주 봉영사 지장시왕도(南楊州 奉永寺 地藏十王圖)」는 1828년 만들어졌는데, 화승(畵僧)인 신선(愼善)이 책임자인 수화승(首畵僧)으로 참여하였다. 북한산의 중흥사에 봉안 중이었는데, 정확한 이전 시기는 알 수 없으나 현재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봉영사에 소장되어 있다. 「봉영사 지장탱」, 「지장보살화」라고도...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불암사에 있는 개항기 탱화. 「남양주 불암사 괘불도(南楊 州佛巖寺 掛佛圖)」는 1895년(고종 32) 수화승(首畵僧) 영환(永煥)과 화승(畵僧)인 응석(應釋), 창엽(瑲曄) 등이 참여하여 제작되었다. 당시 왕인 고종과 왕세자 등 주요 왕실 구성원의 왕생을 빌고 나라와 백성이 평안하며, 불법이 널리 퍼지기를 기원하는 내용 등이 적혀 있다. 2017년 6월 14...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에 있는 불암사에 있는 개항기 탱화. 「남양주 불암사 석가삼존십육나한도(南陽州佛巖寺釋迦三尊十六羅漢圖)」는 1897년(광무 1)에 제작되었는데, 응석(應釋)·환감(幻鑑)이 출초(出草)하고, 긍법(肯法)·윤익(潤益)·재오(在悟)·운조(雲祚)·봉안(奉安)이 편수(邊首)에 참여하였다.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불암사에 소장되어 있다. 2018년 9월 10일 경기도 유형...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리 내원암에 있는 개항기 탱화. 「남양주내원암괘불도(南楊州內院庵掛佛圖)」는 1885년(고종 22)에 제작되었는데, 화승(畵僧) 정탁(定濯), 진철(震徹), 석운(石雲), 두열 등이 작업에 참여하였다.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리 내원암에 봉안되어 있다. 2004년 11월 29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97호로 지정되었으나, 2021년 11월 19일 「문화...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리 내원암에 있는 조선 전기 불상. 내원암 석불입상(內院庵石佛立像)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리 내원암 경내에 있는 석불입상이다. 원래 내원암 대웅전 바로 아래쪽에 있었으나, 내원암의 동북쪽 방향으로 400m 올라간 곳에 축대와 단을 조성하여 이동하였다. 불상의 양식과 함께 불상 아래쪽 건물 터에서 조선 전기의 기와와 토기, 백자편 등이 발견되어 조선...
-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사찰에 존재하는 다양한 불교 유물. 경기도 남양주시에는 신라 혹은 고려 시대에 개창되었다고 전하는 여러 사찰들이 있다. 하지만 남양주시 별내면에 있는 흥국사 정도를 제외하고, 다른 사찰들의 경우 창건 시점을 언급하고 있는 이야기들의 실체를 입증할 만한 자료가 부족하다. 그러나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 남겨진 사찰의 연혁은 좀 더 구체적으로 확인되는 경우가 많다....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불암사에 있는 조선 후기 경판. 불암사경판(佛岩寺經板)은 불교와 관련된 문헌 목판으로 대부분 조선 1635년(인조 13)에서 1795년(정조 19) 사이에 간행되었다. 총 34종 587판의 목판이 불암사에 소장되었다. 『금강경』과 『부모은중경』 등의 대승경전과 「천지팔양신주경」, 「지장보살원경」, 「조왕경」 등의 위경류(僞經類), 『진언요초』 등의 진언다라니...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에 있는 불암사의 역사를 기록한 조선 후기 비석. 불암사사적비는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불암사에 있다. ‘천보산불암사사적비(天寶山佛巖寺事蹟碑)’라고도 부른다. 불암사사적비에 ‘숭녕기원후재신해년(崇寧紀元後再辛亥年)’이라고 새겨져 있어, 숭정 이후 두 번째 되는 신해년인 1731년(영조 7)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불암사사적비는 불암사의 경내이자 근래에 건립된...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봉인사에 있는 취우대사의 생애와 부도 건립 내용을 새긴 조선 후기 비석. 풍암취우대사비(楓巖取愚大師碑)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봉인사에 있다. 취우대사(取愚大師)[1695~1766]가 열반에 든 이후인 1767년(영조 43) 세워졌다. 비문은 이유간(李惟簡)이 글을 짓고 윤행순(尹行醇)이 글씨를 썼으며, 당대 명필인 조윤형(曺允亨)[1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