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주(晋州). 강민첨(姜民瞻)의 23세손이다. 부인은 경주정씨(慶州鄭氏) 노송정(老松亭) 정지년(鄭知年)의 후예이다. 강주택은 뛰어난 효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타고난 천성이 효심이 깊어서 부모에게 항상 맛있는 음식을 마련하여 드리고 그 뜻을 어긴 적이 없었다. 초상과 장사 및 제사에 관한 예절을 한결같이 가례(家禮)에 따라...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효자. 본관은 경주. 신라 경순왕 때 수은공의 후손이다. 김남중은 효성이 지극하여 병든 부모를 위하여 오줌과 변을 맛보면서 구환하였다. 부모의 병이 위독하자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 그 피를 마시게 하여 부모의 생명을 연장시켰다. 상을 당하여 부모의 장사를 치를 때에는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밤낮으로 효성을 다하였으며, 이에 감동한 귀신이 불을...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효자. 본관은 김해(金海). 김일손(金馹孫)의 후예로, 아버지는 김창봉(金昌鳳), 어머니는 효열부(孝烈婦)로 이름난 밀양박씨이다. 효자|김창봉|효열부|밀양박씨|효자비|밀양박씨효열비|이긍복|박병준|김한곤 일찍부터 효열부로 이름난 홀어머니를 정성을 다하여 모셨는데, 그 뜻을 한 번도 어기는 일이 없었다. 항상 어머니의 잠자리를 보살피고 맛있는 음식을 드...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동한 효자. 본관은 밀양(密陽). 찬성(贊成) 박건(朴楗)의 아들이다. 1729년(영조 5)에 경상도 밀양부 동강방에서 출생하였으며, 뒤에 부모를 따라 남원부 보현방 벌촌마을로 이거(移居)하였다 9살 때 부친이 병에 걸려 여러 달 동안 병석에 누워 있자 그는 밤낮으로 옆에서 간병하면서 자신을 대신 죽게 해달라고 간절히 하늘에 기도하였다. 부친의 병세가...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이천(利川). 호는 강석(江石). 서택인(徐擇仁)의 아들이다. 서택인부터 그의 손자 서봉주(徐鳳周)에 이르기까지 3세(三世) 5효열(五孝烈)을 배출한 집안으로 유명하다. 서영측은 형 서영팔(徐永八)과 함께 효성이 지극하여 홀어머니를 지극 정성으로 모셨다. 뒤에 어머니의 상을 당하자 두 형제가 함께 시묘살이를 하였다....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효자. 구계공(龜溪公) 서침(徐沉)의 18세손으로, 아버지는 서한보(徐漢輔)이다. 서유경은 어버이를 섬길 때 정성을 다하여 봉양을 하였다. 그의 아들 서한보(徐漢輔) 역시 부모에 대한 효행이 극진하여 어머니 상을 당해 3년간 시묘살이를 하였다. 이들 부자의 효행은 흔히 왕상이 겨울철에 얼음을 깨고 잉어를 얻어 부모를 봉양한 일화...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주(晋州). 호는 낙재(樂齋). 아버지는 소규영(蘇奎永)이다. 출생한 지 8개월 만에 아버지를 잃었으나, 어려서부터 홀어미에게 지극 정성으로 효도를 하였다. 그는 아버지를 일찍 잃은 것을 항상 슬퍼하였으나 노모를 편히 봉양하는 일을 잠시라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또한 품행이 단정하고 학문에 힘써 식견이 고매하여 사람들로부터 많은 칭송...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효자. 양계상은 일찍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8살 때 아버지의 병환이 위독하자 어린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손가락의 피를 내어 아버지에게 주었고, 이어 허벅지의 살도 베어 주었다고 한다. 뒤에 어머니가 중병을 앓았을 때 어머니의 소원인 잉어를 구하기 위해 엄동설한에 냇가에 나가자, 때 아닌 잉어 한 마리가 얼음 위에 나와 있어 이를 구하여 어머니...
-
고려 후기 조선 초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충신이자 효자. 고려 공민왕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있으면서 대방군(帶方君)에 봉(封)해졌다. 조선이 건국된 후 태조 이성계가 세 번이나 불렀으나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 평소 효행이 지극하였던 양천룡은 부친이 세상을 하직하자 묘 옆에 여막(廬幕)을 짓고 애통해하며 지극한 효심으로 시묘(侍墓)하였다. 연이어 모친의 상을 당하...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효자. 본관은 남원. 초명은 양정(梁涏), 자(字)는 여관(汝寬). 부인은 전주최씨이다. 형제로 양집(梁濈)이 있다. 양필은 양집과 함께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한 형제였다. 두 사람은 아침에는 부모께 문안을 드리고 밤이면 편히 주무시도록 자리를 보아드렸다. 중병(重病)으로 어머니가 위태롭게 되자 대소변의 맛을 보아 병의 차도를 감지하였다....
-
고려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효자. 본관은 서산(瑞山).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제39권 전라도 남원도호부(南原都護府) 조의 기록에 보면, “어머니 현씨(玄氏)가 병에 걸리자 유익경은 어머니의 똥을 맛보고 사생(死生) 여부를 가늠했다. 이 일을 왕에게 보고하니 동부녹사(東部錄事)에 제수하였다”라고 되어 있다. 그의 효행을 기리는 정려비가 주천면 용궁리...
-
조선 말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효자. 본관은 문화(文化). 사육신의 한 사람인 충경공 유성원(柳誠源)의 5세손인 석헌 유옥(柳沃)의 13세손으로, 아버지는 유봉기이다. 효자로 이름이 높아 죽은 뒤에 정려비가 세워졌다. 정려비는 남원시 이백면 내동리 외동마을로 들어가는 도로 우측에 있다. 비에 ‘효자문화유형현지비(孝子文化柳亨鉉之碑)’라고 되어 있으며, “신미(辛未, 1931) 상사...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효자. 본관은 전주. 할아버지는 존양당(存養堂) 이유시(李惟時)이며 이가철[1757~1815]은 이유시(李惟時)의 차남이다. 동생은 이시권(李時權)이다. 효행이 탁이(卓異)하여 이행권은 이가철·이시권과 함께 ‘삼효(三孝)’로 불리며 일문삼려(一門三閭)의 정려(旌閭)를 받았다. 양현재(養賢齋)는 전주이씨 영해군파(寧海君派) 종중(宗中) 재실(齋室)로서...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동한 효자. 본관은 나주(羅州). 승지(承旨) 귀래정(歸來亭) 임붕(林鵬)의 후손이며, 형은 임동진이다. 임도진(林道鎭)은 부모를 섬기는 데 효성이 지극하고 일가친척 사이에 화목하였다. 아버지와 어머니가 돌아가자 전후(前後) 6년 동안 여막(廬幕)하니 그 효행이 널리 알려졌다. 임도진의 효행을 가상히 여겨 1893년(고종 30)...
-
조선시대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효자. 본관은 서산(瑞山). 시조는 송나라에서 원외랑(員外郎)을 지낸 정신보(鄭臣保)로, 송나라가 망하자 바다를 건너 고려로 망명하여 충청남도 서산시에 정착했으며, 현재 서산시 송곡서원에 제향되어 있다. 『운성지(雲城志)』 「인물지(人物志)」 효자(孝子) 편에 ‘정규룡(鄭圭竜)은 효성이 지극하여 할아버지 할머니의 초상을 당했을 때 슬픈 마음...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양(晋陽), 형억동(邢億東)의 아들이다. 형국윤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남다르고 학문에 뛰어나 주위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18세에 이르러 청주한씨(淸州韓氏) 청원군(淸原君)의 후손인 지평(持平) 한상기(韓尙箕)의 증손녀를 아내로 맞았다. 부부가 함께 지성으로 부모를 봉양했는데, 아버지가 40세에 이르러 눈이 멀어 출입조차 어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