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401539 |
---|---|
한자 | 晉州嶺南布政司門樓 |
영어음역 | JInju Yeongnampojeongsamullu |
영어의미역 | Jeongsamun Gatehouse of Yeongnampo |
이칭/별칭 | 대변루(待變樓),망미루(望美樓)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73-11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오승연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3년 07월 20일 - 진주 영남포정사문루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0년 06월 11일 - 진주 영남포정사문루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7호 지정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
성격 | 관영건축|관아건축 |
양식 | 익공양식 |
건립시기/연도 | 1610년 |
관련인물 | 남이흥(南以興) |
정면칸수 | 3칸 |
측면칸수 | 2칸 |
층수 | 2층 |
소재지 주소 |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73-11 |
소유자 | 경상남도 진주시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
[정의]
조선시대 때 경상남도관찰사가 업무를 처리하였던 관아 영남포정사의 정문.
[명칭유래]
조선 광해군 10년(1618) 병사를 지내던 남이흥이 내성의 동쪽문을 고쳐 세우고 옆에 대변루(待變樓)를 새로 지었는데, 이것이 망미루의 본래 건물이다. 후에 1895년(고종 32)에 전국 8도제가 폐지되고 23부제로 시행됨에 따라 진주부가 설치되면서 진주관찰부의 선화당 관문이 되었다. 1896년에 전국을 13도로 개편하자 망미루가 경상남도관찰사의 정문이 되어 영남포정사라고 이름을 붙였다.
[건립경위]
왜적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조선 광해군 10년(1610)에 당시 병사 남이흥(南以興)이 성의 동문을 중수하여 대변루(待變樓)를 신축하였는데 이것이 영남 포정사의 전신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각지붕 목조와가 이층 누각건물로서 한말에 세운 것이다.
[위치]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에 위치한 현 진주공원(진주성) 내에 위치하고 있다.
[변천]
1618년(광해군 10)에 병사(兵使) 남이흥이 경상도 병마절도사의 집무청인 관덕당(觀德堂) 내동문으로 세운 뒤 경상도 우병영의 관문으로 활용되었다.
1895년(고종 32)에 전국 8도제가 폐지되고 23부제로 시행됨에 따라 진주부가 설치되면서 진주관찰부의 선화당 관문이 된 후, 1896년에 경상남도관찰사의 정문으로 사용되다가 경상남도 도청을 부산으로 옮기기 전까지 도청의 정문으로 사용되었다.
[형태]
건물의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2층 누각 건물로 겹처마에 팔작지붕이다. 방형의 초석 위에 원기둥으로 하층을 구성하고 그 위에 마루를 깔고 다시 상층을 구성하였으며 주변으로 계자난간을 둘렀다. 출입은 하층에 계단을 통해 하층에서 진입하지 않고 사다리를 이용해 측면에서 진입할 수 있도록 상층 측면의 난간 일부를 제거하였다.
[금석문]
‘망미루(望美樓)’라는 영남포정사 문루의 현판은 수원유수(水原留守)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를 지낸 서영보(徐榮輔)가 썼다.
[현황]
현재 영남포정사 문루 앞에는 수령이하개하마비(守令以下皆下馬碑)가 있다. 2020년 6월 11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조선시대 때 경상남도관찰사가 업무를 처리하던 영남포정사의 정문으로 조선시대 관아건축의 양상을 잘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