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성산리에 있는 바위. 성산리 뱃설마을에 있는 바위이다. 바위 위쪽 가운데가 오목하게 파여져 있는데, 옛날에 배를 묶어 두는 바위라는 말이 있다. 이 바위가 있는 마을이 뱃설인데, 뱃설이란 지형이 배처럼 생겼다고 불러진 이름이다. 그리고 건너편 신분리는 뱃머리 중간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배의 돛과 같이 보이는 바위가 있었다. 성산리 덕계마을 앞에 있는 들판에...
-
경상남도 진주시 하대동 서북쪽에 있는 산등성이. ‘긴 산등성이’란 뜻으로 장등(長-)이라고도 한다. 선학산에서 하대동 뒷골 능선과 갈라져 동쪽으로 하대동 산지골과 지금의 대영아파트 앞까지 뻗어 있다. 마치 용이 꿈틀거리는 형상같이 수려한 능선이다. 하대동 서북쪽에 위치하며, 100여 년 전에 하대동에 거주하던 윤씨네 선조들이 산세가 좋고 마을과 가까운 것을 이유로 묘지의 적지라 하...
-
경상남도 진주시 망경동 망경산에 있는 골짜기. 계곡이 암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암반 위를 맑은 물이 항상 흘러내리고 있다 하여 내리수라 이름 붙여졌다고 한다. 맑은 물이 많이 흘러내려 빨래터와 여름철 목욕터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 겨울철에는 많은 고드름과 얼음이 아주 두껍게 얼어 옛날 진주 시내의 돈 많은 부자들이 이 곳의 얼음을 저장하여 여름에 많이 사용하였다고 한다. 망경...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성산리와 경상남도 고성군 영오면 오서리에 걸쳐 있는 산. 원래는 진주시 금곡면에 속했다가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고성군 영오면 오서리에 속하게 되었다. 일명 당무산(唐舞山)이라고도 한다. 굴뚝날뿔산 맞은편 들 가운데 있으며, 강이 산을 에워싸고 있다. 예로부터 전해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영천강 가에서 어떤 부인이 빨래를 하고 있는데 큰 산이 떠내...
-
경상남도 진주시 수곡면 사곡리(士谷里)에 있는 마을 이름. 두 개의 동네가 살기 좋다 하여 이덕실이라고 하다가 덕곡으로 부르게 되었다. 또 이덕실의 이자가 살쾡이 이(貍)자, 덕은 닭[鷄]이라는 설이 있는데 이것은 살쾡이와 닭을 형상한 마을 이름이라는 뜻이다. 살쾡이와 닭은 천적간이기에 덕실마을이 커지면 옆의 싹실마을(사곡)은 줄어들고 반대로 덕실마을이 작아지면 싹실마을이 커진다는...
-
경상남도 진주시 상대동에 있는 마을 이름. 『진주지명사』에 돼지가 사는 마을이라고 불렀다고 한 것으로 보아, 옛날에 돼지를 기르던 마을이어서 돗골이란 명칭이 붙은 것으로 여겨진다. 경상남도 진주시 상대동 모덕촌에서 북쪽 골짜기로 들어가면 외편 골은 큰돗골[大猪洞], 오른쪽 골은 작은돗골(小猪洞)이라고 불러 왔다. 지금은 인가가 많이 들어서 그 경계가 사라졌다. 모덕촌에서 큰돗골,...
-
경상남도 진주시 상대동 뒤쪽에서 경상남도 진주시 옥봉동까지 남강 변에 걸쳐 있는 벼랑. 뒤벼리의 벼리는 벼랑 즉 낭떠러지를 말한다. 뒤에 있는 벼랑이라는 뜻이다. 남강변의 또 다른 벼랑으로 새벼리와 대조적인 이름의 지명이다. 새벼리는 동쪽에 있는 벼랑이라는 뜻이다. 남강변을 따라 깎아지른 듯한 절벽을 두고 도로가 나 있다. 진주성의 동쪽 기슭을 흘러가던 남강물이 갑자기 오른쪽으로...
-
경상남도 진주시 하대동 선학산 동쪽 아래에 있는 골짜기. 선학산 뒤쪽 골짜기란 뜻이다. 선학산의 동쪽으로 뻗은 산능선이 긴등이며, 긴등에서 다시 맥이 나누어져 뒷골 능선과 갈라진다. 뒷골 능선은 지금 일신아파트 앞까지 뻗어 있고 긴등은 대영아파트 앞까지 뻗어 있다. 옛날에는 독립 가옥 2, 3채가 있었다 하며, 물이 많은 골짜기로 밭보다는 논이 많은 곳이다. 지금은 이 골 바깥쪽에...
-
경상남도 진주시 수곡면 창촌리에 있는 바위 더미. 창촌리에 있는 산 위의 바위 더미 이름으로, 옛날 어느 땐가 홍수가 나서 이 산의 높이 솟은 바위 더미까지 물이 차왔을 때 지어진 이름으로 추정된다. 민드레덤은 ‘민+드레+덤’으로 추정된다. 여기서 ‘민’은 물을 나타내던 ‘미’의 변형이고, ‘드레’는 ‘들어오다’는 의미, ‘덤’은 ‘더미’의 의미로 파악된다. 결국 ‘민드레덤’은 ‘...
-
경상남도 진주시 수곡면 자매리에 있는 바위. 베틀바위 틈에 돌을 굴러 넣으면 덜거덕거리는 소리가 베 짜는 소리같이 들리는데, 옛날 선녀들이 내려와 베를 짰다는 전설이 있으며, 여기서 ‘베틀바위’라는 이름이 생겼다. 사방 2미터가량의 반석으로 이 곳에서 보는 경치가 절경이다. 자매리 자매마을의 뒤편 신선대(神仙臺) 옆에 있다....
-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장사리에 있는 마을 이름. 월아산 무제봉(일명 국사봉) 통사바위에서 내려다보면 그 형국이 흡사 가래삽 모양으로 생겼다 해서 삽골 혹은 삿골로 불리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본래 진주군 대여촌면의 지역이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가방동, 사동의 각 일부와 금산면 중촌동 일부를 병합하여 금산면 장사리에 편입되었다. 월아산 무제봉(국사봉)에서 서북쪽...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정자리에 있는 마을. 감나무가 많이 있었으므로 불리어졌다는 말도 있고 감남이라는 사람이 살았는데 감남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감나뭇골 또는 시목들이라고도 한다. 한편 뱃설이라고도 하여 돈이 많거나 사람이 많이 모여 살면 위험하다는 말도 있다. 시평에 전하는 전설로는 어느 한 사람이 대밭에 걸린 큰 잉어 한 마리를 살려 준 사실이 있다 한다. 살아...
-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장사리에 있는 마을 이름. 임진왜란 때 이곳이 산 아래쪽이라 안심하고 난을 피할 수 있었다 하여 안심뱅이라 하였고, 이것이 한자어로 고쳐진 안심방(安心坊)이 되었다 한다. 한번 들어오면 그 안에서 안심하고 눌러앉아 살았다 하여 ‘앉음뱅이’라고도 하며, 사람의 마음과 관련되는 땅이름이다. 장사리 월아산 서북쪽 산 아래에 있는데, 진주시 금산면에서 가장 오지였다...
-
경상남도 진주시 상대동에 있는 마을. 이 마을의 하천이 정리되기 전에는 남강물이 범람하면 용소촌 앞에 있는 샛강이 군데군데 깊이 파여져 강이 호수처럼 보이곤 하였다. 그래서 그 강물 속에 용이 살았다고 하여 용심못골이라 하기도 하고, 이 마을의 모양이 용의 모습과 같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이다. 상대동 난민 부락과 호정촌 사이에 있다. 이름이 유래한 남강은 정리가 되어 그런 흔적이...
-
경상남도 진주시 수곡면 원계리 앞 들판을 일컫는 지명. 임진왜란 때 이순신(李舜臣) 장군이 백의종군하면서 진을 치고 부하 7명 등 군사들을 훈련시키던 곳이라고 하며, 이 곳에서 3도 수군통제사를 다시 제수받았다고 한다. ‘진’이란 군사들의 대오(隊伍)를 배치한 것이나 그 대오가 있는 곳을 말한다. ‘뱀이’란 ‘논뱀이’의 준말로 ‘논두렁으로 둘러싸인 논의 하나하나의 구역’을 일컫는다...
-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장사리에 있었던 연못. 연못의 생김새가 가마솥과 비슷하다 하여 가매못[釜池]라고 하다가 덕정(德亭)에서 분동되어 현지라 하였다. 현지(玄池)를 순우리말로 나타내면 ‘검은 못’인데 이 곳 면 지명인 ‘금산’의 ‘금-’과 ‘검은 못’의 ‘검-’이 발음상 유사한 것으로 보아 현지가 행정면 이름인 금산의 유래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못은 오랫동안 갈수기 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