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죽나물의 잎과 줄기에 무채, 고춧가루, 홍고추, 풋고추, 찹쌀풀, 감초물 등을 넣고 버무린 김치. 가죽은 참죽이라고도 하며, 약간 붉은 빛을 띠는 어린 순을 먹는다. 연한 가죽 잎과 줄기를 깨끗이 씻어 소금으로 간을 한 뒤 6㎝ 길이로 썬다. 무는 단단하고 매끄러운 것으로 골라 채 썰고, 홍고추와 풋고추도 채 썬다. 찹쌀가루로 묽게 풀을 쑤고 생강은 곱게 다지며 감초를 우려 국물...
-
고로쇠 나무에서 빼낸 물. 고로쇠나무는 고로실나무·오각풍·수색수·색목이라고도 하며, 산지 숲 속에서 자란다. 높이 약 20m로, 나무껍질은 회색이고 여러 갈래로 갈라지며 잔가지에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둥글며, 대부분 손바닥처럼 5갈래로 갈라진다. 잎 끝이 뾰족하고 톱니는 없다. 긴 잎자루가가 있으며 뒷면 맥 위에 가는 털이 난다. 고로쇠라는 이름은 뼈에 이롭다는 뜻의 한자어...
-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활동한 서예가. 자는 신원(信元), 호는 석천.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평지리 내당에서 아버지 김진영(金璡永)과 어머니 경주 최씨 사이에 차남으로 출생하였다. 6세 때 유학자인 중재(重齋) 김황(金榥)[1896~1978]으로부터 한자를, 성파(星坡) 하동주(河東州)로부터 서예를 사사받아 신동으로 불릴 만큼 글씨를 잘 썼다. 진주미협 부지부장, 서예분과위원장 및...
-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단목리의 옛 지명. 동리 안에 붉은 연못이 있어 단지동(丹池洞)이라고 하였다. 단동(丹洞)이라는 이름은 ‘의를 숭상하는 마을’이라 하여 붙었다고 한다. 단목(丹牧)이라고도 하는데, 과거에 합격한 선조가 깃발을 앞세우고 마걸둥천 연못가에 내려보니, 저녁 노을 햇빛이 연못물 위에 붉게 비치고, 말이 거기서 물을 마시니, 여기서 붉을 단(丹)과 먹일 목(牧)을 써...
-
경상남도 진주시 집현면 대암리에 속했던 옛 지명. 나무 다리를 건너서 가야 했다 하여 다리골이라 불렀고, 이것이 달리골이 되었고 한다. 조선 전기에 달리동은 진주목 북면 정곡리(井谷里)에 속했다. 1897년 행정 구역을 개편하면서 진주군 집현동면 달리촌(達理村)이라 하였다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의해 달리동은 지내리와 대암리로 나누어 편입되었다. 현재의 진주시 집현면 지내...
-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전기에 진주목 동면 오곡리(吳谷里) 덕곡동(德谷洞)이다. 임진왜란 후에는 대곡리에 합병되어 조선 후기까지 대곡면 하촌동과 덕곡동의 일부였다. 1914년 지방 행정 구역 개편으로 하촌동, 덕곡, 대여촌면 송곡동 일부를 합하여 덕곡리라 하고 대곡면의 10개 리 중 하나로 편제하였다. 남쪽으로 남강을 접하고 있다. 북쪽은 가정리, 동쪽은 마...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의 법정리. 일명 ‘동네’라고도 한다. 마을이 동쪽을 향해 있다 하여 동네 또는 동례라 하였다는 말과 예부터 예의가 바른 동네라 하여 지나는 사람마다 동방예의지국의 본이라고 하여, 동자와 예자를 따서 동례로 하였다는 말이 있다. 1914년 진주군 성을산면 동례동, 신대동(申大洞), 두문동(斗文洞), 금동어면 검암동의 각 일부를 합쳐 동례리라 하였다. 마을 중심...
-
경상남도 진주시 사봉면의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상사면 우곡리(上寺面 隅谷里), 사령리(沙令里), 방촌리(芳村里), 일반성면 창촌동의 각 일부를 합쳐 사곡리라 하고 사봉면에 편입시켰다. 남강 하류 지역으로 강우시 농경지 침수가 잦은 편이다. 진주 시내에서 보면 동남 방향이며, 사봉면의 중심부에 자리잡고 있다. 사봉초등학교와 사봉우체국, 진양농협 사봉지소, 사봉보건...
-
경상남도 진주시 대평면에 속한 법정리. 윗마을이라는 뜻에서 상촌이라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침곡(針谷)에 속하다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침곡면 상촌동과 중촌동을 합쳐 상촌리로 하였다. 1969년 남강댐이 완공되면서 상촌마을과 중촌마을에 거주하던 가구는 대평마을 513번지로 집단 이주하거나 주공아파트 등으로 이주하였고, 현재는 적은 수의 가구만이 남아 있다. 남강변에 위치한...
-
경상남도 진주시 진성면에 속한 법정리 윗마을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지명이다. 반대되는 지명인 하촌리는 1993년 가진리로 개칭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진주목 반동산리(班東山里)에 속했다. 1895년(고종 32)에 지방 행정 구역이 개편되면서 가좌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진성면 상촌리가 되었다. 현재 교동(校洞), 상동(上東), 예음(禮吟) 3개의 자연마을로 구...
-
경상남도 진주시 집현면의 법정리 본래 사죽면(沙竹面) 지역으로 큰 못이 있어 신당(新塘)이라 하였다. 1914년 진주군 사죽면 신당동 일부와 죽산동을 합쳐 신당리라 하고 집현면에 편입시켰다. 진주시 초전동과 인접하여 있으며, 동쪽으로 남강을 접하고 있다. 33번 국도가 지나간다. 2002년 6월 30일 현재 148세대 454명이다. 벼농사 이외에도 수박, 고추 배추 등 시설 채소...
-
매스커뮤니케이션의 한 형태로서 신문지라는 대중매체를 통하여 정기적으로 뉴스나 정보를 제공하는 문화적인 커뮤니케이션 활동.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은 1883년 10월 31일 창간된 『한성순보』이다. 이 신문은 중앙정부기관에서 발행한 신문으로 국민들에게 외국의 사정과 개화사상을 널리 알리는데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반면 우리나라 최초의 지방신문은 1909년 10월 15일에 진주에서...
-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의 법정리. 옛날 용이 살고 있었다 하여 용당, 용댕이라고 한다. 조선 전기에는 진주목 북면 설매곡리(雪梅谷里) 감암동(甘巖洞)의 감바우로 불리다가 1864년(고종 1)에 리가 면으로 개편되면서 설매곡면이 되었다. 1914년 지방 행정 구역 개편으로 상감(上甘), 중감(中甘) 일부를 병합하여 용암리라고 하고 미천면에 속하였다가, 1983년 2월 11일 행정 구...
-
조선 전기의 선비.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화백(和伯). 호군 이침(李琛)의 손자이다. 『진양지(晋陽誌)』권4「사마조(司馬條)」에 의하면, 학행과 문장이 있어 1582년(선조 15)에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일찍이 이르기를, “성(誠)의 한 글자는 다만 배우는 것만으로 중시되는 것이 아니니 사군자(士君子)는 일용(日用)으로 벗어나지 아니해야 한다.”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자호를...
-
조선시대의 선비. 자는 인경(仁卿), 호는 영모재(永慕齋). 『진양속지(晋陽續誌)』권2「인물조(人物條)」에 의하면, 외모가 무게 있고 기품이 있으며 그윽하여, 비록 평소에 알지 못한 사람이라 하더라도 일견에 그의 거인장자(鉅人長者) 임을 알게 된다고 하였다. 집에 있을 때는 이륜(彛倫)을 중히 여기고 은의(恩義)를 돈독히 하여, 자손에게 가르치기를 먼저 의를 행하고 문예를 뒤에 하...
-
조선 후기의 선비.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찬경(贊卿). 농아헌(聾啞軒) 이국정(李國楨)의 아들이다. 『진양속지(晋陽續誌)』권2「유행조(儒行條)」에 의하면, 하늘이 내린 성품이 강하고 밝아 바른 도리를 지켜 변치 않았다. 일찍이 유학자인 정재(定齋) 유치명(柳致明)[1777~1861]의 문하에서 활동하였으므로 학문에 연원이 있었고,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1792~1872...
-
조선 후기의 선비.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방언(邦彦). 조선 중기의 학자인 행정(杏亭) 이중광(李重光)[1592~1685]의 후예로 재기가 출중하였다. 『진양속지(晋陽續誌)』권2「유행조(儒行條)」에 의하면, 젊어서 영남학파의 거두인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1627~1704]을 추종하여 따라 배우다가 돌아왔다. 이때 시로써 말하기를 “사람들이 호관(好官) 되기만을 요망하고...
-
조선 후기의 선비.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배원(培元). 행정(杏亭) 이중광(李重光)[1592~1685]의 아들로 호는 죽촌(竹村)이다. 『진양속지(晋陽續誌)』권2「유행조(儒行條)」에 의하면, 1654년(효종 5)에 진사에 합격하였으나, 아버지 이중광이 지방에서 유학을 진흥시키는데 힘썼듯이 이현재는 조은(釣隱) 한몽삼(韓夢參), 광서(匡西) 박진영(朴震英)을 따라 때로는 월순(...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 있는 법정리. 약 350년 전 길을 가던 한 선비가 목이 말라 마을 입구의 샘에서 목을 적시고 쳐다보면서 윗골에 언젠가 큰 못이 생겨 살기 좋은 마을이 될거라고 예언하여 큰 못, 어진 못이란 뜻에서 인담이란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그 후 일제시대에 작은 저수지를 만들었으나 수량이 적어, 1985년에 큰 저수지를 만들어 물 걱정 없이 농사를 지을 수 있게...
-
고려 말의 효자. 정유(鄭兪)와 더불어 지선주사(知善州事) 정임덕(鄭任德)의 아들이다. 공민왕 때에 아버지를 따라 하동군(河東郡)을 지키고 있었는데, 왜병이 밤을 타 갑자기 쳐들어 왔다. 이때 많은 무리들은 모두 도망쳐 달아났으나 정임덕은 병이 들어 말을 탈 수가 없었다. 이에 정손과 정유 두 형제가 아버지를 붙들어 끼고 달리는데 적이 뒤쫓아 왔다. 정유가 말을 타고 수십 인을 쏘...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한명(漢明), 호는 소헌(素軒). 동오(東塢) 정우교(鄭佑敎)의 아들이다. 진주 가곡(佳谷)에 살았다.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웠으며 모친상을 당해 슬픔이 도를 넘었고, 날마다 반드시 묘(墓) 앞에 문안인사를 하고는 피눈물을 흘리어 옷깃이 썩었다. 이웃이 그 효성에 감동해 글을 주목(州牧)에게 올렸으나 조정에 보고하지 않아 사람들이 모두...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자연(子淵). 어려서부터 부모를 섬김에 유순하여 부모의 뜻을 어기는 일이 없었다. 아버지가 병들었을 때 손가락을 끊어 피를 먹여 하루 동안 회생해 있도록 하였고 상을 당해서는 슬픔으로 예를 다하니 향리에서 이를 칭찬하였다고 한다. 진주 가곡(佳谷)에 살았다....
-
조선시대의 효자. 자는 원경(源卿), 호는 일재(一齋).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후손이다. 천성적으로 신중하고 과묵하며, 학식이 풍부하고 어버이를 섬김에 있어 성실하게 지체(肢體)의 봉양을 다하였다. 부친이 마비를 앓아 7년이나 병상에 누워있을 때에도 잠시도 곁을 떠나지 않고 부친의 몸을 닦아주고, 변기를 몸소 세척하여 다른 사람에게 맡기지 아니하였다. 상(喪)을 당하여서는...
-
조선 후기의 선비. 본관은 오천(烏川). 자는 하서(夏瑞), 호는 동호(桐湖)·초객(樵客).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후손이다. 진주 동곡(桐谷)에 살면서 문망이 있었고, 모든 일에 있어 유학을 지키는 일에 관계된 것에는 힘쓰지 않은 것이 없었다. 하홍도(河弘度)[1593~1666]의 문집인 『겸재집(謙齋集)』의 간행에 힘을 쓴 바가 많았다....
-
조선시대의 선비.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공서(公瑞). 충의공(忠毅公) 정문부(鄭文孚)의 손자이다. 『진양속지(晋陽續誌)』권2「유행조(儒行條)」에 의하면, 조선 후기의 문신인 도암(陶菴) 이재(李榟)[1680~1746]가 화상을 기리어 이르기를 ‘용의가 깨끗하고 상쾌하며 문장도 또한 같았다.’라고 하였다....
-
임진왜란 때 활약한 군관이자 비거(飛車) 발명가. 정평구는 전라북도 김제군 출신으로 어렸을 때부터 총명하여 『논어』와 『맹자』를 줄줄 읽었다고 한다. 그러나 청년이 되어 문과에 응시했으나 낙방하여 다시 무과에 응시하였고, 이후 무관 말단직으로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전라 우수사로 부임해온 당시의 명장 이억기(李億祺)가 정평구의 사람됨을 알아보고 중용함으로써 비로소 능력을 발...
-
경상남도 진주시 내동면에 있는 쓰레기 매립·처리시설. 진주시와 사천시의 쓰레기를 매립·처리하기 위하여 진주시 광역쓰레기매립장을 1992년 12월 30일에 착공하여, 1994년 12월에 준공하였으며, 1995년 1월 1일부터 쓰레기를 반입·매장하였다. 1997년 12월에 매립장 조성사업 1단계가 준공되었다. 현재 매립지는 261,500㎡이며, 유휴지는 464,500㎡이다. 진주시가...
-
경상남도 진주시 초전동에 있는 농업기술 지원센터. 국가의 기본산업인 농업의 발전과 농업인의 복지향상을 도모하기 일환으로 농업과학기술의 진흥을 위한 시험연구사업, 농촌지도사업 및 농업인에 대한 교육훈련사업 등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7년 6월에 농사교도법 제정·공포로 진양군 농사교도소로 발족하였다. 1962년 4월에 농촌진흥법 공포로 진양군 농촌지도소로 개칭되었다. 1969년 1...
-
경상남도 진주시 내동면에 있는 일반폐기물과 관련시설을 유지·관리하기 위해 설치된 사업소. 1990년 6월에 환경처로부터 매립지 적합통보를 받고, 1991년에 일반폐기물 매립장 건설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91년 12월에 환경처로부터 사업승인을 받았으며, 인근 주민과의 합의를 거쳐 1992년 12월에 공사에 착공하여, 1994년 12월에 공사를 완료하고 일반폐기물 매립장...
-
경상남도 진주시 상대동에 있는 상하수도 관리사무소. 1911년 3월 11일에 일본인이 소유했던 수도시설을 통해 남성동 남강변에 200㎥/일 규모의 급수가 시작되었다. 이것을 1911년 12월에 경상남도에서 매수·관리하기 시작한 것이 상하수도사업의 시초였다. 이후 변천을 거듭하다 1986년 12월 24일에 취·정수시설 운영·관리를 전담할 진주시 상수도사업소가 신설되었다. 1999년...
-
경상남도 진주시 수곡면에 있는 법정리. 옛날 조곡을 보관하던 곳이라 하여 의창(義倉) 또는 창말이라 하였다가, 후에 창촌(倉村)으로 부르게 되었다 한다. 옛날 무실마을[水谷]이다. 1906년(광무 10)에 진주군을 50면 298리로 재편할 때, 수곡면에 속했다. 이후 1914년 진주군 수곡면 창촌동, 조계동, 원당면 외동, 하동군 운곡면 가덕동의 각 일부를 합쳐 창촌리라 하였다....
-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화가. 본관은 진주. 자는 대이(大而), 호는 청천(菁川).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1449년 영의정을 지낸 하연(河演)[1376~1453]의 5세 손이다. 1536년(중종 31)에 출생하여 1568년(선조 1)인 32세에 요절했다. 1558년(명종 13)에는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수찬(修撰)을 지냈으며, 대[竹]나무를 특히 잘 그렸고, 시·서·화(詩·書·畵)...
-
진주에서 활동한 교육자이자 화가. 홍영표는 1917년에 출생한 진주지역의 화가로 호는 고운(槁雲)이다. 진주고등보통학교(현 진주고등학교)와 일본 동경 가와바타[川端]미술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였다. 인천상업고등학교에서 교편을 잡다가 해방 후 고향으로 돌아와 진주사범고등학교, 진주고등학교, 진주여자고등학교, 진주농업고등학교, 해인대학 등에서 후진 양성과 서양화 지도 보급에 남다른 노력...
-
경상남도 진주시 수곡면의 법정리. 선조 때 하경휘(河鏡輝)가 이 마을에 살면서 부모에 효성이 지극하고 동기간에 우애가 두터워서 이름난 효자동으로 동명(洞名)을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한때는 효우봉, 쇠우봉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1914년 진주군 수곡면 효자동, 중전동, 하동, 요산동, 마동면 당촌동 각 일부를 합쳐 효자리라 하였다. 1917년 3월 15일 본면 효자리(孝子里) 요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