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 전해오는 한 뱃사공이 점괘 덕분에 귀신을 퇴치하고 잘 살았다는 이야기. 1980년 8월 10일 정상박, 성재옥, 김현수가 당시 경상남도 진양군 금곡면 검암리 운문마을에서 채록하였으며,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8-3에 수록되었다. 제보자는 이숙조(여, 62세)이다. 고기를 낚고 배질하며 사는 뱃사공이 있었다. 하지만 평생 살...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검암리 운문마을에서 전승되는 지혜로운 아들의 지략담에 관한 설화. 기른 정 낳은 정 설화는 ‘알고 모르기’ 유형에 속한다. 하위유형으로 ‘모를 만한데 알기’ 유형이고, 그 다음 하위유형으로 ‘어른보다 아이가 지혜롭기’에 속하는 설화다.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편찬한 『한국구비문학대계(韓國口碑文學大系)』8-3에 공식적으로 채록되어 있다. 1980년 8...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 전해오는 도깨비 방망이에 얽힌 이야기. 1980년 8월 10일 정상박, 성재옥, 김현수가 당시 경상남도 진양군 금곡면 검암리 운문마을에서 채록하였으며,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8-3에 수록되었다. 제보자는 이숙조(여, 62세)이다. 그 뒤 진양문화원에서 1994년에 발행한 『진양민속지』에 하종갑이 다시 정리하여 재수록하였다...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 전해오는 슬기로운 사람과 연관된 도깨비 이야기. 진양문화원에서 1994년에 발간한 『진양민속지』에 수록되었다. 예전에 도깨비와 친하게 지내는 사람이 있었다. 도깨비는 그 사람에게 고기도 잡아주고 일도 거들어 주는 등 여러 가지 도움을 많이 주었지만, 도깨비와 오래 사귀는 것이 별로 좋은 일이 못 된다고 생각한 사람은 도깨비와 헤어질 궁리를 했다. 그 사람이...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 전해오는 슬기로운 사람이 도깨비를 속이고 부자가 된 이야기. 1980년 8월 9일 정상박, 성재옥, 김현수가 당시 경상남도 진양군 금곡면 검암리 차현마을에서 채록하였으며,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8-3에 수록되었다. 제보자는 류재원(남, 65세)이다. 옛날에 도깨비와 친한 사람이 살았다. 그는 도깨비가 고기를 잡아 달라고...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 전해오는 당찬 신부가 구렁이를 퇴치한 이야기. 1980년 8월 11일 정상박, 성재옥, 김현수가 당시 경상남도 진양군 금곡면 검암리 운문마을에서 채록하였으며,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8-3에 수록되었다. 제보자는 이숙조(여, 62세)이다. 옛날에 임신한 어떤 여자가 베를 짜다가 기운이 없어 쑥 소쿠리를 들고 들에 나갔다....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 전해오는 물렛돌에 관한 전설.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두문리 석계마을에 사천군(泗川郡)과 경계를 표시하는 돌이 하나 있다. 마을 사람들은 경계를 표시하였다고 해서 ‘돌곶이’ 또는 ‘돌꽂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더러는 돌이 장승처럼 서 있다고 해서 ‘돌장싱’이라고도 부른다. 「마고할미 물렛돌」 설화는 이 돌장승에 얽힌 마고할미의 전설로서 천지개벽 신화나 천지창...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봉리는 가토(佳吐), 덕촌(德村), 가수(佳水), 우봉(牛峰) 등 4개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졌으며, 가토, 가수의 아름다울 가(佳)와 우봉의 봉우리 봉(峰)자에서 명칭이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시대인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개편시 법정리인 가봉리에 있는 가봉(佳峯), 우봉(牛峯) 두 개를 행정리로 명명했다. 같은 해인 1914년...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검암리 차현마을에 있는 남원양씨 효행비. 남원양씨는 어머니가 병이 들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먹여 소생시키는 등 지극정성으로 간호했다. 강수제(姜壽齊)에게 시집간 후로는 일찍이 남편을 여의었으나 시부모를 정성으로 모셨고, 아들을 장가보낸 뒤에는 자신의 일은 다 마쳤다고 여겨 약을 먹고 숨을 거뒀다. 이와 같은 행적을 기리기 위해 비가 세워졌다. 원래는 1654...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어귀에 검바위 또는 검암이라 불리는 큰 바위가 있어 붙여진 지명이다. 본래 진주군 송곡면과 금동어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송곡동(松谷洞), 홍정동(鴻亭洞), 검암동(儉岩洞), 가토동(佳吐洞)의 각 일부를 통합하여 검암리라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엄정(嚴亭), 운문(雲門), 차현(車峴), 신담(新潭)의 4개...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가봉리 우봉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마을제사. 동제는 동신제(洞神祭), 당산제(堂山祭), 당제(堂祭) 등으로 불린다. 당집 혹은 당산나무를 신이 깃드는 신성공간으로 여기고 그곳에서 마을 주민들이 제를 올린다. 우봉마을 역시 당산나무를 신격으로 모시고 제를 지내고 있다. 이 마을의 동제는 약 70년 전부터 시행되었다. 수령이 400...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검암리 운문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마을제사. 운문마을의 동제는 조선 말기부터 시작되어 대략 10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마을 뒷산의 백일나무와 마을 중앙의 정자나무를 신체로 삼고 있다. 제주(祭主)는 궂은 일을 당하지 않은 사람을 선임하고, 마을 사람 모두가 제를 올리는 제관이 된다. 옛날에는 섣달 그믐에 지냈는데, 지금은...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성산리에 있는 바위. 성산리 뱃설마을에 있는 바위이다. 바위 위쪽 가운데가 오목하게 파여져 있는데, 옛날에 배를 묶어 두는 바위라는 말이 있다. 이 바위가 있는 마을이 뱃설인데, 뱃설이란 지형이 배처럼 생겼다고 불러진 이름이다. 그리고 건너편 신분리는 뱃머리 중간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배의 돛과 같이 보이는 바위가 있었다. 성산리 덕계마을 앞에 있는 들판에...
-
경상남도 진주시 남동부에 위치한 면(面). 조선 전기까지 진주목(晋州牧) 남면(南面) 송곡리(松谷里), 인담리(麟淡里), 금동어리(金冬於里), 성을산리(省乙山里)라 하였다. 임진왜란 후에는 금동어리는 송곡리에 합했다가 1623년(인조 1)에 다시 나누었다. 1832년(순조 32)에는 인담리를 성을산리에 합하여 송곡리, 금동어리, 성산리(省山里)라 하다가 1864년(고종 1) 이후...
-
...
-
(1) 상포계 검암리 운문마을에는 아주 오래 전부터 전해지는 상포계(喪布契)가 있다. 상포계란 마을 내에 초상이 났을 때 부의(賻儀)를 하기 위한 조직으로, 운문마을에는 마을 사람 10여명 정도로 조직된 상포계가 여럿 난립했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1990년대 중반에 이를 모두 통합하여 하나의 상포계로 조직하였다. 내부 규약으로는 계원들은 초상 기간 중 반드시 1일 이상...
-
마을 내에 검암초등학교가 있었으나 학생 수의 감소로 폐교가 되었고, 현재는 면소로 통학하고 있다....
-
(1) 영모재(永慕齋) 운수당 하윤의 재실이다. 본래 이곳에는 운수당(雲水堂)이 있었는데, 후손들이 그 터를 찾아서 영모재를 지었다. 인근에 운수당 하윤의 묘소가 있으며, 묘소에 세운 비석은 우리나라의 비석중 가장 큰 비석으로 알려져 있다. 묘소는 500년 동안 단 한 번도 보수를 하지 않을 정도로 잘 만들어졌다고 전해지는데, 최근에 땅꾼들에 의하여 무덤 일부가 파손되었...
-
(1) 동제 검암리의 마을제사는 제명(祭名)을 동신제(洞神祭) 혹은 동제(洞祭), 목신제(木神祭)라 부른다. 제사의 대상이 되는 신체(神體)는 마을의 세 곳에 있는 ‘느티나무’지만, 본래는 검암초등학교(현재 폐교) 뒤에 있는 ‘백일홍’도 마을 신앙의 대상이다. 마을 입구, 마을의 중앙마당, 마을 서쪽의 수령 500년 정도의 느티나무를 대상으로 매년 음력 정월 초 3일에...
-
비교적 도로가 잘 포장되어 있으며, 마을 전체에 경지정리를 잘 하여 기계화 영농이 가능한 지역이다. 벼농사를 위주로 경작하며 과수재배도 활발한 편이다. 호박, 오이, 수박, 배, 단감 등과 유기농법으로 생산되는 깻잎. 오이. 토마토. 딸기 등을 많이 생산하고 있다....
-
금곡면은 진주시의 가장 남쪽에 위치한 면(面)으로, 고성군, 사천읍 등과 경계를 하고 있다. 금곡면 소속의 검암리는 동쪽으로는 가봉리, 서쪽으로는 차현마을, 북쪽으로는 송골리, 남쪽으로는 음정마을과 경계를 하고 있으며, 4개 마을의 가운데가 운문마을이다. 1911년 금동어면(金冬於面)[현재 검암, 가봉리]과 송곡면(松谷面)[현재 송곡리, 정자리]으로 분리되어 있던 것을...
-
검암리는 마을 주변에 마을을 상징하는 검은 바위 3개가 있어서 검암리라 부르고, 바위 3개가 있다하여 ‘삼암리’라고도 한다. 운문은 지형이 구름가운데로 학이 나는 형국이라 붙여진 이름이라 하며 운문을 훈을 따서 부르면 구름문이 되므로 통칭 발음상 줄여서 굴문으로 들리고 또 그렇게 부르고 있다. 학은 예로부터 길조이며 부와 귀의 상징으로 인식되어 왔다. 지금도...
-
...
-
남악서원(南岳書院) : 신라의 김유신(金庾信) 장군 및 최치원(崔致遠), 설총(薛聰)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죽곡리 817-1번지에 있다.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2호이다. 남북 자오선 상에 솟을대문과 서원, 사당 건물이 일직선에 배치되어 있는데, 서원의 좌우에 정면 4칸, 측면 2칸의 동·서재(東·西齋)가 있다. 서원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오량 구조 팔작...
-
삼베가 한반도에 들어온 유래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이미 삼국시대의 칠(漆) 공예품이나 신발 등에 사용되었고, 『삼국사기』에는 한가위에 베짜기 경쟁을 했다는 기록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한국에서 면(綿)이 일반화되기 전에는 삼베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마직에 대한 기술은 이미 신라 때부터 크게 발달하여 후대로 오면서 30승포(升布), 40승포 같은 극세포(極細布)...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죽곡리에 있는 마을. 1914년 진주군 성을산면(省乙山面) 장지동(長芝洞)·죽곡동(竹谷洞)·성산동(省山洞)의 일부를 합하여 죽곡리(竹谷里)라 하였다. 죽곡리라는 지명은 대나무가 많은 지역이라는 의미이며, 원래는 ‘대시이리’라 불렀다고 한다. 마을 사람의 성씨 분포는 거의가 김해김씨인 집성촌으로, 대대로 양반이 많이 살았다고 하며 마을 주...
-
·장재(長財) : ‘부자마을’이라는 뜻에서 장재실이라고 불린다. 지혜로운 사람들이 많이 사는 마을이라 하여 장지(長智)라고도 불렀는데, 서기(瑞氣)로운 징조가 비친다, 선하고 신비함이 많다는 뜻이 있는 지초 지(芝)로 바꾸어 쓰기도 했다. 그러다가 1990년에 마을 이름을 바꾸면서 마을 총의에 의하여 다시 옛날 이름인 장재실로 부르게 되었다. ·천금산(千金山) : 장재마을을 감싸...
-
경상남도 진주시 두문리에 있는 재래시장. 시장이 소재하고 있는 금곡면이라는 행정지명을 따서 금곡시장이라 하였다. 1962년 12월 28일에 개설되었다. 대지는 1,653㎡이며, 건물구조는 목조스레트와 함석으로 되어 있다. 건물면적은 270㎡이다. 매장면적 270㎡에 5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거래 품목은 산지부산물이다.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두문리 632-4번지에 있다. 진주...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동례리에 있는 공립중학교 ‘충효예지의 정신을 생활화하여, 자주적이고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한다.’는 교육목표를 두고 있다. ‘즐거움과 생동감이 있는 학교’와 ‘꿈을 가꾸며 신뢰받는 학교’를 학교상으로, ‘꿈을 가지고 내일을 준비하는 학생’과 ‘바른 인성을 가진 학생’을 학생상으로, ‘사명감이 투철한 스승’, ‘존경과 신뢰받는 참된 스승’을 스승상으로 한 경영...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두문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생활규범의 실천을 통하여 바르게 생활하는 어린이, 자기 주도적 학습력 신장으로 창의력을 기르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바르게 자라는 튼튼한 어린이, 올바르게 알고 부지런히 실천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23년 9월 10일 4년제 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923년 9월 10일 4년제 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여...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죽곡리에 있는, 효자 김종길(金鍾吉)의 효행을 기념하는 비각. 1896년(고종 33) 김종길의 효행을 조정에서 포상하여 건립하였다.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죽곡리 마을 입구의 도로변에 남향하여 있다. 1965년 중건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정면 2칸, 측면 1칸 규모로, 지붕은 맞배형이다. 이 정려의 본래 명칭은 “효자증동몽교관조봉대부김공정려(孝子贈童蒙敎官...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두문리에 있는 효적비. 유인 남원양씨가 시아버지에게 행한 효행을 후세에 전하기 위하여 효행내용을 기록하여 두문마을에 세운 비를 말한다.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두문리 두문마을 산기슭에 위치한다. 비좌는 방형이고 비수는 한옥와가 형태의 가첨석인데, 방형의 받침돌 사방에 석주를 세워 대형의 비수를 받치고 있어서 마치 보호각의 역할을 겸하도록 하였다. 비문은 한문...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성산리와 경상남도 고성군 영오면 오서리에 걸쳐 있는 산. 원래는 진주시 금곡면에 속했다가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고성군 영오면 오서리에 속하게 되었다. 일명 당무산(唐舞山)이라고도 한다. 굴뚝날뿔산 맞은편 들 가운데 있으며, 강이 산을 에워싸고 있다. 예로부터 전해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영천강 가에서 어떤 부인이 빨래를 하고 있는데 큰 산이 떠내...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의 법정리. 일명 ‘동네’라고도 한다. 마을이 동쪽을 향해 있다 하여 동네 또는 동례라 하였다는 말과 예부터 예의가 바른 동네라 하여 지나는 사람마다 동방예의지국의 본이라고 하여, 동자와 예자를 따서 동례로 하였다는 말이 있다. 1914년 진주군 성을산면 동례동, 신대동(申大洞), 두문동(斗文洞), 금동어면 검암동의 각 일부를 합쳐 동례리라 하였다. 마을 중심...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두문의 이름은 드물, 드무리, 입물, 더문, 도무리, 두무리라는 말로 전해 온다. 도산천과 군산천이 합하여지므로 도산천의 도와 군산천의 무리(群)가 합하여진 도무리가 두문리의 유래라 할 수 있다. 또는, 시간이 흘러 물이 잘 들어오지 않게 되었고 취락이 점차 낮은 곳으로 옮겨왔다는 점에서 드물다는 뜻의 드무리에서 유래되었다는 의견도 있다....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두문리에 위치했던 공립 초등학교 진주시의 최남단에 위치한 전형적인 농촌학교로서 1948년에 개교한 초등학교였다. 교육목표는 ‘기초와 기본교육을 철저히 한다, 생활예절교육을 강화한다, 특기·적성교육을 확대한다, 교육공동체 문화풍토를 조성한다’ 등이다. 교훈은 ‘공부 잘하고 건강한 어린이’였다. 1939년 8월 12일 동례간이학교 설립인가를 받았다. 1941년...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검암리에 있는 재실. 진양하씨로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하천서(河天瑞)와 하경호(河慶灝) 부자의 재실이다. 하천서의 호는 망추(望楸), 하경호의 호는 읍추(泣楸)로, 하천서의 호를 본떠 망추정이라 하였다. 하천서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군대를 훈련시키고 허물어진 진주성을 수축하고 못을 깊이 파서 장차를 대비하였다. 후에 임진왜란 때의 공이 인정...
-
경상남도 진주시에 전해오는 지극한 정성이 치병(治病)을 이룬다는 설화. 정상박, 성재옥, 김현수가 1980년 8월 9일 금곡면(金谷面) 차현부락에서 채록하였으며,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편찬한 『한국구비문학대계』8-3에 수록되었다. 제보자는 류성만[남, 당시 72세]이다. 유의태는 소문난 명의였다. 특히 효험이 있는 의약품을 만드는 데 천재적인 재주를 가졌다. 그럼에도 불...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죽곡리 죽곡마을에 있는 비. 밀양손씨가 남편 김영성이 학질에 걸리자 자신의 넓적다리를 베어 먹이는 등 지극정성으로 남편을 간호하여 소생시킨 열행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죽곡리 죽곡마을의 입구 도로변에 위치한다. 사각형 받침돌 위에 높이 137㎝, 너비 46㎝, 폭 20㎝의 몸돌을 세우고 그 위에 대형의 머릿돌을 얹었다. 받침돌 사방...
-
근대 개항기의 효부 및 열녀. 달성서씨(達成徐氏) 서상재(徐相載)의 아내이며, 김해김씨 후손인 김응현(金應炫)의 딸이다. 어릴 때부터 성품이 곧고 따뜻하며 부모에게 매우 효성스러웠다. 서상재에게 출가해서는 시부모를 지극정성으로 모셨고, 남편을 대할 때는 예를 어김이 없었다. 또한 자녀들을 기를 때에는 자녀들이 반듯한 길로 나아가는 데 모범이 되었다. 1909년 남편 서상재(徐相載)...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성산(省山)은 안산에 성봉(省峯), 동쪽에 을산(乙山)이 있어서 이 두 산의 이름을 따서 성을산이라고 불렀다 한다. 한때는 성을산면이었으나 행정 구역 개편으로 성을산면이 없어지면서 가운데 을자를 빼고 성산으로 바뀌어 성산리로 불리게 되었다. 또는 사방의 산이 높고 솔이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란 설도 있다. 1914년, 진주군 성을산면(省乙山面...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본래 소나무가 많아서 소실 또는 송곡이라 칭하면서 유래되었다. 약 사백 년 전에 문화류씨가 정착해 살면서 소실이라 불리기도 했다. 1914년 진주군 송곡면(松谷面) 송곡동(松谷洞) 일부를 통합하여 송곡리(松谷里)라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시 금곡면에 속하게 되었다. 갓눈덕골, 개멀리골, 구세밭골, 버들골 등의 골짜기와 옥산봉(沃山...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 전해오는 임진왜란에 관한 설화. 임진왜란 때 진주시 금곡면 송곡마을에 왜병이 들어오지 못한 이유를 밝힌 전쟁담(戰爭談) 이다. 1980년 8월 10일 정상박, 성재옥, 김현수가 경상남도 진양군 금곡면 검암리 운문마을에서 채록하였으며,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8-3에 수록되었다. 제보자는 하해조[남, 67세]이다. 『진양민속...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검암리에 전해오는 술에 대한 취흥을 노래한 민요. 1980년 8월 10일 정상박, 성재옥, 김현수가 당시 경상남도 진양군 금곡면 검암리 운문마을에서 채록하였으며,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편찬한 『한국구비문학대계』8-3에 수록되었다. 구연자는 이숙조(여, 당시 62세)이다. 짧은 사설에 술에 대한 취흥을 독창으로 노래한 것이다. 술은술술 잘어나가고 찬...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정자리에 있는 마을. 감나무가 많이 있었으므로 불리어졌다는 말도 있고 감남이라는 사람이 살았는데 감남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감나뭇골 또는 시목들이라고도 한다. 한편 뱃설이라고도 하여 돈이 많거나 사람이 많이 모여 살면 위험하다는 말도 있다. 시평에 전하는 전설로는 어느 한 사람이 대밭에 걸린 큰 잉어 한 마리를 살려 준 사실이 있다 한다. 살아...
-
경상남도 진주시에 전해오는 자식을 찾기 위한 송사에 관한 이야기. 1980년 8월 10일 정상박, 성재옥, 김현수가 경상남도 진양군 금곡면 검암리 운문마을에서 채록하였으며,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8-3에 수록되었다. 제보자는 김숙분[여, 66세]이다. 1994년 하종갑의 『진양민속지』에는 ‘낳은 정 기른 정’이라는 이름으로 채록, 각색되어 있다....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서 전승되는 가족담(家族談). 1980년 8월 10일 정상박, 성재옥, 김현수가 경상남도 진양군 금곡면 검암리 운문마을에서 채록하였으며,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8-3에 수록되었다. 제보자는 정상현(여, 당시 73세)이다. 1994년 하종갑의 『진양민속지』에는 ‘핏줄은 제 핏줄’이라는 이름으로 채록, 각색되어 있다. 옛날에...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정자리 엄정마을에 있는 신석기시대 유물산포지 및 가야시대 고분군. 금곡면 정자리 엄정마을 북쪽에 위치한 야산 일대에 신석기시대 유물산포지와 삼국시대 분묘군이 형성되어 있다. 신석기시대의 유적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작은 빗살무늬토기 조각이 채집된 점과 이 지역의 완만한 지형이나 토양을 고려할 때 신석기시대의 집터 유적이 분포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서 전승되는 지혜담(智慧談). 1980년 8월 9일 정상박, 성재옥, 김현수가 경상남도 진양군 금곡면 검암리 차현마을에서 채록하였으며,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8-3에 수록되었다. 제보자는 류재원(남, 당시 65세)이다. 중국에서 사신이 왔다. 중국 사신은 조선 조정을 시험할 요량으로 무명 한 필을 주면서, 베 한 필로 ‘바...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두문리 부근을 지나는 하천. 고성군 영오면에서 발원된 영오천과 고성군 대가면에서 발원된 영천이 진주시 금곡면 두문교에서 만나 문산읍과 진주시를 거쳐 금산면 속사리 속사교 아래에서 남강에 합류한다. 현재 지방2급 하천으로 지정되어 있다. 진주목 영선현에 속하였을 때에는 영선천(永善川)이라 불렸다. 『국역 진양지』에는 “물의 근원이 둘이 있으니, 하나는 고성 혼...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검암리에 있는 자연마을. 운문은 지형이 구름 가운데로 학이 나는 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 운문의 뜻을 따서 부르면 ‘구름문’이 되므로 통칭 발음상 줄여서 ‘굴문’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곳에 살던 하씨 선대 하순(河淳)이 1414년(태종 14)에 생원에 오른 사실이 있고, 그의 며느리 박씨부인이 1470년(성종 1)에 별세하고 세운 비석이 현재 남아...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서 전승되는 풍수담(風水談). 1980년 8월 11일 정상박, 성재옥, 김현수가 경상남도 진양군 금곡면 검암리 차현마을에서 채록하였으며,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8-3에 수록되었다. 제보자는 정상선(남, 당시 47세)이다. 진주시 금곡면 운문마을은 진주하씨의 집성촌이다. 마을이 풍수적으로 대명지(大名地)인데, 십이 대에 걸쳐...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검암리에 있는 마을....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서 전승되는 가족담(家族談). 1980년 8월 10일 정상박, 성재옥, 김현수가 경상남도 진양군 금곡면 검암리 운문마을에서 채록하였으며,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8-3에 수록되었다. 제보자는 김숙분(여, 당시 66세)이다. 옛날 금곡면 운문마을에 사는 하씨(河氏) 집안에 초상이 났다. 사위 두 사람이 서로 비석을 세우려고 다...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검암리 차현마을에서 전승되는 조선시대 의적(義賊)인 갈봉이에 관한 설화. 『한국구비문학대계(韓國口碑文學大系)』8-3에 정식으로 채록 사항이 밝혀져 있다. 1980년 8월 10일에 조사자 정상박, 성재옥, 김현수가 경상남도 진양군 금곡면 검암리 차현마을에서 채록하였다. 제보자 류재원은 65세의 남성이다. 옛날 진주에 의적으로 불리는 갈봉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 있는 법정리. 약 350년 전 길을 가던 한 선비가 목이 말라 마을 입구의 샘에서 목을 적시고 쳐다보면서 윗골에 언젠가 큰 못이 생겨 살기 좋은 마을이 될거라고 예언하여 큰 못, 어진 못이란 뜻에서 인담이란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그 후 일제시대에 작은 저수지를 만들었으나 수량이 적어, 1985년에 큰 저수지를 만들어 물 걱정 없이 농사를 지을 수 있게...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진주군 송곡면(松谷面)의 정자동과 홍정동(鴻亭洞)을 중심으로 1914년 행정 구역이 통폐합될 때 정자동의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진주군 송곡면 정자동·홍정동, 이곡면(耳谷面) 이곡동(耳谷洞), 성을산면(省乙山面) 하인담동(下仁潭洞), 금동어면(金冬於面) 검암동(儉岩洞)의 각 일부를 통합하여 형성되었다. 정자...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진주군 성을산면(省乙山面)의 죽곡동과 장지동(長芝洞), 성산동(省山洞) 일부를 통합하고, 죽곡동의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여 죽곡리라 하였다. 죽곡은 대나무가 많아 붙인 명칭으로 대실이라고도 하였다. 전설에 의하면, 죽곡에는 옛날에 대나무가 무성하게 자라고 있었으며, 그 대밭에는 봉(鳳) 한 마리가 살고 있었다 한다. 그리하여 ‘봉이 앉아 있는...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죽곡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2003년 진주시와 경상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간한 『문화유적분포지도 -진주시-』에 의해 처음 학계에 알려졌다.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죽곡리에 위치하고 있다. 금곡면 소재지에서 죽곡으로 향하는 도로의 남쪽과 위천강의 지류 사이에 있는 밭에 위치한다. 유적에는 3기의 고인돌이 있다. 1호 고인돌은 덮개돌의 크기가 길이 270㎝...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가봉리에 있는 하계지(河繼支) 처 상산박씨의 묘. 상산박씨(商山朴氏)[1424~1490]는 통정대부행거제현령(通政大夫行巨濟縣令) 하계지의 아내이며, 운수당(雲水堂) 하윤(河潤)[1452~1500]의 어머니이다. 묘소는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가봉리 산 60번지 우봉마을 뒤 하씨 선산에 있다. 원형 봉분으로 봉분 중앙에는 상석과 사각향로석이 있고, 묘의 오른편...
-
경상남도 진주시 검암리에 있는 운수당 하윤묘에 세워진 석상 2구. 이 2기의 석상은 조선시대의 문신인 하윤묘의 하단의 좌우에 자리 잡고 있다. 하윤[1452~1500]의 자는 수부, 호는 운수당으로 1414년 생원에 입격하였다. 아버지는 거제 현령을 역임한 하계지(河繼支)이고, 할아버지는 산음 현감을 역임한 하순(河淳)이다. 2기의 석상은 높이 2.3m의 거상으로, 분묘의 크기에...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죽곡리에 위치한 서원. 1919년 지방의 유림들이 중건할 당시 경주에 있는 서악서원의 이름을 본 떠 남악서원이라고 명명했다. 남악서원(南岳書院)이 처음 지어진 것은 680년경의 일이라고 하며, 1922년 지방 유림들이 중건하였다. 전설에 따르면 김유신이 삼국통일을 완수하기 위해 전략상 요지를 찾아다니다가 이곳에서 신령을 만나 삼국통일의 가르침을 받았다고 전해...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동례리에 있는 느티나무. 이 느티나무는 예로부터 마을 주민들이 정자목으로 심어 놓고 휴식처로 삼으며, 마을의 수호목으로 받들어왔던 귀한 나무이다. 마을 사람들은 이 느티나무를 당산목으로 숭배해왔으며, 매년 음력 정월 보름날에 이 나무 밑에서 동제를 지내왔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새마을사업이 시작되면서 과거의 풍속은 많이 없어졌다. 전해 내려오는 말에 의...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두문리 산 103-1번지에 있는 푯돌. 진주시와 사천시의 경계를 표시하여 이정표 역할을 하던 푯돌로 1991년 12월 23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79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천태산 마귀 할머니가 사천시의 두량리 큰골 방향에서 물레를 하려고 바위 3개를 옮겨 오는데, 1개는 머리에 이고, 1개는 지팡이로 짚고, 1개는 치마에 담아...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검암리 차현마을에 전승되는 진주 남강변 지랫대소(沼)의 유래에 관한 설화. 진주 지랫대소 설화는 진주 남강의 지재소, 일명 지랫대소에 얽힌 전설이다. 전승 장소에 따른 분류로는 지역적 전설에 해당하며, 발생 목적에 따른 분류로는 설명적 전설에 해당한다. 전설은 일반적으로 똑같은 줄거리를 가진 이야기가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는 이주적(移住的) 전설과 특정 지역에...
-
조선 중기에 세운 운수당(雲水堂) 하윤(河潤)의 묘비. 운수당 하윤은 평안도 순천군수로 재직하던 중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고향인 진주 금곡면 검암리 운문 선영에 묻힌 후 그의 공을 기려 묘비를 세웠다.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검암리 운문 행우산 기슭의 묘역에 세워져 있다. 이수, 비신, 귀부가 하나의 돌로 된 일체형 비로 전체 높이는 260㎝이다. 비의 재질은 분석이며, 비두는...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검암리 오도실에 있는 하재원(河載源)의 효행을 기리는 비. 홀어머니가 병이 들자 그 곁을 떠나지 않고 정성으로 간호한 진사 하재원(河載源)[1812~1881]의 효행을 기념하여 세워졌다. 하재원은 운수당 하윤의 후손이다.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검암리 오도실마을의 하씨재각 앞에 위치한다. 주위에는 하재원의 묘비(1913)도 세워져 있는데, 송사(松沙) 기우만...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검암리 차현마을에서 전승되는 도선에 의해 혈 끊긴 산에 관한 설화. 혈 끊은 산 설화는 실재하는 특정 지역을 증거로 들어 구술한 지역적 전설이며, 자연 환경의 유래를 설명한 설명적 전설이다. 내용상 풍수지리(風水地理) 사상과 관련된 풍수 설화이며, 단맥설화(斷脈說話)이다. 단맥 설화의 일반적인 전개는 우리나라에 인재가 태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민족이 산천의...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金谷面)에 전해오는 호랑이에 얽힌 소화(笑話). 정상박, 성재옥, 김현수가 1980년 8월 9일 금곡면 검암리(檢岩里) 차현(車峴)부락에서 채록하였으며,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편찬한 『한국구비문학대계』8-3에 수록되었다. 제보자는 류재원[당시 65세]이다. 한 사람이 바위 위에 있는 엄청나게 큰 호랑이에게 먹히었다. 그는 걸림 없이 뱃속 한가운데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