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대의 유학자 박태형의 문집. 박태형(朴泰亨)[1864~1925]의 휘는 태충(泰充)이며 자는 문행(文幸), 태정(泰亭), 윤상(允常)이고 호는 간암(艮嵒)이다. 본관은 함양(咸陽)으로, 아버지 박덕성(朴德成)과 어머니 진양강씨(晋陽姜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조선 고종 때의 문신인 송병선(宋秉璿)[1836~1905]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 그의 글을 수합한 『간암문집』은 11권...
-
근대의 유학자 박태형의 문집인 『간암문집(艮菴文集)』의 부록. 박태형(朴泰亨)[1864~1925]의 『간암문집』 부록으로 2권 1책이다. ‘1권’에는 ‘간암문집부록’이라고만 표기되어 있으나, ‘2권’에는 서명 뒤에 ‘하(下)’라는 호칭이 붙어 있어 ‘1권’을 묶어낸 이후 남은 원고들을 수합하여 ‘2권’이라는 명칭을 붙인 것으로 추정된다. 판본은 양장이다. 간암문집부록의 1권은 행장...
-
시인 강희근(姜熙根)[1943~현재]이 저술한 문학평론집. 경상남도 문학의 역사적인 개관을 체계적으로 서술한 책이다. 경상남도 지역 문학의 역사와, 경상남도 출신 작가 중에서 두드러진 작가를 개별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제1부는 문학사적인 성격의 내용을 제시하고 있고, 제2부는 경상남도 출신 작고 문인들에 관련한 작품을 분석하고 있으며, 제3부는 작품집 해설을 다룬 글들을, 제4부에...
-
조선 전기의 학자 정이오(鄭以吾)의 시문집. 1939년에 정이오의 후손인 정장현(鄭璋鉉)이 경상남도 진주의 영남재(潁南齋)에서 간행하였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권1·2에 시(詩) 73수, 전(箋) 2편, 소(疏) 1편, 서(序) 4편, 기(記) 14편, 전(傳) 1편, 묘지명 1편, 잡저 1편과 부록으로 사제문(賜祭文) 1편, 이조사척록(李朝史摭錄) 1편, 유사(...
-
1991년 진양문화원에서 『진양지』·『진양속지』·『진양속지 증보』 등을 국역한 책. 모두 10권으로, 『진양지』4권, 『진양속지』4권, 『진양속지 증보』2권이다. 이 중 『진양지』는 조선 광해군 14년(1622)부터 인조 10년(1632)에 걸쳐 성여신(成汝臣)이 편찬한 경상도 진주목 읍지로, 본래 2책으로 되었으나 목판본 인출 때 4권 3책으로 되었다. 그리고 『진양속지』는 19...
-
조선 말기의 유학자 하헌진(河憲鎭)[1859~1921]의 유집(遺集). 하헌진의 호는 극재(克齋)이고 자(字)는 맹여(孟汝)이다. 동료(東寮) 하재문(河載文)의 아들로 어려서부터 행동에 법도가 있고 말과 글이 편하면서도 매력이 있어 원근의 유학들이 존경하였다. 그는 ‘극복(克復: 克己復禮의 준말)’을 삶의 좌표로 삼아 매사에 극진히 임하였으며, 김황(金榥) 등과 함께 면우(俛宇)...
-
조선 후기의 학자 성백근(成百根)의 문집. 저자 성백근의 사후 40년 뒤, 그의 손자와 자손들이 선조가 남긴 글들을 모아 책으로 펴낸 것이다. 출간되기까지의 과정은 발문에서 저자의 손자 성재기(成在祺)가 간략하게 기술하고 있다. 문집에는 성백근의 행장(行狀)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저자의 내력을 확실하게 파악할 수 없으며, 발문이 1972년에 쓰인 것으로 기술되어 있을 뿐, 내용은...
-
근현대 학자 이용(李鎔)[1868~1940]의 문집. 『노계유고』는 이용이 생전에 서술했던 글들을 모아놓은 문집이다. 이용의 사망으로부터 수년 뒤 그 아들인 이윤직(李允直)이 아버지의 남은 글들을 수합 정리했고, 그로부터 10년 뒤 비로소 원고들을 출간했다. 1964년 진주의 일신인쇄소(日新印刷所)에서 발행되었다. 총 4권 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판본은 연활자본(鉛活字本)이며,...
-
근현대 진주의 인물인 심규섭의 문집. 심규섭(沈圭燮)[1916~1950]의 자는 문재(文哉), 또는 녹우(鹿友)이다. 신안(新安) 출신으로 어렸을 때는 권송산(權松山), 이과재(李果齋)에게 학문을 배웠고, 청년기 때 서울로 올라가 윤해관(尹海觀), 김동강(金東江) 등에게 교습을 받았다. 심규섭은 현명하고 통찰력이 깊었으나 한국전쟁으로 인해 1950년 35세의 젊은 나이에 요절하였다...
-
진주의 향토 시인인 박노정[1950~현재]의 첫 번째 시집. 시인이 1980년 『호서문학』에 등단한 이후에 발표한 62편을 묶은 시집이다. 1991년 9월 25일, 자유사상사에서 가로쓰기 형태의 시집으로 초판이 간행되었다. 시인은 특별한 의미 없이 선별하고 차례를 정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진주와 관련된 소재들이 눈에 띈다. 「우리 누님, 논개(論介)」, 「비봉루」, 「진농(晋農)...
-
진주의 시조시인이며 교수인 이명길의 문집. 정치학 박사 이명길이 타계한 4년 후인 1998년에, 진주 지역의 문인 및 유지 등이 모여 그의 인간됨을 추모하고 문학, 향토사연구 등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간행한 선집(選集) 성격의 문집이다. 간행처는 금호인쇄·금호출판사이며, 간행일은 1998년 11월12일이다. 기리 이명길 박사 문집 간행위원회가 구성되고 여기에서 기획, 편집, 교정,...
-
현대의 한학자 최인찬의 문집. 최인찬(崔寅巑)의 문집으로서 판본은 석인본(石印本)이며, 장정은 선장(線裝)으로 되어 있다. 모두 21권 8책으로 구성된 방대한 양의 문집이다. 발행처는 진주의 봉산서실(鳳山書室)이며, 2001년에서 2006년까지 총 5년에 걸쳐 발행되었다. 책의 표지에는 ‘시서복응당고(詩書服膺堂稿)’라는 서명이 기재되어 있으며, 속지에는 저자의 흑백사진이 첨부되어...
-
시인 강희근(姜熙根)[1943~현재]의 네 번째 신작 시집이자 두 번째 시선집(詩選集). 『사랑제』는 시인 강희근이 『연기 및 일기』(1971), 『풍경초』(1972), 『풍경보』(1975)다음에 간행한 신작 시집이며, 시선집으로는 『산에 가서』(1977) 이후에 편찬한 것이다. 즉 이것은 신작 시집과 시선집의 성격을 동시에 드러내고 있다고 하겠다. 학문사에서 1980년 12월20...
-
근현대 인물인 김용구의 문집. 김용구(金容九)[1910~1946]의 자는 순부(舜夫)이고, 호는 성암(誠菴)이다. 아버지 김기수(金基洙)와 부인 안동권씨 사이에서 태어난 3남 중 막내로, 권송산(權松山), 정율계(鄭栗溪)에게 학문을 배웠다. 독서를 좋아하고 학문에 조예가 깊었으나, 병으로 37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이후 그가 남긴 글들을 모아 펴낸 책이 『성암유고(誠菴遺稿)』...
-
근대의 유학자 이수필의 문집. 소산(素山) 이수필(李壽弼)[1864~1941]의 자(字)는 정윤(廷允)으로 진주 마진(麻津)에서 태어났다. 일찍 부모를 여의었으나, 어려운 가운데서도 학업에 진력하였다. 어려서부터 재주가 비범하여 약관의 나이에 백가지서(百家之書)에 통달하였으며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과 더불어 독서하였다. 집현산 아래에 거주하며 제자를 길렀으며, 만년에는 삼천포...
-
조선 말 진주의 유학자인 성률(成凓)[1856~1924]의 시문을 모아서 간행한 유고집. 성률은 자가 국빈(國彬)이며, 호는 손암(損庵)이다. 시부(詩賦)에 뛰어난 재주가 있었으나 평생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선현의 도를 밝히는 데 그 정성을 다했다. 성률 사후, 그의 증손 성재정이 집안에 남아있던 손암의 시문을 모아 유고집으로 편찬하였다. 1권에는 삭녕(朔寧) 최인찬(崔寅巑)의 1...
-
조선 중기의 학자 최영경(崔永慶)[1529~1590]에 관한 사실을 모아 편찬한 실기(實記). 1700년(숙종 26)에 양천익(梁天翼)이 수우당 최영경에 관한 사실을 모아 정리하여 펴낸 책이다.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고제(高弟)인 최영경이 기축옥사(己丑獄事)에 무고(誣告)되어 옥사한 이후 100여년이 지난 후 선생의 증손 최정석(崔廷奭)이 수우당 선생의 글들이 참화와 병란에...
-
근현대의 학자 성환혁(成煥赫)[1908~1966]의 문집. 성환혁의 호는 우정(于亭)으로, 회봉(晦峯) 하겸진(河謙鎭)의 제자였으며 문장에 특히 뛰어났다. 『우정집』은 성환혁이 생전에 남겼던 글들을 모아 묶어낸 문집으로, 서문과 발문은 따로 포함되어 있지 않다. 현존하는 두 판본은 각각 1961년, 1973년에 출간되었다. 5권 3책으로 구성되어 있고, 판본은 신활자본(新活字本)이...
-
근대의 유학자 한우석의 문집. 한우석(韓禹錫)[1872~1947]의 휘(諱)는 기석(夔錫), 자는 군세(君世), 군서(君瑞), 호는 원천(元川)이었다가 나중에 원곡(元谷)으로 바꾸었다. 어린 시절부터 총명하여 부모의 애정을 독차지했으며, 가난한 살림에도 불구하고 공부를 즐겼고, 향당(鄕黨)의 여러 선비들과 교류했다. 77세 이후로는 원당리(元堂里)에서 머물다가 이듬해 세상을 떠났다...
-
근대의 유학자 성환부의 문집. 성환부(成煥孚)[1870~1947]는 휘(諱)가 환보(煥寶)이고 자는 인술(仁述), 호는 정곡(正谷)이다. 본관은 창녕(昌寧)이다. 성낙주(成駱柱)와 진양하씨(晋陽河氏) 사이의 여덟 째 자식으로 태어났다. 성품이 공순하고 효성스러웠으며, 가세가 기울어진 이후 농사일을 하면서도 학문을 즐기다 78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장지(葬地)는 신기(新基) 안산(案...
-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단목(丹牧)리의 진양하씨 문중에서 편찬한 문집. 1623년 인조반정 이후 진주를 중심으로 남명학을 계승하는 선비들이 배출되었고, 진주 단목의 진양하씨 문중도 그 중 하나이다. 단목 진양하씨의 가학으로 정착한 남명학은 그 후손들에 의해 맥을 이어갔는데 인재(忍齋) 하윤관(河潤寬)이 대표적 인물이다. 인재의 학문은 그의 아들인 하응회(河應會)와 손자인 죽와(竹窩...
-
1885년 이후 경상남도 진주 출신 작곡가들의 주요 가곡과 진주와 관련된 음악작품을 모아 엮은 악보집. 『진주가곡집(晋州歌曲集)』은 1885년 이후 경상남도 진주 출신 작곡가들의 주요 가곡과 진주지역 관련 곡들을 모아 엮은 악보집이다. 총 203곡의 작품을 수록하였으며, 지역민들의 애향심을 고취하고 음악사적 자료를 정리하려는 취지에서 기획되었다. 2005년 6월 10일 경상남도 진...
-
일본인 가쓰타[勝田伊助]가 1940년 진주에 관한 내용을 기록한 책. 가쓰다가 1913년 사천 선진항을 통하여 진주에 온 뒤 머물러 살면서 진주에 관한 기록을 정리한 책이다. 『진주대관』에는 1919년의 3·1만세운동과 중일전쟁 등의 역사적 사건, 남강 치수사업과 경남도청 이전 반대운동, 진주지역의 인구·행정직제·상공업·종교·교통 등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모두 20개의 장으로...
-
근대의 유학자인 허만책(許萬策)[1890~1962]의 문집. 회당문집은 구한말의 유학자인 허만책의 문집으로, 그의 사후인 1972년에 간행되었다. 3권 1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당집(晦堂集)’이라는 표제를 달고 있다. 서문은 1971년 기록되었으며, 발문은 1972년에 쓰인 것이다....
-
근대의 유학자 하겸진의 문집. 하겸진(河謙鎭)[1870~1946]의 자는 숙형(叔亨), 호는 회봉(晦峯) 또는 외재(畏齋)이다. 아버지는 하재익(河載翼)이며, 어머니는 김해허씨(金海許氏)이고 본관은 진양(晋陽)이다. 어릴 때부터 총명하여 13세에 사서와 오경을 익혔고, 곽종석(郭鍾錫)에게 사사를 받았으며, 이승희(李承熙), 장석영(張錫英) 등과 교우했다. 안동·선산·성주와 전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