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801325
한자 宗敎
분야 종교/신종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전라북도 진안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경석

[정의]

전라북도 진안군에서 이루어지는 제반 신앙 행위의 총칭.

[개설]

전라북도 진안 지역의 종교는 역사 문화적으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눠 볼 수 있다. 첫째는 고대 시대에 중국이나 인도 등으로부터 전래된 불교·유교 등의 종교이다. 둘째는 조선 후기에 전래된 천주교의 전래 및 개신교의 확산이다. 셋째는 조선 말기 정치적 격변과 서학의 전래 및 일제 강점 시기 등에 대응한 한국인들에 의해 만들어진 신흥 종교이다. 예를 들면 진안 지역에서 원불교의 전파, 남학 등의 흔적이다.

진안 지역은 다른 지역들에 비해 종교적 특성이 두드러져 보인다. 조선 후기에 천주교도들이 박해를 피해 진안으로 이거(移居)하여 신앙생활을 지속하였고, 원불교의 전파, 남학의 성장 등에서 자신들의 고유한 신앙을 유지하고자하는 열망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불교와 유교 또한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고, 민간 신앙적 요소들 또한 진안 곳곳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더불어 진안 지역에는 여타의 종교들이 함께하는 종교적 다양성이 공존하고 있다.

[불교]

진안 지역에 최초로 세워진 절은 573년(백제 위덕왕 20)으로 전하는 심원사(深院寺)이다. 이처럼 전라북도의 불교는 이미 백제 후기인 6세기에 전파된 것으로 보이는데, 진안 지역의 불교 전파도 전라북도에서 빠른 시기에 해당된다. 기록 및 구전으로 전해지는 신라 시대 때에 창건된 진안 지역의 사찰로 보흥사, 고림사, 천황사, 옥천암 등을 들 수 있다.

고려 시대 진안 지역의 불교의 현황을 전하는 자료가 없어 정확히 그 현황을 알 수는 없다. 다만 성수면 용포리 반룡 마을 북쪽 700m 성수산 중턱에 위치한 은선암은 고려 말 반룡사로 추정하기도 한다. 또한 마령면 동촌리 숫마이산 아래 자리한 은수사는 조선 초기 상원사라 했다고 한다.

그리고 조선 시대 진안의 사찰로 꼽을 수 있는 금당사마령면 동촌리 마이산 입구 지금의 자리에 1675년(숙종 1)에 세워졌으나, 금당사의 선행 사찰이라는 금동사(金洞寺)가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진안 마이산은 예로부터 국역(國域) 풍수의 비상한 관심사였고 역대 왕조차원에서도 마이산을 비보(裨補)하기 위하여 마이산 탑을 조성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신령한 풍광을 자랑하는 이곳에 일찍이 치성을 드리는 민속 신앙인들과 종교인들이 모여 들었다. 때문에 진안의 명소인 마이산 내에는 금당사를 비롯하여 탑사·은수사·마이사 등이 자리하고 있고, 마령면보흥사마이산으로부터 약 4~5㎞ 정도의 거리에 위치한다. 그 외에도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마이산에 위치한 사찰로 혈암사·쇄암사 등이 명칭이 나오고, 1924년 『진안지』에는 금당사·나옹암·고금당·정명암·광덕암 등의 사찰 이름이 나온다. 아마도 기록에 나오는 사찰 뿐 아니라 많은 동굴과 기도처가 산재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일정 법정 조건을 구비한 사찰이 법에 의거 등록하였을 때 전통 사찰이라고 하는데, 현재 진안 지역에는 7개의 전통 사찰이 있다. 고림사·금당사·보흥사·옥천암·은수사·천황사·탑사 등인데, 마이산에만 금당사·탑사·은수사·보흥사 등 4개의 전통 사찰이 있다. 또한 진안 지역에 현존하는 사찰로는 고림사·구암사·금당사·남암·도광사·대광사·마이사·보덕사·보흥사·삼덕사·수신사·심원사·약수암·옥천암·운봉사·은선암·은수사·천황사·천황암·탑사 등이 있다. 이를 교파별로 분류를 해보면 조계종 소속의 사찰로는 고림사·금당사·남암·심원사·옥천암·천황사 등이고, 태고종 소속으로는 구암사·마이사·보흥사·은수사·탑사·쌍봉사 등이 있다. 관음종 소속으로는 보덕사·삼덕사 등이고, 미륵종 소속은 운봉사가 있다. 염불종으로는 도광사, 원효종으로는 대광사, 한국 불교 대승종으로는 팔도명산, 대한 불교 일붕 선교종으로는 금영사가 있다. 기타 비등록 사찰로는 수신사약수암 등이 있다. 기록으로만 전하는 사찰은 광덕암·광명암·나옹암·내원사·미적사·반룡사·봉선암·상원사·상원암·쇄석사·수행굴·숭암사·심원사·안장사·정명암·중대사·혈암사 등이 있다. 그 밖에 진안 지역의 폐사지(廢寺址)로는 단양리 사지·내후사동 사지·검단사지·정수암 사지·반룡사지·수천리사지·옥거리사지·상양명사지·안정동사지·심원사지·중산리 사지·다라니 사지·혈암사지·쇄암 사지 등이 있다.

진안 지역의 불교인 수는 정확한 통계 자료는 없으나 2013년 현재 탑사 종무소 관계자에 따르면 대략 4,000여 명이라고 한다.

[유교]

유교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은 삼국 시대이지만 진안 지역에 유교 교육의 기관이 생긴 것은 고려 시대부터라고 할 수 있다. 즉 향교가 바로 그것인데, 진안에는 진안 향교용담 향교가 있다.

설립 시기로는 용담 향교진안 향교 보다도 빠른데, 용담 향교는 고려 초기에 설립되고 1391년(공양왕 3)에 현령 최자비에 의해 중건되었다. 그리고 진안 향교는 1414년(태종 14)에 진안읍 군상리 웃새골에 창건되었다.

진안 지역의 유교 교육 기관으로 향교와 서원, 그리고 서당 등이 있다. 주요한 것으로는 진안 향교·용담 향교·영계 서원·구산 서원·삼천 서원지·화산 서원·주천 서원·옥천사·숭모사·충렬사·영산사·용계사·영곡사·내산사·충효사·충절사·쌍충단·인현묘·화천사·단운사·청덕사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대표적 누정으로 태고정이 있다. 서당은 조선 시대 초·중·등 단계 사설 교육 기관이라 할 수 있다. 진안 지역에는 관선당[주천면 무릉리], 도장각[마령면 계서리], 와룡암[주천면 주양리], 이화당[안천면 백화리], 지선당[동향면 능금리] 등의 서당 건물이 현존하고 있다. 그리고 경수재·문회당·육영재·일경재·일신당·저존재·흥학당 등의 서당 기록이 전하며, 이 밖에도 마을마다 서당이 있었다.

또한 사묘(祠廟)가 있다. 사묘란 사당(祠堂)과 묘우(廟宇)를 아울러 일컫는 말이다. 조선 시대 진안현용담현에는 각 사직단(社稷壇), 문묘(文廟), 성황사(城隍祠), 여단(厲檀) 등이 있었으며, 용담현에는 웅진 명소사(熊津溟所祠)와 삼천 서원(三川書院)이 있었다. 그 밖에 마령면 동촌리이산묘(駬山廟)가 있다. 이산묘는 한말의 거유 연재 송병선면암 최익현을 기리기 위해 사당을 짓자는 공론이 발의가 되어 최종적으로는 태조, 세종, 고종단군 등의 4위를 비롯하여 조선 개국 이후 명유(名儒) 40위, 고종 을사년 이후 순국한 선열 34위를 모셨다. 매년 음력 3월 12일 향사(享祀)를 지낸다.

[원불교]

원불교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한 종교 단체로서 원불교의 전신은 불법 연구회(佛法硏究會)이다. 창시자는 소태산(少太山) 박중빈(朴重彬)[1891~1943]으로서 1916년 대각(大覺)을 이룬 후 8년의 준비 과정 끝에 전라북도 익산에서 불법 연구회를 창립하였다. 소태산 박중빈과 진안의 인연은 정산을 불러 창립 인연을 찾을 것을 지시하였고, 이에 정산이 진안으로 갔던 것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1923년 2월 14일 소태산이 처음 진안 만덕산에 방문하게 된다. 여기서 소태산전음광(全飮光)은 부자의 결의를 맺은 후 전음광은 전주로 이거하였고, 그는 그의 전주 거처에서 소태산을 모시고 회상 발기인 모임을 갖게 된다. 이곳에서 불법 연구회 창설 장소를 모색하였는데, 익산을 그 대상지로 물색하게 된 것이다.

진안 지역에는 소태산 박중빈과의 인연에서 시작되어 원불교의 4대 성지 중 하나인 만덕산(萬德山) 초선 성지(初禪聖地)가 있으며, 원불교의 3대 종법사 대산(大山) 김대거(金大擧)를 배출하는 등 매우 인연이 깊다. 대산 김대거는 전라북도 진안군 성수면 좌포리에 세거하는 김해 김씨 집안의 자손으로, 그는 11세[1924년]에 할머니를 따라 만덕암에 가서 원불교 교조 소태산 박중빈을 만나 제자가 되었다. 1929년에 출가하여 소태산 대종사와 은부자(恩父子)의 결의를 맺고, 총부와 서울에서 교단의 중책을 맞아 대종사와 정산 종법사를 보필하였다. 1962년 2월에 종법사가 된 이후 뛰어난 지혜와 강력한 지도력으로 교단을 이끌면서 교세를 확장시켰다. 『교리 실천 도해』, 『정전 대의』 등을 저술하여 교도들의 길을 밝혀주었고, 33년간 종법사로 재임하면서 세계적인 종교 연합 운동을 제창하였다.

만덕암은 좌포 김씨의 종중 산제당으로 박중빈이 주재하며 창립 인연을 결속하던 원불교 불연지이다. 만덕암 터는 만덕산 8부 능선에 소재한다. 원불교에서는 초선지(初禪地)라 하여 성지로 여겨진다. 만덕암은 1924년 6월 소태산 박중빈이 이곳에 두번째로 와서 제자들과 수양을 하였던 곳이다.

진안 지역에는 만덕산 초선 성지, 원불교 만덕산 훈련원·농원을 비롯하여 교당으로는 마령 교당, 좌포 교당, 진안 교당, 백운 교당, 안천 교당, 계수 교당, 중길리 교당, 가수 교당 등 있다. 마령면 평지리에 있는 마령 교당은 1929년 6월 21일 설립되었고, 성수면 좌포리에 있는 좌포 교당은 1938년 4월에 설립되었다. 진안읍 군하리에 위치한 진안 교당은 1958년 4월 7일에 설립되었으며, 백운면 백암리에 위치한 백운 교당은 1968년 3월 11일에 설립되었다. 또한 주천면 주양리에 위치한 주천 교당[안천 교당]은 1968년에 설립되었고, 성수면 중길리에 위치한 중길리 교당은 1970년, 성수면 좌산리 상가수에 위치한 가수 교당은 1978년 2월 23일, 백운면 노촌리 상미 마을에 위치한 덕태 수양원은 1998년 12월에 설립되었다.

진안 지역의 원불교인 수는 정확한 통계 자료는 없으나 2013년 현재 진안 교당 관계자에 따르면 대략 1,000여 명이라고 한다.

[천주교]

17세기 천주교가 조선에 들어온 이래 일부 교리가 당시의 전통 풍습과 맞지 않아 크고 작은 박해가 끊이지 않았다. 이에 천주교 신자들은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깊은 산골로 숨어 들어와 교우촌을 건설하고 신앙생활을 계속하였다. 위와 같이 진안 지역에 천주교도가 들어오게 된 것은 1866년 병인박해 이후 천주교인들이 자신들의 생명과 신앙을 지키기 위해 진안으로 피신해 들어오면서부터이다. 곳곳에서 이주해 온 신자들과 새로 영세한 신자들이 늘어나면서 ‘교우촌[공소]’이 생겨났다. 1886년부터 1900년 사이 27곳의 공소가 설립되었다. 공소가 세워졌던 곳으로는 널티를 비롯하여 점골, 손실, 고중대, 어은동, 대성동, 아재, 장재동, 한식골[수항], 터걸, 양오리, 수천리, 덜먹리, 귀동, 반월리, 느랏, 두원리, 안널티, 안시촌, 하궁리, 양지, 오암리, 활목, 수침동, 한들, 주암동 등에 공소가 세워 졌다.

박해를 피해 심산유곡에 찾아든 이들은 진안의 산골에 신앙 공동체를 형성하고, 그들의 생계 수단으로 화전, 옹기점, 옹기 장사, 담배 농사, 지필묵 장사, 양잠, 한봉, 사냥, 한의(韓醫), 필경(筆耕), 등짐장사 등을 하였다. 험지에 거처했기에 선교사들이 공소를 방문하는 것은 ‘건강한 체질에도 견디기 힘들다’고 한다.

그리고 1909년 3월 어은동[진안읍 죽산리]에 본당이 준공되었다. 이후 진안읍의 포교당으로 이전하였다가 다시 한들[마령면 연장리]로 옮겼다. 1952년에 본당을 한들에서 진안읍으로 이전하였다. 진안읍에 위치한 진안 성당은 1999년 12월 9일 화재로 전소되었다가 2002년 4월 9일에 다시 건립되었다. 진안 지역의 공소는 현재는 15개가 있다.

진안 천주교의 발전 과정을 『진안 군사』에는 전주 본당 소속 시기[1876~1900], 어은동 본당 시기[1900. 9~1921. 6], 한들[연장리] 본당 시기[1922~1952], 진안읍 본당 시기[1952~현재] 등으로 구분하기도 하고, 『진안 성당 105년사』에서는 진안고원 천주교 교우촌 발전 과정을 공소 시대[1882~1889], 어은동 본당 시대[1900~1920], 진안 본당 시대[1921~1990]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천주교 신자 수는 2013년 말 기준 2,350명으로 진안 인구의 약 8.8%를 차지한다.

[개신교]

호남과 충청도 일부 지방은 1893년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들의 선교 지역으로 선정되어 전주 교회가 탄생되면서 자연히 호남 지방은 장로교가 교세를 확장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전주 동북부 지방인 진안 지역도 이들 선교사들에 의해서 개신교가 전래되기 시작하였다.

최초의 교회는 1897년 진안읍 당산 옆 백남인 댁에서 가정 예배로 시작되었고, 1901년 부귀면 거석리 거석 교회[현 부귀 중앙 교회], 진안읍 연장리 한들 교회[현 연평 교회], 상전면 월포리 단밭 교회[현 금지 교회], 백운면 매실 교회[현 백운 교회], 을림 교회[현 신암리], 1902년 부귀면 세동 교회, 1903년 주천면 대불 교회, 1904년 부귀면 진상동 교회, 정천면 조림 교회 등이 세워졌다.

현재 진안 지역에 있는 교회를 교파별로 살펴보면 대한 예수교 장로회 통합 측에는 대광 교회·덕현 교회·마령 소망 교회·물곡 교회·봉곡 교회·성운 교회·세동 교회·소태정 교회·시온성 교회·안천 교회·영광 교회·오천 교회·용평 교회·정천 중앙 교회·진안 제일 교회·평강 교회 등이 있다. 대한 예수교 장로회 합동 측으로는 갈룡 교회·강정 교회·궁항 교회·금마 교회·금양 교회·노촌 교회·능금 교회·덕천 교회·동창 교회·동향 교회·두남 교회·마령 교회·반월 교회·백운 교회·백화 교회·부귀 중앙 교회·사랑의 교회·산주 교회·상전 교회·성도 교회·성수 교회·성신 교회·신동 교회·신암 교회·신흥 교회·연정 교회·연평 교회·용담 전원 교회·운봉 교회·월평 교회·유산 교회·은천 교회·장승 교회·좌산 교회·주양 교회·중길 교회·진안 교회·평장 교회·평지 교회·황금 교회 등이 있다. 대한 예수교 장로회 합동 측 개혁 소속으로는 상기 교회·소망 교회·송산 교회·좌포 은총 교회·주사랑 교회·학동 교회 등이 있고, 한국 기독교 장로회 소속으로는 단양 교회·대평 교회·벧엘 교회·용포 교회·좌포 교회·죽도 사랑의 교회·진안 동부 교회 등이 있다. 기독교 감리회 소속으로는 진안 감리 교회, 그리스도교 소속으로는 호천 영락 교회, 대한 예수교 침례회 소속으로는 진안 침례교회, 기쁜 소식 선교회 소속으로는 진안 은혜 교회,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소속으로는 진안 교회, 여호와의 증인 소속으로는 진안 왕국 회관이 있다. 또한 세계 기독교 통일 신령 협회 소속으로 진안 가정 교회·성수 가정 교회 등이 있다.

종교인 현황을 보면 1980년대에 진안군에 있는 교회는 73개로 대한 예수교 장로회 합동 측이 45개에 신자는 약 3,000명으로 가장 많고, 대한 예수교 장로회 통합 측이 15개에 신자는 약 1,100명으로 두 교파가 진안 지역에서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 기독교 장로회는 8개의 교회에 신자는 약 300명이었다. 또한 대한 예수교 장로회 합동 측 개혁 소속 교회가 2개에 신자는 약 60명이며, 예수교 성결 교회, 기독교 감리교, 개혁[주]이 각각 1개의 교회로 신자는 50명 이내로 분포되어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농촌 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신 자수는 1/2 이하로 격감되었고 용담댐 수몰 등으로 교회들이 상당수 없어졌으나 신설된 교회도 있어 1980년대에 비하여 큰 변동은 없다. 다만 현재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 통합 측 교회가 16개, 대한 예수교 장로회 합동 측 교회 40개, 대한 예수교 장로회 합동 측 개혁 소속 교회가 6개, 한국 기독교장로회 측 교회가 7개 등으로 그 수에 변동이 있다.

[남학]

전라북도 진안 지역과 관련하여 남학(南學)의 활동이 두드러진다. 남학은 1862년(철종 13) 이운규(李雲圭)가 창시한 종교이다. 남학진안군 주천면 대불리 일대에서 발흥하여 성행하였다고 한다. 남학은 현대를 선천 시대(先天時代)에서 후천 시대(後天時代)로 바뀌는 교역기(交易期)로 규정하고, 후천 시대의 운도(運度)를 천명한 『정역(正易)』이라는 역서(易書)를 제시하였다. 이운규는 새로운 종교를 창도하려는 뜻을 품고 충청남도 연산으로 이거하였고, 여기에 몇몇 제자를 데리고 자신의 새로운 도법을 강학한 것이 창교(創敎)의 발단이다. 그의 문인들 가운데 도전(道傳)을 받은 사람은 사돈인 김항(金恒), 그의 아들 용래(龍來), 용신(龍信), 제자 김광화(金光華)이다.

남학의 이상은 후천 세계의 지상 낙원에 참여하는 것이다. 이운규에 의해 창시된 이후 1878년경 이후부터 김항의 충남 연산 지방을 중심으로 한 무극 대도(無極大道) 또는 대종교(大宗敎)와, 김치인(金致寅, 光華)의 전북 진안 지역을 중심으로 한 오방 불교(五方佛敎) 또는 남학(南學)으로 분화되어 발전하였다. 이 종교는 유불선(儒佛仙)을 혼합한 종교이지만 일부계(一夫系)는 유교를 중심으로 불선을 흡수하였고, 광화계(光華系)는 불교를 중심으로 유선을 흡수하였다. 이들을 모두 남학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특히 광화계를 남학으로 불렀다. 김광화이운규의 아들 용래·용신 형제를 스승으로 하고 자신이 교주가 되어 오방 불교 또는 광화교라는 명칭으로 운장산대불리(大佛里)에 본부를 두고 포교하였다. 당시 치병과 도통(道通), 그리고 후천 용화 세계에 참여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갖는 수많은 교인들이 모여들어 큰 교단이 형성되었고, 이때 교단의 이름은 동학에 대응되는 남학이라고 불리었다.

1894년 갑오년 동학군의 거의 운동(擧義運動)이 일어나는 것을 본 이 교에서는 자가의 교단도 동학과 마찬가지로 후천 개벽이 목적이며, 척양 척왜(斥洋斥倭)·보국안민·포덕천하(布德天下)를 주장하는 것은 민족 종교의 당면한 임무라고 하여 이에 남학도 동학 운동에 동참해야 한다면서 이른바 남학 운동을 결행하였다.

이때 교단 본부인 대불리와 주천에 본영을 두고 5만여 명에 달하는 남학군이 조직되었으나, 출동 직전 관군의 습격으로 간부들과 많은 교인들이 붙잡혀 김치인을 비롯한 8명의 간부들이 전주와 나주에서 처형되고, 남학 운동은 수포로 돌아갔다.

김치인이 죽자 그 제자들 사이에 교통 전수를 둘러싼 분규가 생겼는데, 수제자 김용배(金庸培)가 정통을 이어 금강 불교(金剛佛敎)라는 교명으로 포교하고, 김항배(金恒培)·권순채(權珣采)는 광화교 또는 광화 불교라는 교명으로 운주면 가천리와 계룡산 신도안에서 포교하였다. 뒤에 금강 불교의 교명이 칠성 불교로 바뀌어 대불리와 진안 부귀 등 운장산 주위를 근거로 하였고 용담·진산·금산·장수 등지에 포교가 하였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 일본 경찰이 동학과 남학에 탄압을 가하여 교단은 물론 일부계의 교인들까지도 붙잡히는 바람에 교세가 매우 위축되었다. 또한 광복과 더불어 여러 분파로 나뉜 뒤 몇 개의 교단이 전라북도 지역에 포교되고 있으나, 지금은 교세가 위축 또는 소멸되어 드러나지 않고 있다.

[기타]

그 밖에 진안 지역의 종교 단체로는 통일교, 성덕도 교화원, 국제 도덕 협회 일관도 진안군 지부, SGI[창가 학회] 등이 있다.

통일교는 문선명(文鮮明)이 1954년에 창시한 신흥 그리스도 교회로서 진안 지역의 통일교 소속 선교 기관으로는 1960년 7월 진안읍 군상리에 설립된 진안 가정 교회, 1966년도 성수면 외궁리 신리 마을에 설립된 성수 가정 교회가 있다.

성덕도는 1952년 대구에서 김옥재 도학수가 창교하였는데, 진안 교화원은 1989년 3월 7일 개원되었다. 기본 교리는 성(聖), 덕(德), 도(道), 유불선(儒佛仙) 삼교 교합법(交合法), 원자(圓慈) 사상과 만화 귀일(萬和歸一) 정신을 요체로 한다.

국제 도덕 협회 일관도 진안군 지부진안읍 군상리에 위치한 종교 단체로, 일관도는 1947년 중국인 이덕복, 장서전, 김은선 등에 의하여 중국에서 유입된 외래종교로서 유불선을 융합하여 일관한다는 뜻에서 일관도라고 한다.

SGI[창가 학회, Soka Gakkai International]란 1279년 일본의 니치렌 쇼슈[日蓮正宗]의 가르침을 따르는 신도들에 의하여 시작된 신흥 종교로서 종교 단체 겸 정치 단체로 일련종(日蓮宗)이라고도 한다. 진안군 군상리에 진안 SGI 회관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