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0년 8월부터 1945년 8월까지 일제의 식민 통치를 받던 시기의 전라북도 익산 지역 역사. 일제는 한국을 강제로 병합한 이후 민족 말살 정책과 식민지 수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일제의 가혹한 통치와 수탈에 저항하여 익산 지역에서는 3.1운동을 비롯하여 다양한 저항운동을 전개하였다. 총독부는 1914년 ‘부제’와 ‘군제’를 선포하면서 전주와 같은 전통 도시는 축소하여 전...
1919년 3·1운동이 전국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서 일어난 항일 독립 만세 운동. 3·1운동 당시 익산에서는 천도교 조직을 활용하여 만세 운동을 계획하는 한편 기독교계와도 연계하여 천도교와 기독교 두 종교계가 함께 하였다. 특히 1919년 4월 4일 시위는 1,000여 명의 군중이 참여하여 시가행진을 벌였고 일본 헌병대가 무차별 사격을 감행하여 현장...
1927년 민족주의 독립운동 세력과 사회주의 독립운동 세력이 연합하여 조직한 신간회의 익산 지회. 1919년 3·1운동 직후 사회주의 사상과 노선이 국내에 도입되기 시작하여 1920년대 사회주의 독립운동 세력이 형성됨으로서 민족 독립운동 흐름은 민족주의 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으로 양분되었다. 그러나 일제에 항쟁하여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서는 서로 협동 단결해야 한다는 자각이 생겼고 두...
일제 강점기 일본인이 익산 지역에서 경영한 기업과 은행. 군산 개항 이후 일본인의 이주가 증가하면서 군산과 가까운 익산 지역에도 일본인이 이주하게 되었다. 일본인들은 익산에서 생산되는 질 좋은 미곡을 가공하는 정미업, 양조업 등에 종사하였고 기업 활동에 필요한 금융기관도 설립하였다. 익산 부근의 평야에서 생산하는 미곡은 생산량이 많기 때문에 벼인 채로 운반하면...
일제강점기 불합리한 소작 조건의 개선을 요구하며 소작인들이 익산 지역에서 벌인 운동. 익산의 자연환경은 농업에 적당하며 기후 또한 온난해서 농작물 발육에 좋았다. 특히 비교적 이른 시기에 수리조합이 설립되는 등 수리시설이 갖춰지면서 한해와 수해의 피해를 비교적 적게 받았던 쌀농사는 익산을 대표하였다. 1899년 군산 개항 이후 익산에는 농장을 개설하려는 많은 일본인들이...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익산군에서 불법연구회가 조직한 산업 재단이자 교육기관. 기성연합단은 1928년 7월 원불교의 전신인 불법연구회[창시자 박중빈]가 교단의 경제 확립과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조직하였다. 불법연구회는 교단의 터전을 전라북도 익산군 북일면 신용동[현 익산시 신용동]으로 정한 뒤 종교적 이념 구현을 위한 교단 경제의 산업화를 목적으로 기성연합단을 조직하였다....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익산시 지역에 있었던 농림 전문 교육기관. 농림학교는 일제 강점기에 농업과 임업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던 실업 학교였다. 이리농림학교는 1922년 농업 진흥과 농림 지도자 양성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개교 당시 전국 유일의 갑종[5년제] 공립 농림학교였으며 조선의 근대 농업 지도자를 양성하는 최초의 농업 전문 교육기관이었다. 1922년 4월에 설립된 이리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