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타령」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501298
영어공식명칭 Heungtaryeong
이칭/별칭 「남도흥타령」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맹산리 소맹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세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2011년 1월 20일 - 「흥타령」 제보자 최규태에게 채록
채록지 제보자 최규태 자택 -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맹산리 소맹마을 지도보기
성격 남도민요
토리 육자배기토리
박자 구조 중모리장단
가창자/시연자 최규태

[정의]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맹산리에 전하여 오는 남도민요.

[개설]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맹산리 소맹마을에서 불러지는 「흥타령」은 전라도 지역에서 오랫동안 전하여 오는 대표적인 남도민요이다. 전라도 지역에서 불리는 「흥타령」은 「천안삼거리」로 알려진 「경기도흥타령」과 구분하기 위해 「남도흥타령」이라 부르기도 한다. ‘흥타령’이라는 명칭은 “아이고 대고 흥/ 성화가 났네 흥.”이라는 후렴구에 ‘흥’, ‘흐응’ 등의 노랫말이 반복된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소맹마을에서 채록된 「흥타령」은 일반적인 「흥타령」과 달리 후렴구가 단순하고 ‘흥’이라는 조흥구도 변형되었다.

[채록/수집 상황]

2011년 1월 20일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맹산리 소맹마을의 제보자 최규태에게서 채록된 「흥타령」의 가락과 노랫말이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펴낸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실려 있다.

[구성 및 형식]

전라도 지역에서 불리는 「흥타령」의 장단은 경기도 지역의 「흥타령」과 다른 구성을 보인다. 경기도의 「흥타령」이 대체로 굿거리장단에 경토리로 되어 있다면, 남도의 「흥타령」은 중모리장단에 육자배기토리로 부른다.

[내용]

소맹마을 「흥타령」의 가사는 가난에 대한 한탄, 임에 대한 애절한 그리움과 원망을 절절히 토로하고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난이야 가난이야 원수 놈의 가난이야/ 부자는 누가 내고 가난은 누가 내나/ 북두칠성님이 내었든가/ 꿈아 꿈아 무정한 꿈아/ 꿈이거든 깨우지를 말고/ 생시거들랑 잠든 날만 깨워나 다오// 어냥헤야// 말은 가자고 내 굽을 치는디/ 님은 꼭 붙들고서 놓지를 않네/ 가다가 가다가 내가 □□ 어저께가 되면/ 죽은 혼령된 님 따라 내 갈라오// 어냥헤야// 세상사를 다 믿어도 못 믿을 것은 님이로세/ 책방으로 계실 제는 보고보고 또 보아도 귀골로만 보시더니/ 못 믿겼네 못 믿겼네 얼굴도 나는 못 믿겼네// 어냥헤야.”

[현황]

「흥타령」은 전라북도 익산 지역 외에도 전라도 여러 지역에서 두루 전하여 오는데, 지역에 따라 사설이나 후렴에서 다양한 모습을 보이며 불리고 있다.

[의의와 평가]

「흥타령」「육자배기」, 「농부가」 등과 함께 전라도 지역 민중의 사랑을 받은 오래된 민요이다. 남도민요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화려하고도 구슬픈 가락에 인생무상, 사랑과 이별, 가난 등 다양한 삶의 애환을 얹어 부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