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500644 |
---|---|
한자 | 宋英耈 |
영어공식명칭 | Song Younggoo |
이칭/별칭 | 인수(仁叟),표옹(瓢翁),일호(一瓠),백련거사(白蓮居士)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전라북도 익산시 |
시대 |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류호석 |
출생 시기/일시 | 1556년 - 송영구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584년 - 송영구 친시문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592년 - 송영구 도체찰사 정철의 종사관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599년 - 송영구 충청도도사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612년 - 송영구 경상도관찰사로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614년 - 송영구 오위도총부부총관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615년 - 송영구 폐모론을 반대하다가 파직 |
몰년 시기/일시 | 1620년 - 송영구 사망 |
출생지 | 익산 - 전라북도 익산시 |
거주|이주지 | 망모당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광암리 |
묘소|단소 | 제내리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제내리 |
사당|배향지 | 우산정사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제내리 |
성격 | 문신 |
성별 | 남 |
본관 | 진천(鎭川) |
대표 관직 | 경상도관찰사|병조참판 |
[정의]
조선 후기 익산 출신의 문신.
[가계]
송영구(宋英耈)[1556~1620]의 본관은 진천(鎭川)이고 자는 인수(仁叟), 호는 표옹(瓢翁)·일호(一瓠)·백련거사(白蓮居士)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송세웅(宋世雄), 할아버지는 송억수(宋億壽), 아버지는 송영(宋翎)이다. 부인은 종부시정 윤승경(尹承慶)의 딸 해평윤씨(海平尹氏)이다.
[활동 사항]
송영구는 1556년(명종 11) 익산에서 태어났다. 1584년(선조 17) 친시문과에 급제하여 승정원의 주서와 사과를 역임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였을 때 도체찰사 정철(鄭澈)의 종사관을 지냈다. 이후 사간원정언을 거쳐 사헌부지평으로 있을 때 성절사(聖節使)의 서장관이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뒤에 사직하고 낙향하였다.
송영구는 1599년 관직에 복귀하여 충청도도사와 지평을 거쳐 1600년 이조정랑·의정부사인·사간원사간·청풍군수 등을 역임하였고, 필선으로 재임 중 『선조실록(宣祖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다. 1612년(광해군 4) 경상도관찰사를 지냈고, 1613년에는 사신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현재 광암리에 남아 있는 송영구의 집 망모당(望慕堂)의 당액(堂額)은 송영구가 사신으로 갔을 때 사귄 명나라 관리 주지번(朱之蕃)이 쓴 글씨이다.
1614년 송영구는 오위도총부부총관과 동지중추부사를 역임하였고, 1615년 이이첨(李爾瞻)이 권력을 장악하고 폐모론(廢母論)을 일으키자 이에 반대하다가 파직당하였다. 1620년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송영구의 저서로는 3권 1책의 시문집인 『표옹유고(瓢翁遺稿)』가 있다.
[묘소]
송영구의 묘소는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제내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송영구는 1623년(인조 1) 병조판서에 증직되었고, 1809년(순조 9) 충숙(忠肅)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1648년(인조 26) 전주의 선비들이 전주부 남쪽 봉양동에 사우를 세워 송영구를 제사지내다가 뒤에 전주부 서쪽으로 옮기고 이름을 ‘서산사(西山祠)’라고 불렀다. 현재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제내리에는 송영구의 제각(祭閣)인 우산정사(紆山精舍)가 있으며,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의 청풍문화재단지에는 송영구 수덕비(宋英耈粹德碑)가 있다.